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실패의 인문학

실패의 인문학

박일준, 이찬수, 황성하, 강응섭, 윤영훈, 박종현, 이병성, 김종만 (지은이), 한국문화신학회 (기획)
모시는사람들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200원 -5% 0원
8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실패의 인문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실패의 인문학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66292323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5-06-20

책 소개

실패를 개인의 좌절이 아닌, 인류 문명의 구조적 위기를 비추는 거울로 삼는다. 『실패의 인문학』은 성공 중심의 사고방식이 지배하는 시대에, 기후위기와 팬데믹, 청년의 절망과 한국교회의 권위주의, 반복되는 사회참사 등을 ‘실패’라는 개념 아래 새롭게 성찰한다.

목차

서문―우리의 실패들에 대하여

1부·실패에 대하여 묻다: 실패의 인문학

실패의 정치·신학: 인류세 시대의 실패에 대한 종교철학적 성찰 / 박일준
들어가는 말
I. ‘더 나은 실패’
II. 인류세(the Anthropocene)라는 실패
III. 인류세의 실패와 라투르의 낙관주의를 넘어서: 실패를 품은 정치학
IV. 폐허에서 모습을 드러내는 사물들과 그 객체성
V. 더 잘 실패하기
나가는 말

인류의 실패인가, 지구의 진화인가: 인류세라는 실패에 대하여 / 이찬수
I. 인류세의 등장과 지구의 현실
II. 인류세 분석과 대안적 사상들
III. 인류세 신학의 가능성과 점선적(點線的) 경계

빼앗긴 이름과 이름 없는 하나님: 부정신학의 인문학적 성찰 / 황성하
들어가는 말: 이름을 기억하지 못하는 소년
I. 부를 수 없는 하나님의 이름, 테트라그람마톤
II. 이름을 빼앗긴 사람들과 함께하는 하나님
III. 이름의 갈등과 화해: 24601과 장발장/ 윤동주와 히라누마 도주/ 첼란과 안첼
IV. 이름 짓기의 두 의미: 지배 혹은 회복
나가는 말: 다시 부르는 이름

욕망과 실패에 관한 정신분석학 / 강응섭
들어가는 말: 거리끼고 미련한 십자가
I. 성서의 표현: 젖음의 네페쉬 하야 vs 마름의 네페쉬 하야, 산 영(생령) vs 살려주는 영
II.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의 표현: 이데아의 침대 vs 에이돌론(에이코네스-판타스마타)의 침대
III. 바울-아우구스티누스의 표현: 하나님의 모르페와 종의 모르페(케노시스) vs 하나님의 포르마와 종의 포르마
IV. 프로이트의 표현: 영혼(정신)의 장치에 관한 여러 표현들
V. 라캉의 표현: 언어처럼 구조화된 무의식 vs 언어처럼 구조화된 저항
VI. 요셉: 12번째 아들의 외밀한 장자권
나가는 말: 십자가 외에 결코 자랑할 것이 없으니

2부·실패가 한국사회에 묻다: 기독교적 성찰

실패의 세대: 청년세대 신조어와 기독교 청년 사역의 대안들 / 윤영훈
들어가는 말: 전환점에 선 청년 담론
I. ‘잉여’로 사는 법: 포기가 아닌 대안을 선택하기
II. ‘아싸’들이 사는 법: 나 홀로 세대를 대안 공동체로 이끌기
III. ‘꼰대’를 넘어 사는 법: 다음 세대가 아니라 다른 세대를 세우기
나가는 말: 새로운 신조어를 기대하며

안전의 실패: 반복되는 참사와 신자유민주주의 담론이 은폐하는 것들 / 박종현
들어가는 말
I. 세월호 참사와 이태원 10.29 참사: 반복되는 사회적 참사
II. 대형 참사의 원인 규명 시도와 그 한계
III. 위험을 분산하라: 현대 자본주의의 사회적 위험 회피전략
IV. 신자유주의 정치의 위험한 정책
V. 원자력 발전과 위험 회피의 문제
나가는 말

