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다이제스트 치의학 연구윤리

다이제스트 치의학 연구윤리

권복규, 강명신, 배광학, 진보형, 노상호, 박희경, 조재진 (지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000원 -0% 0원
750원
14,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9,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다이제스트 치의학 연구윤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다이제스트 치의학 연구윤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사회의학 > 의료 윤리학
· ISBN : 9788952113382
· 쪽수 : 210쪽
· 출판일 : 2012-09-05

책 소개

서울대학교에서 치의학 연구윤리와 관련한 연구 및 강의를 해 온 지은이 일곱 명이 함께 지은 책. 저자들은 이 책을 2008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교과목으로 개설된 '치의학 연구윤리'를 매개로 하여 3년여의 집필기간을 가진 끝에 완성하였다.

목차

책머리에 ⅴ
일러두기 ⅶ

01 인간 대상 연구의 윤리와 법규 _ 권복규·강명신
피험자 보호의 기본 개념과 역사 002 | 인간 대상 연구의 윤리적 규제와 법적 규제 008 | 연구윤리의 필요성 009 | 연구윤리의 원칙 010 | 윤리 원칙의 적용 012 | 국제적으로 주요한 윤리지침 016 | 의약품 임상시험 관리기준과 기관연구윤리심의위원회 018

02 생명연구 vs. 생명윤리 _ 조재진
생명윤리를 둘러싼 역사적 사실 024 | 과학과 윤리 대결의 역사 032

03 동물실험 꼭 필요할까? _ 노상호
동물실험은 언제 시작되었나? 040 | 동물실험과 의약품 041 | 과학자와 기업가의 윤리의식 044 | 동물모델에 의한 질병별 의학진보 장애 046 | 인간이 모델이다 050

04 윤리적인 연구계획서 작성 방법 _ 배광학
연구계획서 작성에서 고려할 윤리적 원칙 054 | 연구윤리 측면을 고려한 연구계획서 작성 056

05 동의를 구하는 이유와 절차 _ 진보형
피험자 동의의 필요성 072 | 충분한 설명에 의한 동의의 정의 073 | 동의서 작성의 실체 079 | 동의서 작성하기 082

06 치과 연구에서 흔히 발생하는 윤리 문제와 해결 _ 권복규
치의학 연구윤리의 필요성 090 | 치의이화여자대학교 학 연구의 특수성 091 | 기관연구윤리심의위원회 092

07 인체조직을 이용한 연구의 윤리적·법적 고찰 _ 박희경
인체조직과 인체조직의 이용 100 | 연구의 상업화와 그에 따른 부작용의 가능성은? 105 | 내 몸에서 나오는 것은 나의 것인가? 108

08 연구 부정행위의 예방과 검증 _ 진보형
연구 부정행위의 범위와 구분 116 | 자기 연구(논문)와 관련된 부정행위 119 | 논문저자의 자격과 저작권 121 | 연구 부정행위의 검증과 검증 절차 123

연습문제 129
부록
뉘른베르크 강령 140 | 벨몬트 보고서 143 | 헬싱키 선언(원문) 161 |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 173 | 서울대학교 연구윤리 지침 188
찾아보기 206
INDEX 209

저자소개

권복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의사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교수로 재직 중이며 『생명윤리와 법』『생명윤리 이야기』 등 의학사와 생명 의료윤리 분야에 다수의 논문과 저서가 있다.
펼치기
강명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국립강릉원주대학교 교수. 연세대학교 치과대학을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보건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동대학원 철학과에서 서양철학(윤리학)을 공부했다. 이후 연세대학교에서 철학과 강사를 시작으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과 보건대학원 그리고 서울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에서 연구교수를 거쳤다. 옮긴 책으로 『병원윤리 딜레마 31』, 『환자가 된 의사들』, 『의사의 감정』, 『제로함』, 『연약한 선』(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진보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예방치학교실
펼치기
노상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강생화학교실
펼치기
박희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강내과진단학교실
펼치기
조재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강생화학교실(치의재생생명공학 전공)
펼치기

책속에서

지금은 많이 줄어들었지만, 아직도 연구윤리와 생명윤리를 혼동하는 사람들이 많다. 연구윤리의 뜻과 생명윤리의 뜻은 전혀 다르다.
연구윤리는 모든 학문 분야에 적용되는 것이다. 법학자, 인문학자, 고고학자 등 인문 분야의 학문에도, 공학, 자연과학 분야의 학문에도 모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윤리이다. 심지어 연구윤리, 생명윤리를 연구하고 의견을 전문적으로 개진하는 윤리학자들에게도 당연히 적용된다. (중략)
반면 생명윤리란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모든 연구와 시술에서 인권이 최우선적으로 보호되어야 한다는 명제를 논의하는 장이다.


20세기에 들어 영국에서는 획기적인 사건이 벌어졌다. 1978년 루이스 브라운Louise Brown이라고 이름 붙여진 세계 최초의 시험관 아기가 태어난 것이다. 의학자인 로버트 에드워즈Robert Edwards와 산부인과 의사인 패트릭 스텝토Patrick Steptoe가 수행한 수십 년간의 공동연구가 거둔 성과였다. 이후 2007년 루이스 브라운이 딸을 자연분만하여 다시 한 번 화제가 되었고 이는 학문적으로 완결성을 가지며, 시험관 아기(체외수정) 즉 IVFin vitro fertilization가 정상적인 다음 세대를 생산할 수 있다는 반증이다. 결국 로버트 에드워즈는 2010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게 된다(스텝토는 사망하여 수상의 영광을 얻지 못하였다.). 이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시험관 아기에 대한 내용이다.
2010년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400만 명이 이 기술을 통해 세상에 태어나게 되었다. 아이를 갖지 못하는 부모들이라면 산부인과에서 이 시술을 받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러나, 에드워즈가 연구할 당시에는 실험이 시험관 내에서 성공하여 시술받을 부모를 찾았으나 그 어떤 병원에서도 허락하지 않았다. 기술적인 문제보다 윤리적인 비난에 휩싸이는 것을 원치 않았기 때문이다. 그 어떤 정부기관이나 연구기금도 이들에게 연구비를 주려고 하지 않았다. 심지어, 스텝토가 그와 연구를 같이 하려 하였을 때 그는 이미 위험한 사람으로 낙인 찍혀 많은 사람들이 공동연구를 만류하였다.


동물실험은 인간의 건강보다는 경제에 더 큰 도움을 주는 것 같다. 동물 실험에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사람은 과학자 이외에 동물생산업체, 동물사육설비업체, 동물용 전문수술장비와 동물조직 및 세포판매업체, 각종 현미경 및 미세수술장비 공급업체, 질환동물모델 개발업체, 동물사료공급업체 등이다. 또 정부기관이나 환경을 오염시키는 회사들이 위험요소를 덮어버리길 원할 때 항상 동물 실험자료를 제시하곤 한다. 유명한 담배회사인 필립모리스는 1975년 자사 캠페인에서 흡연은 인간의 공격적인 성향을 악화시킨다는 문구를 대대적으로 홍보하였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생쥐를 공격하는 고양이의 포악한 성향에 니코틴이 미친 영향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이를 확인하였다.” 이것이 현대사회에서의 기업의 기본적인 윤리의식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