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ISBN : 9788952130471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1-06-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진리 경험의 역동성과 긴장성: 하이데거의 『파르메니데스』에 나타난 플라톤 해석의 정치적 함의(이상원)
I. 서론: 정치적 존재와 진리의 고전적 문제성
II. 고대 철학적 진리 개념의 역동성
III. 하이데거의 정치체에 관한 고전적 사유와 플라톤 ‘에르의 신화’ 해석
IV. 진리의 열림과 닫힘, 그리고 정치적 존재의 긴장성
V. 결론: 진리의 가능성과 정치철학
2 스트라우스의 플라톤주의: 스트라우스 정치철학의 두 테마와 관련하여(박성우)
I. 서론
II. 자유주의의 위기 테마와 스트라우스의 플라톤주의
III. 이성과 계시의 갈등 테마와 스트라우스의 플라톤주의
IV. 스트라우스의 플라톤주의의 주요 쟁점들
V. 결론
3 왜 오크숏은 바벨탑에서 내려와 동굴로 향했는가?: 플라톤 정치철학 해석에 비춰 본 오크숏의 합리주의 비판(김지훈)
I. 서론
II. 바벨탑에서 내려오기: (정치적) 합리주의 비판
III. 바벨탑에서 내려와 동굴로: 플라톤 정치철학에 대한 오크숏의 해석
IV. 동굴 속에서 하늘 바라보기: 오크숏 정치철학의 의의
V. 결론
4 아렌트의 플라톤 비판에 대한 고찰: 목적-수단 논리를 중심으로(표광민)
I. 서론
II. 아렌트의 플라톤 해석에 대한 해석들
III. 물질세계의 속성으로서 목적-수단 논리
IV. 목적-수단 관계 너머의 정치
V. 결론: 진리를 거부한 아렌트 정치의 현재적 의미
5 플라톤의 철학적 주체성에 대한 푸코식 고찰: 플라톤적 자기 배려와 ‘플라톤주의의 역설’(박수인)
I. 서론: 푸코의 플라톤 읽기
II. 푸코의 『알키비아데스』 독해: 영성의 플라톤적 재구축
III. 푸코의 『향연』 독해: ‘진정한 사랑’과 ‘자기 배려’의 배려
IV. ‘플라톤주의의 역설’: 철학적 주체성에 대한 푸코식 성찰
V. 결론
6 플라톤 해석을 중심으로 살펴본 누스바움 철학의 변화와 특징: 인간과 행복에 대한 철학적 이해와 정치적 해법(안태현)
I. 서론
II. 플라톤 해석으로 보는 초기 누스바움: 합리주의 인간관 비판과 사랑 예찬
III. 누스바움 철학의 변화와 확장
IV. 결론
찾아보기
책속에서
일반적으로 우리는 플라톤 해석을 토대로 시대를 진단한 대표적인 20세기 철학자로 칼 포퍼(Karl Popper)를 떠올린다. (...) 플라톤에 대한 일반적인 이미지가 민주주의의 적 혹은 전체주의 사상의 진원지로 그려지는 것도 다분히 그의 ‘공헌’이 아닐 수 없다. (...) 20세기 정치철학자 여섯 명의 플라톤 해석은 포퍼의 강력한 이미지에서 플라톤을 해방시키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이들의 플라톤 해석은 20세기 플라톤 해석에 있어서 공정성을 회복하는 계기가 될 뿐 아니라, 20세기를 들여다볼, 더 세련된 정치철학자의 눈을 확인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오늘날 민주주의 자체를 지키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다시금 ‘진리’의 문제를 거론할 수밖에 없다. 진리의 참된 의미, 가능성과 한계는 무엇인가? 인간 존재가 직면해 온 진리의 문제성은 단순히 절대적 원칙의 일방적 제시나 다양성의 섣부른 추구만으로 규정되거나 극복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우리는 진리의 근원적 문제와 치열하게 직면했던 고대 철학의 문제의식에 대한 재해석에 다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과연 플라톤은 그의 수많은 대화록에서 어떠한 절대적 교리를 주장했는가?
오크숏은 (...) 개인화되는 역사적 흐름 속에서 반대급부로 나타난, 개인화를 거부한 사람들(individual manque)이 있음을 내세웠다. 이들은 여전히 과거 공동체적 유대를 그리워하며, 종종 반개인주의적인(anti-individual) 성향을 보인다. 이들은 개인이 스스로 삶을 개척해 나가는 모험보다는 서로 간의 ‘다름’을 거부하고 안정적으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공동체적 지침을 추구한다. 이렇게 삶의 다른 지향점을 품고 있는 개인들이 어떻게 한 공동체 내에서 함께 지낼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