평화의 실패: 한반도와 ‘핵 있는 평화’ / 이병성
들어가는 말
I. 한반도 평화와 핵무기
II. 핵무기와 안보 절대주의
나가는 말

교회의 실패, 한국 개신교의 ‘성공’과 ‘실패’에 관하여: 손원영 교수 ‘배제’ 사례를 중심으로 / 김종만
들어가는 말
I. 배타적 폭력성의 ‘성공’
II. 관계적 수용성의 ‘실패’
나가는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이찬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의 사상과 문화, 동아시아의 종교와 평화 연구자. 서강대학교 화학과를 거쳐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일본의 철학자 니시타니 케이지와 독일의 신학자 칼 라너의 사상을 비교하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강남대 교수,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HK연구교수, (일본)코세이 가쿠린 객원교수, (일본)중앙학술연구소 객원연구원, (일본)난잔대학 객원연구원, 성공회대 대우교수, 보훈교육연구원장 등을 지냈다. 『일본정신』, 『불교와 그리스도교 깊이에서 만나다: 교토학파와 그리스도교』, 『다르지만 조화한다』, 『평화와 평화들』, 『사회는 왜 아픈가』, 『아시아평화공동체』(편저), 『평화의 여러가지 얼굴』(공편저), 『근대 한국과 일본의 공공성 구상』(공저), 『北東アジア·市民社会·キリスト教から観た平和』(공저), 「비전(非戰), 반군국주의, 비핵화로서의 평화: 일본 평화개념사의 핵심」, 「平和はどのように成り立つのか」, 「北朝鮮の民間信仰」 등 80여 권의 단행본(공저서, 번역서 포함)과 90여 편의 논문을 출판했다. 현재 인권평화연구원 공동원장으로 일하면서 가톨릭대에서 평화학을 강의하고 있다.
펼치기
강응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총신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몽펠리에3대학교 정신분석학과를 거쳐, 몽펠리에개신교대학에서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체화(Identification) 개념으로 루터와 에라스무스의 의지 논쟁을 분석하여 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999년부터 예명대학원대학교의 조직신학 교수, 정신분석상담학 교수이다. 저서로는 『동일시와 노예의지』, 『프로이트 읽기』, 『첫사랑은 다시 돌아온다』, 『자크 라캉의 세미나 읽기』, 『자크 라캉과 성서해석』, 『라깡과 기독교의 대화』, 『한국에 온 라캉과 4차 산업혁명』 등이 있다. 역서로는 『정신분석대사전』, 『라깡 세미나·에크리 독해 1』, 『프로이트, 페렌치, 그로데크, 클라인, 위니코트, 돌토, 라깡 정신분석 작품과 사상』(공역) 등이 있다. 그 외에 신학과 정신분석학을 잇는 다수의 논문과 공저가 있다.
펼치기
박종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B.A. Th.M. Ph.D.), 서울신학대학교 (M. Div.) 졸업 명지대 교목. 관동대학교 교수 한국문화신학회 회장 역임 연세대학교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전문연구원 주요 저서: 『일제하 한국교회 신앙운동사』, 『한국교회사에 묻는 17가지 질문』, 『연 세대학교연합신학대학원 50년사』, 『한국여성복음봉사단 50년사』,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세상을 치유하는 공동체』 등
펼치기
윤영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드류대학교(Drew University)에서 대중문화와 종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결대학교 신학과 교수로 일하고 있으며, 〈빅퍼즐문화연구소〉를 설립하여 대중문화를 매개로 사귐과 공부와 여러 활동을 즐겁게 하고 있다. 『문화 시대의 창의적 그리스도인』, 『윤영훈의 명곡묵상』, 『현대인과 기독교』, 『복음주의와 대중문화』 등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박일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감리교신학대학교 종교철학과와 동대학원, 미국 보스턴대학교에서 석사과정을 마치고, 드류대학교에서 <사이로서의 인간>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감리교신학대학교와 연세대학교에서 객원교수로 종교철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또한 원광대학교 동북아시아인문 사회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공생을 주제로 사물정치와 기후변화/생태계 위기 및 뇌가소성 등의 주제들을 엮는 연구를 하고 있다. 저서로 『정의의 신학: 둘의 신학』, 『인공지능 시대, 인간을 묻다: 인간과 기계의 공생을 위한 포스트휴먼적 존재론』 등이 있고, 역서로 『길 위의 신학: 하나님의 지혜를 신비 가운데 분별하기』, 『바람의 말을 타고: 조울증의 철학-조울증과 전일성의 추구』, 『자연주의적 성서 해석학과 기호학: 해석자들의 공동체』 등과 여러 권의 공저가 있다.
펼치기
김종만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한국사학과를 거쳐 서강대 종교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포닥연구교수를 지냈고, 현재는 경희대 종교시민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있으면서 고려대, 서강대, 서울신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틱낫한과 하나님』, 『한국종교 따로보기』, 『틱낫한의 사랑이란 무엇인가』(역서), 『틱낫한의 깨어있는 마음수행』(역서) 등을 출판했다.
펼치기
이병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경제학과를 거쳐 캐나다 맥길대학교(McGill University)에서 종교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현재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기독교문화연구소 전문연구원으로 재직하며 동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전쟁 70년과 ‘이후’ 교회』(공저), 『폭력개념 연구』(공저), 『평화의 신학』(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황성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에서 시인 파울 첼란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에라스무스 신학&인문학 연구소 전임연구원 및 연세대 기독교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으로 동대학 및 대학원에서 조직신학과 문화신학을 강의하고 있다.
펼치기
한국문화신학회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문화신학회는 1994년 민중신학과 토착화 신학을 한국적 신학으로 아우르려는 통 큰 몸짓으로 출범하면서, 한국적 신학의 핵심 소재를 ‘문화’에서 찾았다. 문화는 과거나 현재 혹은 미래적으로 고정된 것이 아닌 과정임을 주목할 때, ‘한국적인 것’의 본래성을 ‘문화’로 본다는 것은 곧 한국적인 것을 문화의 과정 자체로 통찰한다는 것이 다. 과정으로서의 문화를 신학적으로 성찰하면서, 한국문화신학회는 한국문화와 신학의 상관성을 조명하는 다양한 학술행사들을 주관하였고, ‘한류’와 ‘세월호 참사’, 최근에는 ‘평화’를 중심으로 문화적 상상력을 발휘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실패에 대한 통렬한 인식과 성찰은 아편으로서의 희망을 지양하고, 우리가 어디에서 무엇을 희망하며 나아가야 할지를 깨닫는데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그래서 미국 신학자 캐서린 켈러(Catherine Keller)는 ‘더 잘 실패하기’(a failing better) 혹은 ‘차라리 지금은 실패하는 게 낫다’(failing better now)는 논제를 제시하는데, ‘더 잘 실패하기’란 인류세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저질러 온 문명적 실패들을 정면으로 직시하고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는 결코 실패를 위한 실패나 실패를 통한 악화의 심화와 연속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진정한 희망이란 실패와 좌절들을 정면으로 마주하고 받아들이는 것으로부터 도래한다는 것을 명확히 말하는 것이다.


