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감독/배우
· ISBN : 9788955660449
· 쪽수 : 381쪽
· 출판일 : 2005-12-30
책 소개
목차
- 옮긴이의 말
- 머리말 / 프랑수아 트뤼포
- 앙드레 바쟁의 작은 베레모 / 장 르느와르
1. 무성 영화
2. 초기 유성 영화
3. 인민 전선 시기
4. 전쟁이 다가오다
5. 프랑스인 르느와르
6. 할리우드에서의 르느와르
7. 장 르느와르의 귀환
8. 순수한 걸작: '강'
9. 장 르느와르와 연극
10. 장 르느와르 제3기
부록
1. 장 르느와르의 회고록
2. '랑주 씨의 범죄' 첫 번째 시나리오
3. '위대한 환상'의 초기 시나리오
4. '게임의 규칙' 이전에
5. '게임의 규칙' 초기 시나리오(발췌본)
필모그래피
저자소개
책속에서
나쁜 영화를 면밀히 살펴보면 그것이 오직 상징들과 기호들과 관습들과 극적, 도덕적, 정의적 상형 문자들로만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리얼리즘'을 우수함의 기준으로 만드는 것은 보편적인 비평에 어떤 정당성을 부여하는 바로 이런 것들이다.
흔히 우리가 '리얼리즘'이라 칭하는 것은 그렇게 절대적이거나 명확한 의미를 갖지 않으며, 오히려 현실에 대한 충실한 묘사를 향한 어떤 움직임, 어떤 경향을 가리킨다. 마찬가지로 사실상 '리얼리즘'에 대한 옹호는 그 자체로선 엄밀히 말해 아무것도 의미하지 않는데(부정적으로 혹은 대립에 의해서가 아니라면), 그 이유는 현실le re'el 세계를 향해 나아가는 방법이란 수도 없이 많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그것이 창출하는 것, 다시 말해 의미의 추가와, 결과적으로 그것으로부터 비롯되는 추상화에 따라서만 가치를 갖기 때문이다.
좋은 영화는 이런 식으로든 저런 식으로든 간에 필연적으로 나쁜 영화보다 더 리얼리즘적이기 마련이다. 그러나 그 조건은 결코 충분하지 않다. 말하자면 현실 세계에 대한 더 그럴듯한 묘사는 그 현실 세계가 더 많은 것을 의미하도록 하기 위해서일 때에만 비로소 의의를 갖는다. 영화에서의 진보는 바로 이러한 역설 속에 존재하며, 르느와르가 논의의 여지없는 가장 위대한 프랑스 감독인 것 또한 바로 이 역설에 의해서이다. -- 본문 101~102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