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종교문화
· ISBN : 9791188765591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9-12-25
책 소개
목차
상나라 수렵, 목축, 제사 ... 삶의 세계 구축과 신, 인간, 동물의 관계 / 임현수
상왕조의 인간희생제의에 관한 연구 : 전쟁, 도시, 위계를 중심으로 / 임현수
중국고대의 흔례(?禮)에 대한 소고 : 희생제의와의 관련성에 주목하며 / 이연승
중국 고대의 회맹의례에 나타나는 삽혈(?\血)에 대하여 / 이연승
도교 희생제의에서 매개자로서의 도사(道士)의 특성과 의미 / 최수빈
도교의 희생제의[祭祀], 그리고 제물 / 최수빈
동아시아 불교에서의 희생제의 / 셈 베르메르스
유교 제사에 나타난 ‘희생제의’와 ‘평생의례’의 이중적 성격 / 이욱
조선시대 왕실 제사와 제물의 상징 / 이욱
저자소개
책속에서
▷ 상나라 수렵, 목축, 제사를 통해서 본 삶의 세계 구축과 신, 인간, 동물의 관계
상대의 가축들은 이러한 길들이기 방식을 통해서 야생동물과 구별되었다. 상대의 사육 기술은 야생동물에게 가해진 기술적이며 제한적인 폭력이었다. … 제사에 바쳐진 희생은 사육 기술에 의해서 길들여진 동물 중에서 특별한 것을 선택하여 도살하였다. 상대 사회에서 목축은 수렵보다 자연의 힘을 통제하는 데 훨씬 덜 위험한 방법이었을 것이다. 양자는 각각 동물을 향한 직접적인 폭력과 길들이기의 차이점이 있지만, 자연에 가한 인간의 간섭과 통제의 형식이라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 상왕조의 인간희생제의에 관한 연구
상왕조는 자신들을 늘 위협하는 외부 세력에 대하여 위계의 차이를 만들고자 고심하였으며, 이는 전쟁을 통해서 획득한 포로들을 인간희생제의라는 문화적 장치를 통하여 살해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인간희생제의는 상왕조의 도시에 마련된 의례 공간에서 공공연하게 거행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위계의 차이를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이를 내부와 주변 지역으로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방법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 중국 고대의 회맹의례에 나타나는 삽혈에 대하여
회맹의례에서 용혈은 살생(殺牲)과 삽혈이라는 두 가지 계기에서 보이는데, 살생(殺牲)에서의 피에는 일반적인 희생제의에서 신적인 존재에게 바치는 공경이라는 성격과 더불어 저주의 함의로서 위협적 경고의 성격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삽혈에서의 피에는 동일한 피를 마심으로써 상징적으로 한 핏줄의 형제(친족) 관계가 된다는 기본적인 의미 외에, 배맹(背盟)한 사람이나 국가에게는 맹서했던 저주가 이르도록 하는 주술적 힘이 있다는 믿음이 관건을 이루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