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농촌활력론

농촌활력론

김태명, 임형백, 소진광, 권태호, 박은병, 임경수, 황정임 (지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농촌활력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농촌활력론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농업 > 농업일반
· ISBN : 9788952111432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0-08-31

책 소개

지금까지 농촌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하여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어 왔고, 막대한 자금이 투입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농촌의 상황은 어렵고 미래의 전망 또한 밝지 않은 것이 엄연한 현실이다. 이 책은 대학교 및 연구소에서 농촌을 연구하고 있는 7인의 연구자가 작금의 농촌 상황에 대안을 모색하며 각자 평소에 농촌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 온 주제에 대하여 공동으로 연구 집필한 작품이다.

목차

제Ⅰ장 한국 농촌의 어제와 오늘-박은병 013
1. 농촌의 정의, 기능 및 구성
1) 농촌의 정의
2) 농촌의 사회공간적 기능
3) 농촌의 구성과 내용
2. 농촌·농업여건의 국내·외 변화
1) 세계화에 따른 농업여건
2) 보호산업으로서의 정부개입
3) 농촌개발의 패러다임
4) 식량안보
3. 우리나라의 농촌의 현황과 문제
1) 농촌인구의 변화(인구감소, 고령화)
2) 농가소득
3) 농업경쟁력
4) 영세농
5) 농촌지역의 환경문제
6) 농정추진의 한계
4. 한국 농업·농촌의 발전과정
1) 한국 농업·농촌의 위상
2) 한국 농업·농촌의 발전과정
5. 농촌의 발전방향과 농정의 패러다임
1) 농촌의 발전방향
2) 농정의 기조와 방향

제Ⅱ장 전환기의 농촌문화-황정임 073
1. 농촌문화의 의미 구분
2. 전통적 농경사회의 농촌문화
3. 농촌발전을 위한 자원으로서의 농촌문화
4. 현재 농촌사회의 농촌문화
1) 농촌의 변화상
2) 농촌사회 변화와 농촌문화
5. 농촌문화의 미래상

제Ⅲ장 농촌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소진광 015
1. 근대화와 농촌 지역사회의 접근논리
1) 지역사회 개념과 유형
2) 산업사회와 지역사회의 붕괴
2. 농촌 지역사회의 새로운 발전척도로서의 사회적 자본
1) 지역사회 발전의 의미
2) 지역사회 발전척도로서의 사회적 자본
3. 농촌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 축적전략
1) 농촌 지역사회발전과 사회적 자본의 연계성
2) 농촌 지역사회 발전 작동과정
3) 농촌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 형성전략

제Ⅳ장 농촌마을 가꾸기-임경수 151
1. 농촌마을 가꾸기의 대두배경
1) 농촌마을의 정주공간에 관한 논의
2) 국가공간정책과 농촌의 사회공간적 변화
2. 농촌마을 관련 개발사업의 전개과정
1)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 말까지 농촌개발정책
2) 1970년대의 농촌개발정책
3) 1980년대의 농촌개발정책
4) 1990년대의 농촌개발정책
5) 2000년 이후의 농촌개발정책
3. 농촌마을 가꾸기의 추진전략
1) 문제점
2) 추진전략

제Ⅴ장 마을차원에서 본 향토자원과 농촌활성화-권태호 185
1. 서론: 농촌활성화의 새로운 접근
2. 방곡리: 현황과 활성화 여건
1) 입지와 현황
2) 활성화 여건분석
3. 향토자원: 분석과 평가
1) 향토자원의 의미와 분류
2) 사회자원
3) 자연자원
4) 역사?문화 및 경관자원
4. 활성화 노력: 방곡가마예술제, 곁골마을연구회, 도깨비체험잔치 및 녹색농촌체험마을
1) 방곡가마예술제
2) 곁골마을연구회 운영
3) 도깨비체험잔치
4) 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
5. 결론: 활성화 노력의 한계와 개선방향
1) 창조적 사고와 주민 역량강화
2) 신뢰구축과 상호이해
3) 시설의 통합적 운영·관리
4) 프로그램의 지속성 및 자립성
5) 전문인력의 확보

제Ⅵ장 농촌개발과 지역균형발전-임형백 227
1. 서론
2. 한국 정부의 농업부문 지원
1) 역대 한국정부의 농업부문 지원
2) 주요 부처의 농촌개발 사업
3. 경제적 측면에서 한국농업의 현황과 전망
1)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의 감소
2) 농가부채의 증가
4. 인구적 측면에서 한국농촌의 현황과 전망
1) 한국 인구 이동의 특성
2) 한국농촌 인구의 전망
3) 지역불균형발전의 가속화
5.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농촌의 개발 방향
1) 농업확장주의의 탈피
2) '선택'과 '집중'을 통한 농업경영인의 육성
3) 틈새시장 구축과 시장차별화
4) 농업의 생산·가공·유통을 통한 식품산업화
6. 농촌을 낮은 인구밀도를 가진 자생력 있는 공간으로 재편

