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프로이트 읽기

프로이트 읽기

강응섭 (지은이)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10% 2,500원
7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10,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200원 -10% 560원 9,520원 >

책 이미지

프로이트 읽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프로이트 읽기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사상가/인문학자
· ISBN : 9788955866858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1-07-15

책 소개

세창사상가산책 21권. 프로이트의 저서를 통해 ‘프로이트의 진의’를 파악하고, ‘프로이트의 오해’를 해소해 주는 책이다. 프로이트의 저서들을 시대순에 따라 열 개의 테마로 정리하였다.

목차

머리말 • 005
일러두기 • 022

1장 1895년을 기념하는 첫 번째 일: 『히스테리 연구』를 출판하다

1. 정신분석은 『히스테리 연구』에서 시작된다 • 025
2. 『히스테리 연구』의 저자가 둘인 배경 • 027
3. 히스테리의 작용 원리를 밝힌 「예비 견해」 • 029
4. 두 저자가 만난 히스테리 환자들 • 039
1) 브로이어의 사례: 안나 O. 양 이야기 • 040
2) 프로이트의 첫 번째 사례: 에미 부인 이야기 • 044
3) 프로이트의 두 번째 사례: 루시 양 이야기 • 048
4) 프로이트의 세 번째 사례: 카타리나 양 이야기 • 052
5) 프로이트의 네 번째 사례: 엘리자베스 양 이야기 • 054
5. 히스테리 사례에 대한 공동저자의 평가 • 058
1) 브로이어의 평가 • 058
2) 프로이트의 평가 • 060

2장 1895년을 기념하는 두 번째 일: 『과학적 심리학 초고』를 저술하다

1. 1895년에 작성한 『히스테리 연구』와 『과학적 심리학 초고』
의 관계 • 067
2. 정신분석학에서 『과학적 심리학 초고』가 지니는 가치」 • 069
3. 뉴런 체계로 정신(심리)의 과정을 설명하다: 정신병리학을 위한 메타심리학 • 072
4. 뉴런은 세 개의 시스템으로 연결된 복합체이다: φ, ψ, Wω • 081
5. 자아는 ψ 뉴런이 점령한 지역이다: 접촉방벽의 저항과 양(Qἠ)의 측면점령·084
6. ψ 시스템의 두 과정: 1차 과정, 2차 과정 • 088
7. 사고 작용: 동일성을 찾으려는 운동이미지의 반복 과정이다 • 091
8. 꿈의 기제는 정신병리학의 기제로 활용된다 • 097

3장 꿈을 해석하여 정신의 구조를 얻다: 제1차 위상으로서 무의식·전의식·의식

1. 프로이트, 자신의 꿈을 해석하다 • 103
1) 이르마가 나타나는 꿈의 배경 • 104
2) 꿈의 내용과 일시 • 105
3) 꿈을 통해 보는 프로이트의 속마음 • 107
4) 꿈에 대한 견해 • 109
2. 소망충족으로서 꿈을 발견하기까지 • 111
3. 『꿈의 해석』 집필 과정 • 112
4. 『꿈의 해석』, 제1차 위상을 제시하다 • 116
5. 정신분석 치료법으로서 꿈의 해석: 신경증자의 메커니즘을 밝히다 • 120
6. 『과학적 심리학 초고』에서 제시된 세 뉴런 시스템이 『꿈의 해석』에서 세 심급으로 정립되다 • 123
7. 무의식이 작용하는 원리를 밝히다 • 128

4장 프로이트는 두 개의 욕동(충동)을 말한다: 두 개의 리비도, 두 개의 나르시시즘

1. 프로이트, 유아의 성을 연구하다 • 143
2. 프로이트가 주시하는 성은 무엇인가 • 149
3. 아기는 어디서 오는가 • 152
4. 성 흥분은 왜 발생하는가 • 155
5. 제1차 위상 때 욕동의 이원성은 자아 욕동과 성 욕동이다 • 159
6. 사랑을 일반화시키다 • 165
7. 리비도와 나르시시즘에 이론적 변화가 생긴다: 자아 리비도와 대상 리비도, 제1차 나르시시즘과 제2차 나르시시즘 • 168

5장 가족은 어떻게 사는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1. 비극 『오이디푸스 왕』과 콤플렉스로서 오이디푸스 • 177
2. 오이디푸스 이론을 만들다 • 178
3. 성 정체성(성격)이 형성되는 중에 신경증이 생긴다 • 183
4. 아이들에게 행하는 성교육은 자충수일까 • 192
5. 문화의 성 도덕과 인간의 억압: 계통 발생과 개체 발생이 만나는 지점에서 발생한다 • 195
6. 『연애심리학에 공헌』에 따른 사랑을 선택하는 네 가지 조건: 오이디푸스 이론을 보여 주다 • 197
7. 심리적 불안이 성관계를 막는다 • 200

6장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변화: 쾌락의 원칙과 제2차 위상, 죽음 욕동·생명 욕동, 이드·자아·초자아

1. 정신분석은 쾌·불쾌의 원칙을 설명할 수 있는 메타심리학의 요소를 필요로 한다: 위상학, 역학, 경제학은 정신 과정을 완벽하게 설명한다 • 207
2. 능동적인 현실의 원칙은 수동적인 쾌락의 원칙에 저항한다 • 211
3. 자아는 리비도의 최초 저장소다. 그 이후 이드가 리비도의 저장소가 된다 • 217
4. 제2차 위상 때 욕동의 이원성은 죽음 욕동과 생명 욕동이다 • 220
5. 모든 것은 무의식에서 비롯된다 • 230

