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88946083301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4-10-01
책 소개
목차
서론│MZ세대의 통일의식 _김병연
제1부 MZ세대의 특성
제1장│MZ세대 북한 인식의 가변적 보수성 _김병로
제2장│MZ세대, 정말 다른가? MZ세대의 통일의식, 가치관과 경험 _김성희
제3장│도피하는 MZ세대는 ‘해방’세대가 될 수 있는가? _김지훈
제4장│데이터를 통해 본 통일의식의 과거와 현재 _김범수
제2부 MZ세대의 인식
제5장│2030 젊은 세대의 핵무장 여론: 20대는 핵무장을 더 지지하나? _조현주
제6장│다문화사회로 가는 길목에 선 남한 청년들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새로운 시선 _최은영
제7장│세대주의를 넘어 동아시아 청년의 연대로: 한국 청년세대의 주변국 인식 _이문영
제3부 MZ세대의 국제 비교
제8장│시장화와 한류의 교차점에 선 그들: 북한의 MZ세대는 누구인가? _김택빈
제9장│독일 통일 여론의 변화와 세대: 민주주의는 어떻게 통일을 이뤘는가? _김학재
제10장│일본 MZ세대와 한반도 통일: 변화하는 일본과 불안정한 시대의 통일 전략 _오승희
제11장│대만 청년세대의 부상과 양안관계 인식의 새 지평 _백지운
저자소개
책속에서
MZ세대는 기본적으로 남한 의식이 아닌 대한민국 의식을 갖고 있다. MZ세대는 분단의 기억이 희미하며 대한민국에서 나고 자란 세대다. 따라서 이들이 갖고 있는 대한민국 의식은 이념적으로 해방공간 내에 ‘대한민국’만이 유일한 합법정부라는 과거 세대의 인식과는 다르다. 탈냉전 이후 한국의 세계적 위상이 높고 한류가 새로운 문화 흐름을 형성한 환경에서 자란 만큼, 대한민국을 ‘완전한’ 나라로 인식한다._ 제1장|MZ세대 북한 인식의 가변적 보수성
민족통일연구원(1999년 통일연구원으로 명칭 변경)이 1994년 전국의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통일 필요성과 관련한 질문에 응답자의 91.6%가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반면 불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중은 8.4%에 불과했다. 또한 10년 이내 통일이 가능하다고 응답한 비중이 73.8%에 달할 정도로 통일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증가했다. 그러나 이처럼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던 통일 열망과 통일에 대한 낙관적 전망은 2000년대 이후 서서히 줄어들었다._ 제4장|데이터를 통해 본 통일의식의 과거와 현재
탈북민이 직접 텔레비전에 출연하는 프로그램을 통한 ‘간접 접촉’으로도 왜곡된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출연한 북한이탈주민들이 재현하는 북한과 북한 사람들, 북한이탈주민들은 현실과 괴리된 새로운 이미지로 생성되며, 시청률과 인기를 위해 더 자극적인 이미지를 생성·소모하기도 한다. 이렇게 형성된 북한과 북한 사람에 대한 이미지는 다수자인 한국인과 소수자인 북한이탈주민의 관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_ 6장|다문화사회로 가는 길목에 선 남한 청년들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새로운 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