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생물학 명강 3

생물학 명강 3

(세포는 우리에게 무엇을 말해주는가)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서영준, 김재호, 정용, 고기남, 고재원, 김형기, 박철승, 박충모, 백성희, 선웅, 안지훈, 오우택, 임대식, 정광환, 조형택, 한진희 (지은이), 신인철 (그림)
해나무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13,500원 -10% 2,500원
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500원 -10% 520원 8,930원 >

책 이미지

생물학 명강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생물학 명강 3 (세포는 우리에게 무엇을 말해주는가)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생물학
· ISBN : 9788956055169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5-04-21

책 소개

경암바이오 시리즈. 우리나라 최고의 생물학자 16명이 생물학계의 핵심 주제를 소개하는 교양과학책이다. 우리는 어떻게 기억을 저장하는지, 신경세포들은 어떻게 신호를 주고받는지, 암줄기세포의 특성과 기능은 무엇인지 등을 다루면서 세포 구석구석을 탐험한다.

목차

머리말 생명의 신비에 한 발짝 더 다가갈 수 있기를
이상열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회장 4

감사의 말 미래 생명과학자들의 꿈과 열정을 위해!
송금조 경암교육문화재단 이사장 6

1부 뇌
시냅스에는 어떤 비밀이 숨어 있는가? _고재원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생화학과 교수 12
뇌의 전기적 신호 전달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_박철승 광주과학기술원 생명과학부 교수 36
내 머릿속의 줄기세포에는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_선웅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58
어떤 과정으로 통증이 일어나는가? _오우택 서울대학교 약학과 교수 82
살아 있는 뇌의 영상은 무엇을 말해주는가? _정용 한국과학기술원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102
어떤 신경세포가 기억을 저장하고 불러일으키는가? _한진희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교수 126

2부 줄기세포와 암
세포는 어떻게 시간 여행을 하는가? _고기남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150
내 몸 안의 줄기세포는 무슨 역할을 하는가? _김재호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168
암줄기세포란 무엇인가? _김형기 고려대학교 생명공학부 교수 182
암과의 전쟁에서 이기는 방법은? _서영준 서울대학교 약학과 교수 200
무엇이 암을 발생시키는가? _임대식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교수 220

3부 DNA, RNA, 단백질
DNA는 단순한데 왜 우리 몸은 복잡한가? _박충모 서울대학교 화학부 교수 248
후성유전이란 무엇인가? _백성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278
개화(開花)를 유도하는 물질은 무엇인가? _안지훈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300
미생물은 빛을 어떻게 이용하는가? _정광환 서강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 316
식물학자 다윈이 발견한 호르몬은? _조형택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334

