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시론
· ISBN : 9788954680844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1-07-20
책 소개
목차
서문 005
1장 | 내적경험과 성찰로서의 고백
시는 고백으로부터 출발한다 015
왜 고백하는가 016
무엇을 고백할까 020
어떻게 고백할까 024
자신을 창조하고 승인하는 과정으로서의 고백 027
2장 | 창조적 화자와 다성의 목소리
목소리의 주체는 누구인가 031
화자는 어떤 기능을 하는가 034
화자의 선택과 목소리의 활용 037
화자를 구분하는 최소 기준: 시점과 목소리 045
화자와 목소리는 어떻게 실현되는가 052
3장 | 반복과 병렬로 생성되는 리듬
리듬은 어떻게 지각되는가 061
리듬을 생성하는 기본 자질: 병렬과 반복 065
리듬은 어떻게 실현되는가 067
병렬에 의한 반복 유형 071
리듬 혁신을 꿈꾸는 리듬 형식들 085
4장 | 이미지의 운동성과 영상화된 이미지
이미지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093
이미지는 어떻게 실현되는가 098
이미지의 관계성과 운동성 104
사물 전체의 윤곽을 드러내는 지각-이미지 111
움직임을 동작으로 추적하는 행동-이미지 115
집중화된 상태로 유예되는 정감-이미지 119
식별 불가능한 지점을 사유하는 크리스탈-이미지 123
5장 | 명명에서 구조로 확장되는 은유
수사적 은유에서 삶으로서의 은유로 129
은유와 그 유사 비유들 132
은유의 작동 원리와 유형 138
맥락적이고 구조화된 은유 147
6장 | 환유의 활용법과 인접성의 층위들
환유는 어떻게 작동되는가 160
시간적 인접성에 의한 서술-서사적 환유 163
공간적 인접성에 의한 현상-풍경적 환유 168
초감각적 인접성에 의한 환상-내면적 환유 172
음성적 인접성에 의한 언어-리듬적 환유 176
7장 | 상징과 풍자를 넘나드는 알레고리
알레고리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183
상징과 알레고리와 풍자의 경계 187
상징적 이데아를 향한 알레고리 192
정치풍자적 알레고리 196
물질문명에 대한 비판적 알레고리 202
파편화된 흔적으로서의 알레고리 206
8장 | 아이러니의 이원성과 다원적 지평
아이러니는 어떻게 정의되었는가 212
아이러니의 작동 원리와 유형 215
아이러니는 어떻게 실현되는가 227
포스트모더니즘 아이러니의 양상 231
9장 | 패러디, 패스티시, 키치
패러디를 어떻게 정의할까 255
패러디와 그 유사 형식들 257
패러디의 소통구조와 범주 262
패러디스트 태도에 의한 패러디 유형 267
패러디의 계보학적 접근 278
포스트모더니즘 패러디의 양상 283
10장 | 환상과 그로테스크의 연금술
환상을 어떻게 정의할까 297
환상의 문법과 탈문법 301
환상은 어떻게 실현되는가 307
그로테스크를 어떻게 정의할까 313
그로테스크와 환(幻)과 추(醜)와 악(惡) 318
그로테스크는 어떻게 실현되는가 320
11장 | 상징·도상·형태의 시적 가능성
언어주의와 형태주의 시의 유희 정신 326
상징시와 도상적 상징시 328
형태시들의 변주: 해사시, 구체시, 상형시, 형상시 334
낙서시와 디카시, 사진시와 회화시 343
12장 | 표절과 영향·모방의 위태로운 경계
표절을 어떻게 정의할까 353
창조적 모방으로서의 표절 359
표절유희와 표절 365
표절 의혹과 예상 표절 369
표절에 근접한 유사성과 독창성의 결여 373
의도적 표절과 표절 판정 378
후기 384
저자소개
책속에서
나는 ‘나의 알레프’를 발견하고 싶었고, 알레프를 통해 본 세계를 ‘한 편의 시’에 담아내고 싶었다. 그런 시는 마치 섬광과도 같이 시의 안팎을 동시에 내리치거나 때로는 목숨과도 맞바꿔야 하는 강력한 불꽃의 언어일 것만 같다. 그것이 비단 나만의 꿈은 아닐 것이다. 자신의 생과 이 세계 전부를 언어 구조물로 담아내려는 모든 시인의 궁극일 것이다. _ 서문에서
모든 시는 어떻게 읽혀야 하는지를 스스로 암시한다. 시를 읽다보면 시인이 즐겨 쓰는 어휘나 시적 표현, 호흡과 리듬, 목소리와 구문의 패턴 등이 들어오고, 읽고 또 읽다보면 누구의 시인지, 어느 시기의 작품인지도 알게 된다. 이러한 읽기의 축적이 시론의 밑돌이고, 축적된 시에 관한 규칙과 창의성의 총합이 시론이다. 시론은 시 장르의 규칙과 기본에서 시작해 발명과 개선으로 완성되고, 시인의 방법적 선택에서 시작해 독자의 해석적 선택으로 완성된다. _ 서문에서
시는 목소리들이 집결되는 기관이자 목소리들이 거주하는 거처다. 이런 목소리는 성별, 성격, 인격 등을 비롯해 어조, 리듬, 장단, 심지어 이미지나 비유에도 영향을 미쳐 개성적인 성색(聲色)을 빚어낸다. 그런 의미에서 시의 화자를 파악하는 일이란 곧 목소리를 이해하는 일이다. 시의 화자를 선택하고 그에 어울리는 목소리를 빚어내는 일은 시가 시작되는 지점이며, 개성적인 목소리들의 출현과 더불어 창조적인 화자의 기능에 관한 관심은 새로운 시의 깊이와 넓이를 가늠하기 위한 첫걸음이다. _ 「창조적 화자와 다성의 목소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