실패에 대한 통렬한 인식과 성찰은 아편으로서의 희망을 지양하고, 우리가 어디에서 무엇을 희망하며 나아가야 할지를 깨닫는데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그래서 미국 신학자 캐서린 켈러(Catherine Keller)는 ‘더 잘 실패하기’(a failing better) 혹은 ‘차라리 지금은 실패하는 게 낫다’(failing better now)는 논제를 제시하는데, ‘더 잘 실패하기’란 인류세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저질러 온 문명적 실패들을 정면으로 직시하고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는 결코 실패를 위한 실패나 실패를 통한 악화의 심화와 연속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진정한 희망이란 실패와 좌절들을 정면으로 마주하고 받아들이는 것으로부터 도래한다는 것을 명확히 말하는 것이다.


창세기에서 이름은 무엇인가를 소유한다는 의미도 아니고, 대상을 부름으로써 자신이 더 우월함을 드러내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타자의 이름을 불러줌으로써 최초의 예술가이신 하나님의 창조에 함께 참여하는 것이다. 하나님은 사물의 존재를 드러내고 이름을 지었다. 그리고 그들을 향해 경탄했다. 다른 말로 신은 자신이 지은 존재들을 찬양했다. 이는 신성모독의 표현이 아니다. 바울은 빌립보에 있는 성도들을 향해 그들이 하나님의 영광과 찬송이 되게 하시기를 구한다고 말했다. 성서에서 신의 이름을 알고 부른다는 말, 신을 찬양한다는 말은 놀랍게도 이름을 빼앗긴 이름들을 되찾는 것을 통해서 가능해진다. 지극히 작은 자에게 한 것이 나에게 한 것이라는 예수의 말은 윤리적 레토릭이 아니다. 그것은 이름을 부를 수 없는 신과 이름을 빼앗긴 자들이 신비하게 얽혀 있음을 표현하는 말이기 때문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