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천문학 > 우주과학
· ISBN : 9788956052120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07-12-10
목차
들어가는 글
제 1장 하늘의 무한성
열정과 논쟁 | 아페이론 | 닫힌 세계 | 현실태 혹은 가능태 | 세계의 유한성이 지닌 패러독스 | 아리스토텔레스 논쟁 | 고정된 천체의 균열 | 조르다노 브루노-무한에 대한 도취 | 새로운 천문학 | 뉴턴의 우주론 | 은하들에서 휘어진 우주로 | 새로운 시공간 | 팽창하는 우주 | 무한공간의 첫 번째 패러독스-밤의 어둠 | 그렇다면 유한한가, 무한한가? | 존재 복제의 패러독스 | 우주위상학 | 착각 속의 무한
제2장 수(數)의 무한성
조작적 무한 | 아주 큰 수들 | 무한에 대한 직관 | 무한의 활성화 | 무한의 패러독스들 |칸토어의 무한수학 | 연속체 가설 | 다시 한번 무한수학으로 | 유한주의와 직관주의
제3장 물질의 무한성
연속성, 확장성, 무한성 | 제논의 패러독스 | 미적분 계산 | 물질의 분할 가능성 | 흑체(黑體)와 무한 | 양자장론 | 진공 | 재규격화된 물질 | 초끈이론 | 무한의 실종?
제4장 특이점과 영(零)의 시간
틈의 무한성 | 시간의 시초 | 유한한 시간의 스펙트럼 | 특이점의 스펙트럼 | 양자우주론 | 양자기하역학
결론 무한에 대한 재고(再考)
주 참고문헌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진정한 우주론적 전복은 코페르니쿠스의 태양중심설을 지지했다는 점에서가 아니라 세계의 무한한 다수성을 지지했다는점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그리고 바로 그 때문에 브루노는 1600년 2월 17일에 로마 캄포 데이 피오리에서 화형을 당하고 만다.-p37 중에서
우리는 무한의 현존에 감사하고 그것을 기쁘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무한은 결코 이론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방해한 적이 없었다. 오히려 이론의 약점들을 꼬집어주고, 앞으로 이루어야 할 진보가 무엇인지 알려주며, 나아가 그 방법까지 제시해주었던 것이다.-p203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