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미래학
· ISBN : 9788952211989
· 쪽수 : 94쪽
· 출판일 : 2009-07-01
책 소개
목차
미래예측과 미래학은 왜 중요한가?
미래예측과 미래학의 역사
미래예측과 미래경쟁력
미래학의 연구 기법과 미래학자
저자소개
책속에서
미래예측은 국가정책에 있어서나 기업경영에 있어서나 매우 중요하다. 기업이 시장, 수요, 기술발전, 경영환경 등에 대해 과학적인 예측을 한다면 시장을 선점할 수 있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반대로 미래예측에 실패하면 경쟁에서 도태될 수 있다. 미래예측의 중요성은 역사적인 몇 가지 사례만 봐도 금방 알 수 있다. ‘로열더치셸’의 피터 슈워츠가 그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소련의 몰락을 정확히 예측함으로써 일거에 업계를 장악했던 일은 대표적인 예이다. (7-8쪽)
‘미래학’이라는 용어는 1943년 미국의 정치학자 오시프 플레이트하임(Ossip Flechtheim)이 처음으로 사용했지만, 미래연구의 실무적인 방법론은 제2차 세계대전 말에 등장한 ‘과학기술에 바탕을 둔 예측’에서 비롯됐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장 중요한 연구는 헝가리 출신의 미국 항공역학자 테오도르 폰 카르만(Theodore von Karman, 1881.5.11.~1963.5.6.)이 쓴 보고서 ?새로운 지평선을 향하여(Toward New Horizons)?(1947)이다. (35-36쪽)
랜드연구소는 오늘날 미국의 안보전략 및 지구적 이슈를 연구하는 글로벌 싱크탱크(think-tank)로 유명하다. 미래학 연구의 관점에서 보면, 미래예측의 가장 중요한 두 가지 방법론인 시나리오 기법과 델파이 기법이 모두 이 연구소에서 고안되었다는 점에서 현대 미래학 연구의 요람이라고 할 수 있다. 시나리오 기법은 미래의 가능성을 추론하면서 생성되는 복수의 시나리오를 논리적으로 전개하는 방법이고, 델파이 기법은 여러 전문가(experts)의 집단적인 의견과 지식을 수렴해 하나로 통합하면서 미래가능성을 예측하는 방법이다.(39쪽)
미래학이 가장 앞선 미국의 경우는 오늘날 미래학이 하나의 학문으로 자리 잡고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하와이 대학, 휴스턴 대학과 텍사스 대학에 미래학 학위 과정이 있고, 중?고등학교에 미래학 커리큘럼이 편성되어 있는 곳도 적지 않다. 플로리다 주에서는 매년 여름에 주 정부가 미래학 강좌를 주최하고 있고, 휴스턴 대학이나 볼스테이트 대학의 미래학부에서는 최근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미래연구의 노하우를 소개하는 책을 출판하고 일반인을 위한 세미나도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8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