7장 정체화는 수직축과 수평축으로 짜인다: 수직축으로서 됨의 정체화·가짐의 정체화, 수평축으로서 상호적 정체화

1. 나에게 미치는 영향력의 기원: 먼저 어머니에 정체화되기, 나중에 아버지에 정체화되기 • 243
2. 정체화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과정을 구체화한다 • 248
3. 됨의 정체화와 우울증: 나(A)는 B이다, 나(A)는 B가 아니다, Zu sein oder nicht zu sein, To be or not to be • 254
4. 가짐의 정체화와 강박행위: 나(A)는 B를 갖는다, 나(A)는 B를 안 갖는다, Zu haben oder nicht zu haben, To have or not to have • 260
5. 상호적 정체화와 기숙사의 친구들: 나(A)는 B에게서 C가 되고, C를 갖는다 • 268

8장 증상은 세 형태로 구조화된다: 신경증·정신증·도착증

1. 증상에는 기원이 있다: 생후 첫 5년이 인생을 결정한다 • 277
2. 증상은 세 형태로 분류된다: 신경증·정신증·도착증 • 278
3. 신경증과 도라 사례 • 279
1) 도라 사례 1: 소녀의 꿈에서 판타즘을 발견하다 • 279
2) 도라 사례 2: 정신적 외상은 몸으로 드러난다 • 281
3) 도라 사례 3: 성적 판타즘이 증상을 만든다 • 283
4) 도라 사례 4: 신경질적 기침과 환상 • 286
4. 정신증과 슈레버 사례 • 291
1) 슈레버 사례 1: 망상증 환자의 기록에서 정신증 구조를 발견하다 • 291
2) 슈레버 사례 2: 죽은 아버지와 죽은 형은 다시 돌아온다 • 293
5. 도착증과 매 맞는 아이 사례 • 302
1) 매 맞는 아이 사례 1: 어떤 아이가 매 맞고 있어요 • 302
2) 매 맞는 아이 사례 2: 환상의 의미 • 310

9장 프로이트와 다섯 번의 여행: 기차 선로 위를 질주한 무의식의 행렬

1. 왜 프로이트는 여행을 좋아할까 • 317
2. 프랑스 파리 사르페트리에르병원으로의 여행(1885.10.~1886.2.): 샤르코와의 만남에서 무의식을 착안하다 • 318
3. 중단된 이탈리아 로마 여행(1897.9.): 오이디푸스 이론을 발견하다 • 325
4. 그리스 아테네 아크로폴리스로의 여행과 회상(1904, 1936): 억압된 유년시절의 기억에서 놓이다 • 332
5. 미국 클라크대학으로의 여행(1909): 신대륙에 페스트를 퍼트리다 • 340
6. 영국 런던 망명으로의 여행(1938): 하나의 정신분석을 희망하다 • 346

10장 모세와 프로이트: 모세가 유일신교를 전하듯 프로이트는 하나의 정신분석을 제시한다

1. 왜 유대인은 기독교 공동체인 유럽에서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는가: 억압의 기원에 관하여 • 353
2. 하나의 정신분석은 가능한가: 프로이트가 『인간 모세와 유일신교』에 담은 염원은 『인간 프로이트와 하나의 정신분석』이다 • 358
3. 정체성이 이중적일 수는 없는가? 유대인 모세는 이집트인이고 유대인 프로이트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민이다 • 368
4. 개인의 신경증 증상을 역사 속에서 그리고 대중에서 확인하다: 분석실을 나온 정신분석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 378

프로이트의 인생 여정 • 383
프로이트 전집에 관하여 • 386
간추린 프로이트의 저서 • 391

저자소개

강응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총신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몽펠리에3대학교 정신분석학과를 거쳐, 몽펠리에개신교대학에서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체화(Identification) 개념으로 루터와 에라스무스의 의지 논쟁을 분석하여 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999년부터 예명대학원대학교의 조직신학 교수, 정신분석상담학 교수이다. 저서로는 『동일시와 노예의지』, 『프로이트 읽기』, 『첫사랑은 다시 돌아온다』, 『자크 라캉의 세미나 읽기』, 『자크 라캉과 성서해석』, 『라깡과 기독교의 대화』, 『한국에 온 라캉과 4차 산업혁명』 등이 있다. 역서로는 『정신분석대사전』, 『라깡 세미나·에크리 독해 1』, 『프로이트, 페렌치, 그로데크, 클라인, 위니코트, 돌토, 라깡 정신분석 작품과 사상』(공역) 등이 있다. 그 외에 신학과 정신분석학을 잇는 다수의 논문과 공저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프로이트는 ‘나는 누구인가’를 끊임없이 탐색했다. 프랑스의 정신분석가 라캉에 따르면, 프로이트 글에서 버릴 부분은 한 군데도 없다. 그의 글은 모두 ‘나는 누구인가’를 해명하는 데로 향하고 있다.


프로이트가 제시하는 하나의 정신분석은 불변하는 한 쌍의 형식으로 되어 있다. 그 형식은 ‘자유연상’과 ‘똑같이 떠돌면서 주목하기’이다. 이 형식은 정신분석의 근본 기술이다. 이 구도를 유지하면서 프로이트의 글을 대할 때, 프로이트의 진의를 알 수 있다.


그는 자신의 꿈 분석이 중요한 이유를 설명하면서 같은 꿈이라도 그 꿈을 꾼 사람이나 연결 방법에 따라 다른 의미를 드러낼 수 있다고 말한다. 자기 꿈 분석의 이점은 억압된 요소들이 저항을 피하여 의식화될 때 꿈의 내용들을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5867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