제Ⅶ장 한국농촌의 다문화사회의 특징-임형백 265
1. 서론
2. 한국 도시지역의 다문화사회
1) 다문화사회의 원인: 단기거주노동자
2) 이민자집중거주지: 외국인에 대한 다문화 정책
3. 농촌지역의 다문화사회
1) 다문화사회의 원인: 결혼이민자
2) 배태된 순혈주의
4. 한국의 다문화사회의 정책 차별화
1) 도시지역: 외국인 정책과 다문화주의모형
2) 농촌지역: 내국인 정책과 동화모형
5. 결론

제Ⅷ장 한국의 복지농촌 건설전략-김태명 301
1. 서론
2. 한국농촌의 현주소와 미래 전망
1) 한국농촌의 현주소
2) 한국농촌의 미래 전망
3. 한국농촌의 당면 문제점 진단과 분석
1) 직업으로서의 농업 진단
2) 주거공간으로서의 농촌 진단
3) 주거공간 상품으로서의 농촌 진단
4. 한국의 복지농촌 건설 전략 모색
1) 자랑스런 직업으로 만들기 위한 전략
2) 살맛 나는 주거 공간으로 만들기 위한 전략
3) 잘 팔리는 주거공간 상품 만들기 전략
5. 결론

저자소개

김태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 현직 ·한남대학교 도시부동산학과 명예교수 ·대전학연구회 공동회장 ·대전광역시 외국인투자유치협의회 위원 - 학력 및 주요 경력 ·대전고등학교 졸업 / 한남대학교 졸업 ·Asian Institute of Technology 졸업(MS) ·Israel Institute of Technology 박사과정 수학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Diliman 박사과정 수료(Ph.D.) ·University of Cambridge 토지경제학과 연구교수 ·University of Rome 환경대학원 연구교수 ·Kasetsart University-Bangkok 연구 및 강의교수 ·Asian Association of Urban and Regional Studies(AAURS) 회장 ·UNCRD(UN지역개발연구소)의 학술지 RDD(Vol.29, No.1, 2008)의 편집장(Editor in Chief)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개발실 연구원 ·행안부, 국토부, 농림식품부 자문위원 ·KORAIL 경영자문단 사업개발분과 자문위원 ·대전광역시 도시계획위원회 및 정책자문단 기획홍보 분과위원 ·대전광역시 도시철도공사 이사회 비상임이사(의장) ·한국지역개발회장 / 한국지역경제학회장 ·한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장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장 - 주요논문저서 ·Evaluation of Low-Income Housing Projects in Seoul, Korea(석사학위 논문) ·Interregional Inequality of Levels of Living in Korea, 1968-1987(박사학위 논문) ·한국의 지역개발격차 / 한국-이탈리아 지역격차 비교연구 ·한국의 복지농촌건설전략에 관한 연구 ·대전시 산업구조의 변화와 과제 ·대전시 정주쾌적도 분석을 통한 대전시 발전전략 ·동남아지역학개론 ·대전학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대전학입문 / 대전의 연구 / 농촌활력론 외 다수
펼치기
소진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 부여군의 조그만 농촌 ‘꿩바위’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7년 3월 한양대학교 사회과학대학에서 대학 강의를 시작하여 내무부 지방행정연수원 교수를 거쳐 1990년 3월 경원대학교(현 가천대학교)로 옮겨와 사회교육원장, 법정대학장, 사회정책대학원장과 부총장을 역임하였으며 2020년 8월 정년퇴직하였다. 한국행정학회 부회장, 한국지방자치학회 제11대 회장, 한국지역개발학회 제14대 회장과 새마을운동중앙회 제23대 회장을 역임하면서 이론과 실천을 접목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특히 저자는 개발도상국과의 국제개발협력(ODA)에 큰 관심을 갖고 베트남, 우간다 등 30여 나라의 지역개발사업에 관여하였다. 30여 권의 저서와 180여 편의 학술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권태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학부와 대학원에서 건축공부를 하였다. Asian Institute of Technology(AIT, 방콕)에서 도시계획·토지·주거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1995년부터 세명대학교 건축(공)학과에서 강의하면서, 아시아 도시건조환경의 다양한 측면을 학제적으로 접근하는 공부를 해왔다. 충청북도 도정자문단 위원, 충북균형발전위원회 위원장, 제천시 도시재생지원센터장, 단양군 도시·농촌활성화센터장, 행복도시건설청 자문위원, 소방방재청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면서 이론과 현실의 간극을 좁히는 데 관심을 두었으며, 한국지역개발학회 편집위원과 부회장, 한국아시아학회 편집위원장과 회장으로 일하면서 전문가 그룹의 역할 확대를 모색하였다. <도시 주변 토지용도 전환의 차원과 결정변수>, <태백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도시경제기반 구축방향>, <안전도시 구축을 위한 도시재생사업의 방향설정에 관한 기초연구>, <지역사회의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재난저지공동체 접근과 지역자율방재단의 위상>, <아시아 도시의 재난취약성과 인도주의 건축의 역할>, <동남아시아의 도시경관: 아시아 도시건축의 새로운 인식론을 위하여>, <태국의 근대화와 방콕의 변화>, <하노이의 개발과 도시계획: 역사적 과정과 정책적 함의>, <아시아 근현대 도시건축의 이중성>과 같은 글을 발표하였고, ≪고령친화 생활과 건축≫, ≪농촌활력론≫, ≪아시아, 아메리카, 오세아니아의 도시들≫, ≪동남아연구의 새로운 지평≫, ≪East Asian Cooperation in the Glocal Era≫ 등의 공저를 썼다.
펼치기
권태호의 다른 책 >
박은병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남대학교 지역사회개발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독일 도르트문트대학교에서 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극동대학교 부동산학부 겸임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세계적 혁신지역을 간다』, 『대전학 입문』 등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임경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지역사회개발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남가주대학교(USC)에서 Post?Doctoral Course를 이수하였다. 현재 성결대학교 지역사회과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국토·지역계획론』 등의 저서와 『현대지역이론과 정책』 등의 역서가 있다.
펼치기
황정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에 있다. 현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연구사로 재직하고 있다. 「농업, 농촌의 공익기능에 대한 사회적 인식」, 「농촌 사회문화적 공익기능의 경제적 가치」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최근 들어 한·미 FTA 체결 전후로 우리나라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반대시위와 집회가 거세게 일어났다. 그러나 신자유주의에 의한 세계화의 흐름을 살펴볼 때 수출에 국가 경제의 기반을 두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FTA, DDA 등 시장개방은 거스를 수 없는 추세다. WTO 뉴라운드에서 시장개방과 국제표준규범 확립, 농축산물의 교역과 관련하여 식품규격을 국제기준Codex과 조화되도록 요구를 받고 있다. 따라서 세계화에 따른 농업시장 시장 지향적인 기술개발과 함께 품질 및 가격경쟁력이 있는 농·축산물의 생산과 유통이 요구된다.


