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민속학
· ISBN : 9788955565805
· 쪽수 : 302쪽
· 출판일 : 2007-12-14
목차
제1장 한국민속학의 새로운 방향 모색
제2장 통일민속학
1. 한민족 문화공동체를 위한 민속학
2. 통일민속학의 필요성
3. 통일민속학의 내용 및 범위
4. 통일민속학의 현재 그리고 과제
5. 통일민속학의 전망
제3장 도시공간 속에서 강릉단오제의 전승 및 계승방안 고찰
1. 세계무형문화유산이 강릉단오제
2. 도시공간과 강릉단오제
3. 도시화와 현대화에 따른 세시풍속의 변화로 본 강릉단오제의 의미와 기능
4. 민속관광의 입장에서 강릉단오제에 나타난 민속놀이의 발전방향
5. 한국의 축제에서 세계의 축제로
제4장 축제 속의 구비전승
1. 기지시줄다리기와 구비전승
2. 전설
3. 민담
4. 속신
5. 구비전승을 통해서 본 축제의 의미와 기능
제5장 성인이 되고 결혼을 하고 가족을 이루는 과정의 민속문화
1. 개인의 사회와 과정인 통과의례
2. 신체를 통한 관례의 민속
3. 한국의 전통혼례
4. 가족의 민속학적 의미
5. 개인에서 확대가족까지
제6장 속담과 수수께기 속에 보여지는 가족과 친족의 민속연구
1. 속담과 수수께끼, 그리고 가족과 친족
2. 속담 속의 가족과 친족
3. 수수께끼 속의 가족과 친족
4. 가족과 친족 속담 및 수수께끼의 민속학적 가치
제7장 속담과 수수께끼에 나타난 한국인의 환경관
1. 속담과 수수께끼, 그리고 환경관
2. 속담에 보여지는 한국인의 환경관
3. 수수께끼에 나타나는 한국인의 환경관
4. 전통적인 삶의 지혜 속에 담겨있는 환경관
제8장 전통적인 시간의 구분에 대한 이야기
1. 시간의 구분과 민속
2. 봄의 세시풍속
3. 여름의 세시풍속
4. 가을의 세시풍속
5. 겨울의 세시풍속
6. 시간 민속의 현대적 의의와 가치
제9장 민속조사와 인터뷰
1. 현지조사의 민속학적
2. 민속조사와 인터뷰 방법
3. 민족조사자와 자료제공자의 상관관계
4. 민속조사자와 일반 독자층 사이의 대화
5. 커뮤니케이션의 민속지를 위하여
제10장 중국 해외동포 마을의 사회민속
1. 중국 속의 경기도 '경기툰'
2. 혼인
3. 가족과 가족생활
4. 친족과 친족생활
5. 마을공동체
6. 경기툰을 비롯한 해외동포 민속의 중요성
제11장 중국 해외동포 마을의 언어생활과 언어민속
1. 언어로 지키는 민족의 혼과 정체성
2. 경기툰 사람들의 언어생활과 언어교육
3. 언어사용과 언어공동체
4. 언어사용에 나타난 민속
5. 언어생활을 통한 민족성의 변화와 지속
6. 언어를 통한 민속문화의 전승
제12장 부탄의 불교축제와 가면춤의 민속상징
1. 부탄의 불교민속을 찾아서
2. 고구려의 민속문화를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3. 불교축제와 가면 춤
4. 부탄의 가면 춤과 강릉의 관노가면극
제13장 1980년대 영국민속학의 동향에 관한 연구
1. 왜 영국민속학인가?
2. 1980년대 영국민속학의 주요한 내용분석
3. 한국민속학의 발전을 위하여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