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MZ세대의 통일의식

MZ세대의 통일의식 (반양장)

김병로, 김성희, 김지훈, 김범수, 조현주, 최은영, 이문영, 김택빈, 김학재, 오승희, 백지운 (지은이), 김병연 (엮은이)
한울(한울아카데미)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220원
21,7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MZ세대의 통일의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MZ세대의 통일의식 (반양장)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88946083301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4-10-01

책 소개

현 세대 통일의식을 다양한 각도로, 설문조사와 개인별 데이터까지 활용해 세밀히 분석했다. 이제 남한과 북한, 주변국 MZ세대의 인식과 동서독 사례까지 망라한 이 책을 통해 한반도의 미래를 새롭게 조망해 보자.

목차

서론│MZ세대의 통일의식 _김병연

제1부 MZ세대의 특성

제1장│MZ세대 북한 인식의 가변적 보수성 _김병로
제2장│MZ세대, 정말 다른가? MZ세대의 통일의식, 가치관과 경험 _김성희
제3장│도피하는 MZ세대는 ‘해방’세대가 될 수 있는가? _김지훈
제4장│데이터를 통해 본 통일의식의 과거와 현재 _김범수

제2부 MZ세대의 인식

제5장│2030 젊은 세대의 핵무장 여론: 20대는 핵무장을 더 지지하나? _조현주
제6장│다문화사회로 가는 길목에 선 남한 청년들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새로운 시선 _최은영
제7장│세대주의를 넘어 동아시아 청년의 연대로: 한국 청년세대의 주변국 인식 _이문영

제3부 MZ세대의 국제 비교

제8장│시장화와 한류의 교차점에 선 그들: 북한의 MZ세대는 누구인가? _김택빈
제9장│독일 통일 여론의 변화와 세대: 민주주의는 어떻게 통일을 이뤘는가? _김학재
제10장│일본 MZ세대와 한반도 통일: 변화하는 일본과 불안정한 시대의 통일 전략 _오승희
제11장│대만 청년세대의 부상과 양안관계 인식의 새 지평 _백지운

저자소개

이문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부교수. 러시아와 한반도, 인문학과 평화학을 결합하는 연구를 하고 있으며, (사)외교광장 이사를 맡고 있다. 대표 저서로 『전쟁과 폭력의 시대에 다시 읽는 톨스토이 평화론』(2024), 대표 논문으로 “North Koreans in Russia Between Migrants and Refugees”(2024) 등이 있다.
펼치기
오승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연구교수. 주요 연구 분야는 일본의 외교정책, 중일관계, 동아시아 국제관계다. 대표 저서로 『동아시아 인정투쟁: 패전국 일본, 분단국 중국, 식민지 한국의 국교정상화』(2023)가 있으며, 대표 논문으로 「일본의 MZ세대가 바라보는 세계와 한국: 나다움, 가치소비, 공감연결』(2022) 등이 있다.
펼치기
김병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부교수. 현재 통일평화연구원 조사분석실장 및 김대중학술원 연구위원, 한반도평화연구원 연구위원, 평화나눔재단 고문, 기독교통일포럼 상임대표 등을 맡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북한, 조선으로 다시 읽다』(2016), 『한국과 조선: 남북한 정통성 경쟁』(2024) 등이 있으며, 대표 논문으로는 “State-led Development and Social Change in North Korea under Kim Jong-un Regime”(2021) 등이 있다.
펼치기
김지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현재 철학과 겸직 교수를 맡고 있다. 대표 저서로 『마이클 오크숏』(2024)이 있으며, 역서로 『내전: 관념 속 역사』(2024), 대표 논문으로 「리바이어던을 기다리는 프로메테우스: ‘이성적 원칙’에 따라 설립되는 (정치적) 주권자의 가능성과 한계』(2023)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성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일반사회교육과 조교수. 현재 전북대학교 일반사회교육과에서 경제학 관련 강의를 담당하고 있다. 대표 논문으로 “Market activities and trust of North Korean refugees”(공저, 2019), “Migration and trust: Evidence from West Germany after unification”(공저,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조현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주요 연구 분야는 국제분쟁, 영토분쟁, 동아시아 안보, 핵 정책이다. 대표 논문으로 “Why Do Territorial Disputes Escalate? A Domestic Political Explanation for the Senkaku-Diaoyu Islands Dispute”(공저, 2016), “Understanding South Korean Public Attitudes Toward Nuclearization: Trends Over a Decade Through External, Domestic, and Individual Perspectives”(공저, 2024) 등이 있다.
펼치기
김택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현재 통일의식조사, 북한이탈주민의식조사 사업 등을 맡고 있다. 대표 논문으로는 “북한의 젊은 세대 내 이질성에 관한 연구: 개인주의, 자본주의, 남한, 남한 중심의 통일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2023), “Effects of Everyday Corruption on Perceptions of Authoritarian Leadership: Evidence from North Korea”(2024)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MZ세대는 기본적으로 남한 의식이 아닌 대한민국 의식을 갖고 있다. MZ세대는 분단의 기억이 희미하며 대한민국에서 나고 자란 세대다. 따라서 이들이 갖고 있는 대한민국 의식은 이념적으로 해방공간 내에 ‘대한민국’만이 유일한 합법정부라는 과거 세대의 인식과는 다르다. 탈냉전 이후 한국의 세계적 위상이 높고 한류가 새로운 문화 흐름을 형성한 환경에서 자란 만큼, 대한민국을 ‘완전한’ 나라로 인식한다._ 제1장|MZ세대 북한 인식의 가변적 보수성


민족통일연구원(1999년 통일연구원으로 명칭 변경)이 1994년 전국의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통일 필요성과 관련한 질문에 응답자의 91.6%가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반면 불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중은 8.4%에 불과했다. 또한 10년 이내 통일이 가능하다고 응답한 비중이 73.8%에 달할 정도로 통일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증가했다. 그러나 이처럼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던 통일 열망과 통일에 대한 낙관적 전망은 2000년대 이후 서서히 줄어들었다._ 제4장|데이터를 통해 본 통일의식의 과거와 현재


탈북민이 직접 텔레비전에 출연하는 프로그램을 통한 ‘간접 접촉’으로도 왜곡된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출연한 북한이탈주민들이 재현하는 북한과 북한 사람들, 북한이탈주민들은 현실과 괴리된 새로운 이미지로 생성되며, 시청률과 인기를 위해 더 자극적인 이미지를 생성·소모하기도 한다. 이렇게 형성된 북한과 북한 사람에 대한 이미지는 다수자인 한국인과 소수자인 북한이탈주민의 관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_ 6장|다문화사회로 가는 길목에 선 남한 청년들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새로운 시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