또한 농촌문화는 다양한 배경, 직업, 국적을 가진 사람들을 포용할 수 있는 확장된 공동체성을 겸비해야 할 것이다. 과거 농촌문화는 상부상조의 공동체적 생활양식을 특징으로 하고 있어, 현재까지도 마을 공동으로 각종 사업을 추진하는 근간이 되고 있다. 이제 농촌 지역사회는 외부 사회에 대한 배타적인 틀을 깨고 공동체의 경계를 한 단계 확장하여, 다양한 사람들이 공존하고, 다양한 삶의 양식이 실험될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거듭날 필요가 있다. 익숙한 것과 새로운 것들 간의 마찰과 충돌을 조율해 나가는 오랜 시간 동안 진통을 통해 대화와 토론, 나눔과 협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문화, 서로 다른 것에 대한 배려와 존중이 있는 문화가 농촌문화의 전통으로 자리하기를 기대한다.


즉, 농촌 지역사회에서 주민 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개발추진조직을 분산형태로 전환하고, 모든 이해당사자가 협상을 통해 자기 의사를 분명히 밝힐 수 있어야 하며, 물리적인 시설을 확보하기보다는 사회적 자본 축적에 중점을 두고, 국가형성보다는 시민사회 구축을 우선해야 한다. 또한 지역사회 개발의 주도권을 모든 이해당사자가 공유하고 역할 분담에 따른 다자간 협상에 의해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며, 민간부문 스스로 공공재 관련 정보를 생산할 수 있어야 하고, 주민의 역할이 공공재의 소비자일 뿐만 아니라 공동 생산자로 전환하여야 하며, 지역사회 내부 자원뿐만 아니라 외부자원을 결합할 수 있어야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