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생물학 명강 1

생물학 명강 1

(생명 연구의 최전선에서는 어떤 질문을 던지는가)

최재천, 김경진, 박상철, 오태광, 김영준, 안주홍, 강문일, 김은준, 민도식, 백융기, 유성은, 이승환, 정봉현, 정종경, 최양도 (지은이), 신인철,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기획)
해나무
16,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120원 -10% 0원
840원
14,280원 >
15,12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512원
13,608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9,660원 -10% 480원 8,210원 >

책 이미지

생물학 명강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생물학 명강 1 (생명 연구의 최전선에서는 어떤 질문을 던지는가)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생물학
· ISBN : 9788956056791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13-06-28

책 소개

경암바이오 시리즈. 국내 저명 과학자 15명의 경암바이오유스캠프 강연을 글로 다시 풀어쓴 생물학 교양 도서다. 대학교재처럼 지나치게 전문적이지 않은 책이면서도, 현재 한창 진행되고 있는 생명 연구의 흐름을 폭넓고 깊이 있게 파악할 수 있는 생물학 책이다.

목차

머리말 더 깊고 폭넓은 생명과학의 세계로
_정헌택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회장

감사의 말 생명과학을 향한 꿈과 열정을 응원합니다
_송금조 경암교육문화재단 이사장

1부 질문은 길을 만든다
왜 동물에게서 사람에게로 질병이 옮을까? _강문일 전남대학교 수의학과 교수 12
청소년의 뇌는 어떻게 다를까? _김경진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32
후성유전체 연구란 무엇인가? _김영준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교수 52
무엇이 정신질환을 일으키는가? _김은준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교수 70
염증은 암과 어떤 관계일까? _민도식 부산대학교 분자생물학과 교수 86
늙으면 모두 죽어야 하는가? _박상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노화고령사회연구소 소장 102
단백체학이란 무엇인가? _백융기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특훈교수 118
예쁜꼬마선충은 노벨상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 _안주홍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 132

2부 생명은 길을 찾는다
왜 지구의 주인은 미생물인가? _오태광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 150
신약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_유성은 충남대학교 신약전문대학원 원장 168
DNA는 과학수사에 어떻게 이용되는가? _이승환 대검찰청 DNA수사담당관실 실장 186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란 무엇인가? _정봉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융복합연구소 소장 206
초파리도 과연 파킨슨병을 앓는가? _정종경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218
식물 생명공학은 어떤 미래를 보여주는가? _최양도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교수 238
왜 생물학인가? _최재천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석좌교수 258

