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극동 : 천주교 선교사들이 기록한 조선인의 신앙과 생활

극동 : 천주교 선교사들이 기록한 조선인의 신앙과 생활

성골롬반외방선교회 (지은이), 박경일, 안세진 (옮긴이)
살림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800원 -10% 0원
1,600원
27,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극동 : 천주교 선교사들이 기록한 조선인의 신앙과 생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극동 : 천주교 선교사들이 기록한 조선인의 신앙과 생활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생활풍속사
· ISBN : 9788952238146
· 쪽수 : 648쪽
· 출판일 : 2017-12-14

책 소개

조선에 파견된 선교사들이 국제 가톨릭 선교단체인 성골롬반외방선교회 기관지 '극동(極東, The Far East)'에 기고한 글들을 엮었다. 선교사들의 눈에 미친 근대 조선의 모습, 조선에 천주교 신앙이 정착되는 과정, 조선의 통상수교거부정책과 천주교 박해사건 등을 담고 있다.

목차

발간사
편역자 해제

제1장 1930년대에 실린 기사
1933년 11월호 사설
1933년 11월호 동방 은자의 왕국
1934년 7월호 천주교 신앙은 어떻게 조선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는가(1회)
1934년 8월호 조선에서의 첫 생활 이모저모
1934년 9월호 천주교 신앙은 어떻게 조선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는가(2회)
1934년 10월호 천주교 신앙은 어떻게 조선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는가(3회)
1934년 12월호 천주교 신앙은 어떻게 조선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는가(4회)
1934년 12월호 천주교 신앙은 어떻게 조선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는가(5회)
1935년 1월호 천주교 신앙은 어떻게 조선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는가(6회)
1935년 2월호 천주교 신앙은 어떻게 조선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는가(7회)
1935년 2월호 왕자비(王子妃) 장씨(氏)가 보낸 성탄 편지
1935년 3월호 천주교 신앙은 어떻게 조선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는가(8회)
1935년 7월호 ‘둥글게 둥글게’
1935년 10월호 요한이 지은 집
1936년 2월호 영혼의 우리란 무엇인가?
1936년 3월호 메이누스선교회의 큰 영광
발행일 미상 조선에서 보낸 편지
1937년 11월호 갖가지 모자의 나라, 조선 !
1938년 1월호 우리의 문둥이 친구들
1938년 3월호 다니엘 맥메나민 신부님
1938년 6월호 조선의 소묘(素描)
1938년 9월호 조선에서의 어느 이른 아침
1939년 3월호 강원도 산간의 선교
1939년 3월호 다른 종(鐘)
1939년 5월호 목포의 자랑
1939년 6월호 환갑(還甲)
1939년 9월호 대구의 새 대교구장
1939년 10월호 순천의 우리 학교
1939년 12월호 아침의 고요 속에서

제2장 1940년대에 실린 기사
1940년 2월호 도사울의 경삿날
발행일 미상 조선에서 교회 세우기
1940년 8월호 송 바오로의 행복
1940년 9월호 미국에서 일본으로
1940년 10월호 선택받은 조선인들
1941년 1월호 조선의 산지(山地)에서
1941년 2월호 교황청, 퀸란 신부를 교구장에 임명
1941년 2월호 조선 천주교 박해 사건들의 회고
1941년 4월호 어린아이가 그들을 인도하게 하라
1941년 6월호 말괄량이 ‘왈바리’
1942년 2월호 조선의 생활양식
1942년 9월-10월 합본 조선의 공소
1943년 4월호 조선의 추억
1943년 4월호 조선의 학교생활
1945년 11월호 조선의 식복사(食服事)
발행일 미상 퀸란 몬시뇰로부터 온 편지
1946년 5월호 조선의 감옥에서 지낸 3년
1946년 8월호 조선에서의 감금
발행일 미상 세 사람의 조선인
1946년 12월호 퀸란 몬시뇰이 보낸 보고서
발행일 미상 조선의 일본인
1947년 8월호 조선 천주교의 재건
1947년 8월호 한국의 오두막
1948년 3월호 조선 에피소드
발행일 미상 조선의 교회
발행일 미상 최 안드레아
1948년 8월호 한국의 나병환자들
1948년 9월호 조씨와 마리아 의사 선생님
1949년 2월호 두 분의 선교회 지도자

