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88961876841
· 쪽수 : 386쪽
· 출판일 : 2021-12-31
목차
책머리에 · 4
총론
1. 근대 동아시아의 ‘평화’를 생각한다 제국, 민족공동체, 저항과 평화상상 _ 장인성
I. 평화와 근대 동아시아 · 15
II. 평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 · 17
III. 평화의 구조와 언설 · 24
IV. ‘동양평화’의 조건과 양태 · 30
V. ‘제국의 평화’와 ‘민족의 평화’ · 37
VI. ‘공영’에서 ‘세력균형’으로 · 49
제1부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평화
2. 안중근과 「동양평화론」 _ 최덕규
I. 들어가며 · 55
II. 한국의 국외항일독립운동과 블라디보스토크 · 61
III. 「동양평화론」의 러시아 인식 · 74
IV. 「동양평화론」과 일본의 아시아주의 · 88
V. 나가며 · 105
3. 중국 근대 평화론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_ 차태근
I. 들어가며 · 113
II. 균세: 법(法)과 술(術) 사이 · 118
III. 제물(齊物)세계와 민족주의 · 134
IV. 동화론(同化論)적 세계국가 · 146
V. 나가며 · 157
4. ‘중화민족은 평화를 매우 사랑한다’는 담론의 역사적 전개와 의미_ 오노데라 시로
I. 들어가며 · 165
II. 량치차오의 ‘현실주의’적 평화론 · 168
III. 쑨원의 ‘국민성’적 평화론 · 175
IV. 제1차 세계대전과 ‘평화’를 이야기하는 방식 · 181
V. 세계대전의 종결과 평화론의 전개 · 190
VI. ‘혹애화평(酷愛和平)’의 일반화 · 196
VII. 나가며 · 202
제2부 저항과 평화
5. 민중 연대를 통한 동아시아적 평화의 실천 오스기 사카에의 사회이론과 현실과의 교차 _ 김병진
I. 들어가며: 20세기 초 일본 사회주의의 일면 · 217
II. 오스기 사카에의 ‘일본탈출’ · 222
III. 혁명의 주체는 누구인가? · 227
IV. ‘폭력적 수탈’ 프로세스와 저항의 공간 · 239
V. 나가며: 글로벌 자본주의에 대항한 민중의 연대 · 249
6. 여운형의 평화론과 제국의 ‘법과 도덕’ 논쟁 공명하는 저항성과 균열하는 국가상 _ 이경미
I. 들어가며 · 255
II. 여운형의 평화론: ‘신-세계-동양-조선’ · 259
III. 제국의 ‘법과 도덕’ 논쟁: 공명과 균열의 정체 · 278
IV. 나가며: 해방 후 실종된 동양과 신 · 297
제3부 공동체와 평화
7. 『국가와 종교』를 통해 본 난바라 시게루의 전체주의 비판 _ 박은영
I. 들어가며 · 305
II. 난바라 시게루의 사상적 배경 · 308
III. 신정정치 비판과 가치병행론 · 312
IV. 나치즘과 천황제 파시즘 · 319
V. 나가며 · 330
8. 이돈화의 민족사회형성론과 이상사회의 행방 『신인철학』의 루소 사회계약론 이해를 바탕으로 _ 이예안
I. 들어가며: 식민지 조선에서 ‘새로운 인간 = 사회’를 요청하다 · 335
II. 위기의 민족, 그 부활을 위하여 · 340
III. 사회계약·자연상태·사회상태 개념의 재전유 · 347
IV. ‘사회’: 개체와 전체의 새로운 존재양태 · 353
V. ‘인간격’: 새로운 공동체의 지위 · 360
VI. 나가며: 도덕공동체와 이상사회의 행방 · 367
찾아보기 ·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