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직업교육/사회교육
· ISBN : 9788952118486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17-02-0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장. 머리말
제2장. 교육내용의 중요성
1. 내용지식의 특성
2. 내용과 방법
3. 역사교과학
4. 역사교수학습론
제3장. 역사 인식론과 역사교육
1. 역사지식의 인식론적 배경
2. 역사 인식론교육
제4장. 시간성과 통찰력
1. 역사에서의 시간지평
2. 미래전망의 역할
3. 역사가의 통찰력
제5장. 역사연구와 인식의 방식
1. 계열의 설정
2. 생기를 불어넣는 예술가
3. 중요성 판단
제6장. 진리론과 역사 인식
1. 대응설
2. 정합설
3. 구성적 인식론
제7장. 자율론의 역사 인식 논리와 역사교육
1. 자율론의 역사 인식 논리
2. 자율론의 역사교육적 함의
제8장. 보편사의 역사 인식 논리와 역사교육
1. 보편사의 역사 인식 논리
2. 보편사의 역사교육적 함의
제9장. 역사서사의 인식 논리와 역사교육
1. 역사서사의 역사 인식 논리
2. 역사서사의 역사교육적 함의
제10장.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간행사
저자소개
책속에서
향후 국가 간 역사분쟁이나 정치세력 간 역사 장악 다툼은 결국 역사 인식의 다양성 문제에 닿게 될 것이다. 역사서사의 문제도 역사 인식의 문제인 만큼, 결국 인식주체의 문제로 귀결될 것이다. 따라서 역사교육에서 인식과 인식주체의 문제에 있어 기존 역사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요구된다. 앞으로의 역사교육은 역사학자나 교사가 가르치고 학습자가 배우는 전통적인 교육이라기보다, 학습자, 독자가 스스로 깨닫는 인식론교육이라고 보는 교육관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역사 인식 문제는 바람직한 역사교육을 구현하기 위해 필수적인 연구 분야가 될 것이다.(xiii쪽)
이 책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면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역사교육에서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둘째, 인문학으로서의 역사학에서 역사 인식이란 어떤 것을 말하는가?
셋째, 역사학의 역사 인식 논리가 갖는 역사교육적 함의는 무엇인가?
이 책은 문헌 연구로서 역사 인식의 논리와 이를 역사교육에 관련시키는 문제를 고찰한 것이다. 특히 역사교육에서 역사 인식의 문제를 분명하게 부각시키기 위하여, 학교역사교육에 대한 병리학적인 접근보다, 역사교육 일반을 염두에 두고 접근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역사를 가르치고 배우는 공간을 상정하고, 그 속에서 일어나는 역사 인식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역사 인식의 성격에 따른 역사교육은 궁극적으로 역사 인식을 가르치는 것으로서, 결국에는 학습자의 통찰력을 계발하는 교육이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역사교육의 여러 주체들의 역할이나 교육관에서 인식의 전환이 요구된다. 교사양성대학의 커리큘럼 구성 방향도 역사지식의 인식론적 배경을 중시하는 방향이 되어야 할 것이다. 역사교사는 객관적인 역사지식의 전달자가 아니라 역사 인식을 드러내는 존재이고, 이를 통해 학생의 역사적 통찰력을 계발하는 존재라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역사학자는 역사교육을 위한 역사서사를 고민하여 부단히 메타 서사를 공급할 의무가 있다. 이 모든 것들은 역사교육이 인식론교육으로서 자리매김하는 데 필요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