제3장 1950년대에 실린 기사
1950년 1월호 한국의 성탄 전야
1950년 5월호 모든 것이 잘 되어가고 있습니다
발행일 미상 어느 부랑자의 임종
1950년 9월호 한국에 온 신참자
1950년 11월호 한국의 추억들
1951년 1월호 한국에서 죽음을 당하시다
1951년 1월호 한국에서의 실종
1951년 2월호 전쟁으로 타격을 입은 한국의 선교원들
1951년 2월호 그분들은 한국에서 희생되셨습니다
1951년 2월호 북한에서 보내는 보고
1951년 2월호 목포로 귀환
1951년 3월호 강릉으로 귀환
1951년 4월호 춘천으로부터 후퇴
발행일 미상 전쟁의 상흔을 입은 춘천
1951년 9월호 라일리 신부님의 최후
1952년 3월호 한국에서의 장례미사
1952년 4월호 목포의 새 본당 신부
1952년 5월호 한국에서 보내는 소식
1952년 8월호 흑산도에서
1952년 10월호 미자와 마리아
발행일 미상 300명의 신부님들
1953년 6월호 한국
1953년 7월호 한국에서의 체포
1953년 8월호 장기간의 억류
1953년 8월호 신앙의 승리
1953년 9월호 한국 남서부에서 보내는 소식
1953년 10월호 춘천의 기적
1953년 12월호 평화의 서곡
편역자 후기
덧붙이는 글
편역자 주

저자소개

성골롬반외방선교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골롬반외방선교회는 에드워드 갈빈(Edward Galvin) 신부와 존 블로윅(John Blowick) 신부가 1918년에 창설한 천주교 선교단체로 1933년 교황청으로부터 한국 진출을 허락받아 맥폴린 신부 등 10명의 사제들이 입국해 전라남도와 제주에서 선교를 시작했다.
펼치기
박경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목포에서 중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영문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학교 영어학부 명예교수며,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T.S. 엘리엇과 불교: 엘리엇 연구의 대전환을 위한 방법론 서설」 「T.S. 엘리엇의 중도(中道) 사상: 불교적 영문학 읽기를 위한 방법서설」 「불교와 포스트모더니즘」 『니르바나의 시학: 회전하는 세계의 정지점 탐구』 『영문학과 동양사상』 『문학과 철학: T.S. 엘리엇의 철학적 계보학』 등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안세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대학원 영문과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동북고등학교 영어교사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몇 년간을 조선에서 지내보니, 동양의 나라들에서는 군중들을 끌어 모으는 것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 군중들을 해산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확실히 알게 되었다. 나는 군중들이 어떠한 정치 집회에도 손색이 없을 만큼 순식간에 모여드는 것을 본 적이 있다. 남자들은 손에 연장들을 들고, 여자들은 아이들을 안고, 하던 일은 전혀 중요하지 않다는 듯 모두 내팽개쳐둔 채 모여들었다. 그런데 도대체 뭘 하려고? 아마도 어떤 이가 개를 조련하는 것을 구경하기 위해서이거나, 길거리를 걷고 있는 한 외국인을 구경하기 위해서이다. 사실, 조선의 군중들에게 구경거리가 안 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그것은 단지 길 가던 행인들이 가던 길을 멈추고 길가에서 뭔가 희한한 것을 구경하는 그런 문제가 아니다. 그것이 아니다. 군중들은 어떤 광경을 구경하기 위해 일부러 사방에서 모여드는 것이고, 일단 모여들면 끝까지 머무른다. 한 시간 혹은 두세 시간을 머물러야 하는 경우도 있다. 문제 될 게 무엇인가? 시간은 조선인들에게는 가장 값싼 일용품이어서 그들은 얼마든지 시간을 탕진할 수 있다. 시간 낭비에 대해 조급해하거나 불평하는 기색은 전혀 없다. 모든 사람들이 서서 구경하는 것에 만족해한다. 사정에 따라서는 설령 볼 수 없는 경우에도 그냥 서 있는 것만으로도 만족스러워한다.


밤 동안에 폭우가 내렸는데 아침이 다가와도 계속해서 빗방울 떨어지는 소리가 이어졌다. 진창이 된 황량한 벌판들은 비참하고 버려진 모습을 드러내고 있었다. 초가지붕을 이은 흙집들은, 마치 서로 의지하기라도 하려는 듯, 언덕배기에 옹기종기 모여 있거나, 물이 가득 찬 논들 근처에 위험스럽게 걸쳐 있었다. 비참한 골목길들이 구불구불 이 마을들로 이어지고 있었고, 길에는 조선인들이 오고 가고 있었는데, 그들의 흰옷은 이 점점 더 들이붓듯이 쏟아지는 폭우 속에서 그 단정한 차림을 유지하려고 애썼지만 허사였다.


조선의 주식(主食)은 다른 극동(極東) 지역과 마찬가지로 쌀인데, 여기에 약간의 생선을 곁들여 먹는다. 조선인들은 다양한 야채를 좋아하는데, 어떤 것들은 날로 먹기도 하고, 또 어떤 것들은 데쳐서 먹기도 한다. 조선인들이 가장 흔하게 먹는 것은 단연 김치인데 이것은 조선 고유의 채소 절임으로, 그 시큼하고 지독한 냄새는 조선 곳곳에 배여 있다. 모든 조선의 주택에는 김치 항아리들이 줄지어 놓여 있는데 그중 큰 것은 10~12갤런 정도의 용량이며 여러 달을 먹을 수 있는 양의 김치가 발효되고 있다. 조선의 가정주부는 김치 항아리를 여러 개 갖고 있을수록 특별한 자부심을 느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