저자소개

최재천 (감수)    정보 더보기
평생 인간과 자연을 관찰해온 생태학자이자 동물행동학자. 서울대학교에서 동물학을 전공하고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에서 생태학 석사학위를, 하버드대학교에서 생물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0여 년간 중남미 열대를 누비며 동물의 생태를 탐구한 뒤, 한국으로 돌아와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경계를 넘나들며 생명에 대한 지식과 사랑을 널리 나누고 실천해왔다.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한국생태학회장, 국립생태원 초대원장 등을 지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며 생명다양성재단 이사장을 맡고 있다. 《양심》 《숙론》 《최재천의 곤충사회》 《다윈의 사도들》 《다윈 지능》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생태적 전환, 슬기로운 지구 생활을 위하여》 《과학자의 서재》 《통섭의 식탁》 《열대예찬》 《개미제국의 발견》 등을 썼다. 1989년 미국곤충학회 젊은과학자상, 2000년 대한민국과학문화상을 수상했다. 2019년 세계 동물행동학자 500여 명을 이끌고 총괄편집장으로서 《동물행동학 백과사전》을 편찬했다. 유튜브 채널 〈최재천의 아마존〉을 개설해 인간과 자연 생태계에 대한 폭넓은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펼치기
김경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난자와 정자가 만나 수정란이 되고 일련의 발생 프로그램과 배아를 거쳐 성체(인간)로 발달한다는 명제는 누구에게나 경이롭고 신비한 현상이다. 발생의 신비를 연구하는 생명과학도로 시작해 지난 30여 년 동안 발생생물학, 신경생물학, 내분비학, 분자생물학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인간과 뇌에 관한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며 개척해왔다. 1985년부터 2015년까지 서울대학교 자연대학 생명과학부 교수를 지냈으며, 홈볼트 연구 펠로우, 몇몇 국제학술지의 편집위원, 뇌신경과학회,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불모지였던 신경과학 분야의 1세대로서 지난 10년(2003년~2014년) 동안 “21세기 뇌 프론티어 사업단” 단장을 맡았으며, 2010년 대한민국 학술원상을 수상했다. 2015년부터 DGIST 뇌 인지과학과 석좌교수이자 한국 뇌연구원 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
박상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생명과학과 의학, 특히 노화 연구에 평생을 바쳐온 대한민국 의학계의 대표 석학이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및 의학박사 학위를 받은 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국내 노화 연구의 기반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서울대 노화고령사회연구소 소장, 가천대 이길여 암·당뇨연구원 원장, 삼성종합기술원 부사장,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석좌교수를 거치며 기초의학과 임상을 아우르는 융합 연구를 이끌었다. 현재는 전남대학교 연구석좌교수이자 서울과학종합대학원 석좌교수, 서울대 노화고령사회연구소 고문으로 활동 중이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종신회원이며, 국제백신연구소(IVI) 한국후원회 회장으로도 활약하고 있다. 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 한국노화학회, 국제노화학회, 국제백세인연구단 등 여러 학회의 회장을 역임했고, 과학기술부 노화세포사멸연구센터 소장으로도 국가 차원의 연구 기반 마련에 기여했다. 대표 저서로는 《백세 엄마, 여든 아들》, 《거룩하게 늙는 법》, 《생명보다 아름다운 것은 없다》, 《한국의 백세인》, 《노화 혁명》, 《마그눔 오푸스 2.0》 등이 있다.
펼치기
오태광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 서울대학교에서 식품공학을 전공했으며, 동대학교에서 미생물 효소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30여 년간 미생물 연구로 국제학술논문과 특허 등 400여 건의 연구성과를 이루었다. 교육과학기술부 21세기 미생물 프론티어 사업단장을 10년 동안 하면서 미생물 자원 확보 세계 1위, 중요 미생물들의 유전체 분석, 독도에서 분리한 미생물의 독도 명칭 사용, 45건 이상의 미생물 관련 특허 기술 이전, 미생물에 대한 국가 인프라 구축 등 우리나라 미생물 연구에 견인차 역할을 했다. 이러한 결과를 인정받아서 과학기술 유공자 훈장(2008년), 미생물학회 학술대상(2012), 공로상(2008년) 등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보이지 않는 지구의 주인 미생물』이 있다. 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 한국미생물학회 회장, 미생물 관련 5개 학회 연합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펼치기
김영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졸업 現) 공무원단기학교 국어 대표강사 2009 중앙일보 선정 인강스타강사 Top 2 2007, 2008 EBS 최고인기강사 1위 EBS 국어문법 단일강좌 수강생 No.1 (80,392명) 국어인강 문법부분 최다수강생 1위 (누적수 120,054명)
펼치기
안주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뉴저지 의학치의학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광주과학기술원 교수를 거쳐 현재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예쁜꼬마선충의 신경과 근육 유전자의 발생학적 조절과 칼시퀘스트린, 칼렉티큘린, 칼넥신, 칼시뉴린 등 칼슘결합단백질에 관심이 크다. 대한민국과학기술 우수논문상(2004)을 수상했다. 역서로는 『새로운 생물학』(공역)이 있으며, 저서로는 『유전학실험서』(공저)가 있다.
펼치기
강문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 수의대 병리학 교수 전남대 수의대 학장 역임 한국수의병리학회장ㆍ한국동물복지학회장 역임 국립수의과학검역원장 역임
펼치기
김은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시절 공부했던 약학에 매료되어 신경과학을 전공했고, 그 기간 동안 신경전달이 일어나는 장소인 시냅스를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최근에는 자폐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데, 특히 시냅스가 잘못되어 발생되는 자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어떻게 자폐가 발생하는지 또 치료 가능한 방법들은 있는지를 밝히는 데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미시간 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 후 과정을 받았다. 1997년 귀국 후 부산대학교 약학대학에서 연구하다 2000년부터 KAIST 생명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난 2012년부터는 기초과학연구원 (IBS)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단장직을 맡고 있다. 2015년 '올해의 카이스트인'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민도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분자생물학과 교수 연세대학교에서 생명공학을 전공했으며, 포항공과대학교에서 생명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밴더빌트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교수를 거쳐, 현재 부산대학교 분자생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염증 및 암세포의 성장과 사멸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암유전자의 기능 조절을 연구하는 중이다. 