저자소개

서영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MIT 박사후 연구원, 예일대학교 의과대학 조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선구 약학상(1998), 생명약학연구회 우수논문상(2004),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최다인용상(2004), 과학기술부 이달의 과학기술자상(2006), Worldnutra Merit Award(2006), 한국과학기자협회 올해의 과학인상(2008), 미국 럿거스대학교 Elizabeth C Miller & James A. Miller 우수학자 강연상(2011), 제14회 한국과학상(2011)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김재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포항공과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포항공과대학교 박사후 연구원과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현대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분자ㆍ세포생물학회 Blue ribbon Lecture Award(2009), 기초의학회 젊은기초의학자상(2011),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동천신진과학자상(2011), 대한생리학회 유당학술상(2011) 등을 받았다.
펼치기
정용 (감수)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세브란스 병원에서 신경과 전문의 과정을 마쳤다. 삼성서울병원과 미국 플로리다 대학교에서 전임의 과정을 거쳐 현재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KAIST 헬스사이언스연구소 소장 및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외래 교수를 겸직하고 있다. 네트워크적 관점에서 뇌 기능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뇌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 신경과학회, 뇌기능매핑학회, 임상신경생리학회가 수여하는 우수연구상을 받았다. 저서로는 《1.4킬로그램의 우주, 뇌》(공저), 《생물학 명강 3》(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고기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위스콘신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국립암연구소 박사후 연구원, 독일 막스플랑크 생의학연구소 선임 연구원을 거쳐, 현재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제독성학회 칼스-스미스 연구상(2003), 독일 NRW 줄기세포학회 연구상(2007), 국제줄기세포학회 젊은 과학자상(2008), 국제줄기세포학회 포스터상(2009)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고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생물학을 전공했으며, 동 대학원에서 신경생물학으로 이학석사 및 이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원, 스탠퍼드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원 등을 거쳐, 2011년 9월부터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생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시냅스의 구조 및 기능을 조절하는 분자 기전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현재 시냅스 접착단백질들의 기능 연구를 통한 각종 뇌 질환의 병인 기전을 연구하고 있다. 청암펠로우쉽(2011), 아산의학상(젊은의학자 부문, 2014) 등을 수상했다. 역서로는 『분자세포생물학』(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형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남대학교에서 동물생명공학을 전공했다. 서울대학교에서 동물세포공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분자세포생물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버드 의학대학원 다나-파버 암연구소 박사후 연구원으로 종양생물학을 연구하였으며, 현재 고려대학교 생명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1년부터 대한신경종양학회 다학제 Translational Research 위원장을 맡고 있다.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 대상(2008)을 수상했다. 주로 암줄기세포 생성 유전자들의 작용 기전과 종양 혈관에 의해 암줄기세포가 역분화되어 발생하는 기전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 중이다.
펼치기
박철승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브랜다이스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버드대학교 박사후 연구원, 록펠러대학교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현재 광주과학기술원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광주과학기술원 생명과학 고급인력양성사업단(BK21) 단장을 지냈으며, 현재 국가지정연구실(NLRL) 연구책임자를 맡고 있다. 이온 채널의 활성 및 조절을 통한 신경세포의 기능에 관심을 갖고 포타슘 채널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 중이다.
펼치기
박충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뉴욕주립대학교 박사후 연구원, 금호생명환경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화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달의 과학기술자상(2001), 한국생명과학자상(2002), 한국식물학회 최고학술상(2011), 서울대학교 연구상(2012)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백성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분자생물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고 캠퍼스, San Diego 연수연구원과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암세포의 성장과 사멸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크로마틴 다이나믹스를 통한 유전자 조절 과정을 연구하는 중이다. 삼성행복대상(2014년),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2012년), 로레알 여성과학자상 (2011년) 등을 수상했다. 세계적으로 우수한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서울대 창의선도연구자로 선정되어 지원받고 있다.
펼치기
선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는 건강이 좋지 않아 혼자 집에서 이런저런 상상을 하며 지내는 시간이 많았다. 대학에 진학 후 발생학에 관심이 생긴 이래, 오랫동안 공부하고 연구원 생활을 하다 2002년 귀국하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에서 신경발생학 분야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가족은 사랑하는 아내 김민영과 유인 유빈 두 아들이 있다. 1987-1997 | 서울대학교 분자생물학과 학사/석사/박사 1997-2000 | 일본 오사카대 박사후 연수 2000-2002 | 미국 웨이크포레스트대 박사후 연수 2002-현재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교수
펼치기
안지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기초과학원 연구원, 미국 캘리포니아주 The Salk Institute for Biological Studies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현재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8년부터 미래창조과학부 창의적연구진흥사업단 단장을 맡고 있다. 과학기술부 국가연구개발 유공자상(2004), 고려대학교 석탑강의상(2005, 2011, 2013, 2014), 고려대학교 Best Paper Award(2007), 한국분자ㆍ세포생물학회 학술상 마크로젠 과학자상(2010), 미래창조과학부 이달의 과학자상(2014), 한국분자ㆍ세포생물학회 학술상(2014), 다산대상(2014),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2014), 고려대학교 교우회 학술상(2015)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오우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오클라호마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텍사스주립대학교 의과대학 갈베스톤 분교 연구원을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이사장을 맡고 있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1997), 생명약학연구회 남양알로에 생명약학 학술상(2005), 특허청 특허기술상 세종대왕상(2005), 대한학술원 대한민국학술원상(2006), 송음 이선규 의약학상(2008), 한국과학재단 이달의 과학사장(2009), 한국연구재단 한국과학상(2010), 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2010),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DI학술상(2013)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임대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미생물학을 전공했으며, 미국 MD앤더슨 암센터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박사후 연구원, 성 유다 아동연구병원 박사후 연구원 등을 거쳐 한국과학기술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0년부터 한국과학기술원 창의연구원 단장을 맡고 있다. 대전시 이달의 과학기술인상(2004), KAIST Scientific Merit Research Award(2005), 연세 암연구상(2010)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정광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에서 생물학을 전공했으며,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생물과학으로 석사학위, 미국 텍사스-휴스턴 의과대학에서 미생물 및 분자 유전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유한화학 연구원, 휴스턴에 있는 막단백질 센터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현재 서강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로돕신의 구조와 기능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막전위 변화를 이용한 신경 조절을 연구하는 중이다.
펼치기
조형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미시건주립대학교 MSU-DOE Plant Research Laboratory 박사후 연구원,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 박사후 연구원, 충남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식물학회 상임이사를 역임했다. 다세포 생물의 발달 과정에서 다양한 모양과 기능의 세포들이 분화되는 메커니즘에 관심이 크다.
펼치기
한진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박사후 연구원,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현재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분자ㆍ세포생물학회 우수포스터상(2001), 아시아-오세아니안 신경과학회 우수포스터상(2002), 과학기술부 10인의 우수과학자상(2007), The Hospital for Sick Children research Institute 우수연구자상(2007), Canadian Institutes of Health Research Brain Star상(2008), NARSAD 젊은과학자상(2008), 포스코 청암재단 청암우수신진교수상(2009)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신인철 (그림)    정보 더보기
한국과학기술원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소,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박사 후 연구원 및 연구교수를 거쳐, 미국 밴더빌트대학교에서 연구원 및 연구전임강사로 암생물학을 연구했다. 현재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실험실의 애환을 담은 만화 ‘포닭 블루스’, ‘대학원생 블루스’, ‘사랑의 실험실’ 등의 그림을 그린, 생물학계에서 굉장히 유명한 카투니스트이자 생물학자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4050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