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88952114945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13-12-30
책 소개
목차
서론: 벤담의 시체 1
제Ⅰ부 진화적 이타주의
1. 생물학적 개념으로서의 이타주의 19
2. 사회적 행동에 관한 통합적 진화 이론 67
3. 적응과 다수준 선택 123
4. 집단 선택과 인간 행동 159
5. 적응 단위로서의 인간 집단 191
제Ⅱ부 심리학적 이타주의
6. 근접 메커니즘으로서의 동기 237
7. 세 가지 동기 이론 271
8. 심리학의 증거들 311
9. 철학적 논증 343
10. 심리학적 이타주의의 진화 371
결론: 다원주의 411
참고문헌 421
찾아보기 449
저자소개
책속에서
자연 선택은 스스로 돕는 자를 선호한다. 따라서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희생해서 다른 개체의 생존과 번식을 돕는 일이야말로 자연 선택에 의해 제거될 만한 특성처럼 보인다. 간단히 말해서, 자연 선택은 이기심selfishness을 촉진시키고 이타심altruism을 짓밟는 과정처럼 보인다. … 한 집단 안에서 어떤 이타주의자는 이타주의자가 아닌 사람보다 더 적은 후손을 남길 수도 있지만, 이타주의자로 이루어진 집단은 이타주의자가 아닌 사람들로 이루어진 집단보다 더 많은 후손을 남길 수도 있다.
이타주의와 집단 수준의 적응 간의 차이점은 이 책의 1부를 시작하며 실었던 삽화에 잘 나타나 있다. 작은 물고기들이 무리를 지어서 큰 물고기 모양을 만들고 포식자를 쫓아내는 것은 분명히 적응적인 행동이다. 이 행동이 우연히 진화했거나 집단 내에서 개체의 상대적 적합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행동의 부산물로 진화했을 개연성은 매우 낮다. 이러한 행동은 아마도 여러 가지 모양으로 무리 지어 다니는 작은 물고기 집단들 중에서 큰 물고기를 닮은 모양으로 무리 짓는 물고기들이 더 많은 자손을 남기게 되는 식의 선택 과정을 거쳐 진화했을 것이다.
개체가 자신은 진화하면서 내부에서 일어나는 선택은 억제함으로써 그렇게 훌륭한 선택의 매개체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은 개체군 구조 자체도 진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나의 형질이 다른 형질의 영향반경이나 집단 간 변이, 집단 내에서의 적합도 차이, 그 밖에 다수준 선택 이론의 주요 변수들을 바꿀 수 있다. 개체군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형질과 새로운 개체군 구조에서 선호되는 형질의 공진화는 자연 선택을 생물학적 위계에서 하나의 수준에 집중시키고 많은 적응이 하나의 단위로 한꺼번에 일어나도록 하는 피드백 과정을 일으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