신진생리학자상(2000년), 일천 젊은 의과학자상(2003년), 한국과학기술 우수논문상(2003년) 등을 수상했다. 저서로서는 『성의 과학』(공저), 역서로는 『인체생리학』(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백융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특훈교수 연세대학교에서 생화학을 전공했으며, 미국 미주리대학교에서 생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듀폰연구소, 캘리포니아 의과대학(UCSF) 포스탁 및 상임연구원, 한양대학교 부교수를 거쳐 현재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생체 노화와 암 진단 마커 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다우몬에 의한 수명연장 기전과 간암·췌장암의 진단 마커 개발을 연구하는 중이다. 한국인간프로테옴기구(KHUPO), 아시아오세아니아인간프로테옴기구(AOHUPO) 및 세계인간프로테옴기구(HUPO)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국제인간단백질지도사업 컨소시엄 총괄의장으로 단백질지도 작성을 추진하고 있다. 경암학술상(2005년), 이달의 과학기술자상(2005), HUPO Award(2004), 동헌생화학상(1999)을 수상했다. 160여 편(공저·교신저자)의 국제 SCI논문을 발표했으며 신약 개발, 생리활성 및 간암 진단 마커 관련 국제특허를 10여 건 이상 갖고 있다.
펼치기
유성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신약전문대학원 원장 서울대학교 화학과에서 학사, 석사를 마치고 미국 예일대학교에서 생유기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박사 후 연수를 하였고, 미국 듀퐁사(E.I.DuPont) 중앙연구소에서 신약개발 관련 연구를 수행했다. 한국화학연구원에서 24년간 신약개발연구사업을 수행했다. 대형국책사업인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의 ‘생체기능조절물질사업단’ 사업단장을 맡아 진행했으며, 현재 충남대학교 신약전문대학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신약 개발 연구의 연구책임자로 전주기적인 신약 개발 과정을 수행하였고, 특히 분자설계, 의약화학 및 조합화학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질환 분야로는 심장순환기계, 대사성계 질환 분야에 특히 관심이 많다. 대통령표창(1996년), 이달의 과학자상(1998년), 국민훈장 혁신장(2011년) 등을 수상했다. 200여 편의 학술논문을 발표했으며, 120여 편의 국내 특허 및 국제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펼치기
이승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법과학자이자 대한민국 최고의 DNA 감정 전문가. 서울 대학교에서 동물학(분자생물학)을 전공했으며, 동 대학원에서 분자유전학으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1년부터 2020년까지 30년 동안 대검찰청 과학수사부에서 근무하며 DNA 감식 업무를 총괄하는 DNA 감식실장, 법과학 전반에 대한 연구와 기획을 담당하는 법과학연구소장을 역임했다. 1992년에는 미국 FBI 법과학연구소에서 방문과학자로 연구한 바 있으며, 2007년부터 3년간 서울시립대학교 생명과학과(유전학) 겸임교수를 지냈다. 2024년 현재는 화성의과학대학교 경찰과학수사학과에서 특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과학수사에 DNA 분석 기법과 국내 범죄자 DNA 데이터베이스를 정착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1992년 국내 최초로 PCR(중합효소연쇄반응) 기법을 이용한 유전자 감식 기술을 개발해 수사에 적용했으며, 1993년에는 현재까지도 DNA 분석의 핵심인 STR 분석법을 국내에 처음으로 도입했다. 2012년부터 3년간 법무부 지원으로 ‘DNA 감식의 국산화 및 선진화 연구 사업’을 이끌었고 이 연구 결과물로 범죄자 DNA 데이터베이스에 사용될 수 있는 DNA 감식 시약을 국산화했으며, 2017년에는 세계 DNA 감식 분야의 최고 학술단체인 국제법유전학회ISFG 총회의 한국 개최를 주도했다. 유영철 연쇄살인 사건 등 흉악 범행에 쓰인 흉기의 흔적들을 분석해 사건 해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저서로 《생물학 명강 1》(공저)이 있다.
펼치기
이승환의 다른 책 >
정봉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융복합연구소 소장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융복합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차세대성장동력 단백질칩기술개발 총괄책임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 나노바이오 전공책임교수, 한국과학기술원 바이오시스템학과 대우교수를 맡고 있다. 바이오칩, 바이오센서, 나노메디신에 관심이 크다. 암과 암전이를 초기 진단하는 나노겔을 개발하는 등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2013년 KRIBB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정종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약학을 전공했으며,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분자세포생리학 분야 연구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세포의 성장과 사멸이 어떻게 조절되는가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파킨슨병, 당뇨병 등에 관련된 질병 유전자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80여 편의 연구논문을 발표했으며, 한국과학기술원 연구상(2002), 우수 의과학자 20인상(2002), 이달의 과학자상(2006. 12), 우수과학자 10인(2007), 한국과학기술원 학술대상(2008), 경암학술상(2008),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학술상(2010), 아산의학상(2013) 등 다수의 상을 받았다.
펼치기
최양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농화학을 전공했으며,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분자세포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원을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식물의 자기 방어 원리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메칠자스몬산을 통한 유전자 조절을 연구하는 중이다. 한국식물생명공학회장(2009~2010),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장(2011년)을 역임하였으며, 대한민국학술원상(2007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2008년) 등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식탁 위의 생명공학』(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신인철 (그림)    정보 더보기
한국과학기술원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소,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박사 후 연구원 및 연구교수를 거쳐, 미국 밴더빌트대학교에서 연구원 및 연구전임강사로 암생물학을 연구했다. 현재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실험실의 애환을 담은 만화 ‘포닭 블루스’, ‘대학원생 블루스’, ‘사랑의 실험실’ 등의 그림을 그린, 생물학계에서 굉장히 유명한 카투니스트이자 생물학자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6058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