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재벌 공화국

재벌 공화국

(대한민국을 쥐고 흔드는 재벌,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는 무사할 수 있을까?)

박상인 (지은이)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14,400원 -10% 2,500원
0원
16,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800원 -10% 640원 10,880원 >

책 이미지

재벌 공화국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재벌 공화국 (대한민국을 쥐고 흔드는 재벌,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는 무사할 수 있을까?)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55867183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2-05-11

책 소개

재벌이 왜 나쁠까? 누군가는 재벌에게 반감은 갖지만, 어디가 왜 잘못되었기에 반감이 생기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 책에서는 국내 재벌 개혁의 대표주자 박상인 교수와 함께 재벌 총수 일가가 어떤 불법과 잘못을 저질렀는지, 재벌 중심의 대한민국 경제 상황을 어떻게 타개할 수 있을지 알아본다.

목차

프롤로그

1장 대한민국은 재벌 공화국이다
1. 사법 포획
삼성과 사법 흑역사
3-5 법칙
하청기업 사업주는 형사처벌

2. 미디어 포획
여론주도층 포획
언론의 광고 의존도와 언론인의 전직

3. 정부 포획
삼성 특별법
규제 완화 포획

더 알아보기: 분식회계가 왜 문제일까?

2장 재벌 공화국은 이렇게 만들어졌다
1. 한국 재벌의 형성과 경제력 집중
경제 발전과 재벌의 형성
1997년 경제 위기와 재벌 규제의 변질
경제 위기 이후 재벌의 경제력 집중 심화

2. 재벌 세습
삼성그룹의 세습 과정
삼성웰스토리의 일감 몰아주기
현대자동차그룹의 딜레마

더 알아보기: 출자 구조 범례
지주회사 규제의 변천

3장 재벌 공화국이 왜 나쁜가?
1. 경제력 집중과 경제 권력
경제력 집중의 의미
경제력 집중과 정치 엘리트의 교체

2. 사익 편취와 황제 경영
총수 일가의 사익 편취
기업 거버넌스 유명무실화
총수 일가의 갑질

3. 재벌 체제와 불평등의 심화
불평등, 성장, 경제구조
한국사회의 불평등 현황과 원인
재벌 체제와 임금 불평등
재벌 체제와 사회 문제

더 알아보기: 지니계수와 쿠즈네츠 곡선

4장 문재인 정부의 역주행
1. 공정경제3법
상법 개정
공정거래법 전부 개정
금융그룹의 감독에 관한 법률

2. 친재벌3법
인터넷 전문은행 특례법
지주회사의 기업형 벤처캐피탈 보유
복수의결권 주식 도입

더 알아보기: 동일인 지정제도

5장 민주 공화국의 회복을 위해서
1. 민주 공화국 회복을 위한 재벌 개혁
시장경제와 민주주의
라틴아메리카의 정치-경제 보완성
이스라엘 개혁의 교훈

2. 민주 공화국의 회복을 위한 개혁 과제
경제력 집중 해소
소수주주와 기관투자자의 역할 강화
징벌배상-디스커버리 제도 도입
함께 시행해야 할 개혁

더 알아보기: 이스라엘 개혁의 성과

저자소개

박상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예일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96년 가을부터 뉴욕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대학에서 경제학과 조교수로 재직했으며, 2003년 서울대학교에 부임한 후 현재 행정대학원 교수, ‘시장과 정부 연구센터’ 소장으로 재임 중이다. 주요 저서로 『지속 불가능 대한민국』(2022), 『재벌 공화국』(2022), 『이스라엘의 2013 반경제력집중법』(2021), 『왜 지금 재벌개혁인가』(2017), 『삼성전자가 몰락해도 한국이 사는 길』(2016), 『벌거벗은 재벌님』(2012) 등이 있고, 공저로 『서울대 경제학자 8인이 말하는 한국경제』(2017), 『방송통신 정책과 쟁점』(2011), 『한반도 경제공동체, 그 비전과 전략』(2009), 『한국의 기업지배구조 연구』(2008), 『Strategies and Policies in Digital Convergence』(2004) 등이 있으며,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Journal of Econometrics 등을 비롯한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파기환송심 재판장인 정준영 부장판사는 첫 공판에서 ‘치유적 사법’이라는 명목으로 삼성그룹에 준법감시위원회 설치를 주문하면서도, 이는 이재용의 형량과는 무관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후에 정준영 부장판사는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활동을 이재용의 양형에 고려할 것이라고 선언하면서 자신의 말을 뒤집었다.


사법부와 언론이 재벌에 의해 포획되면서 법 앞에 만인이 평등하다는 ‘법의 지배’가 무너졌다면, 법 제정 자체가 재벌과 총수 일가에게 특혜를 주기 위해서 이뤄지거나, 이미 제정된 법규를 규제 완화의 명분으로 유명무실화하는 일들 역시 비일비재하다.


재벌이 1997년 경제 위기의 주범이라는 초기의 국내외 문제의식에도 불구하고, 경제 위기 이후에 재벌 개혁의 초점은 오히려 경제력 집중의 해소에서 미국식 기업 거버넌스(지배 구조) 제도의 도입으로 변질되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58676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