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에탕 브리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쌍둥이 예술가, 화가, 일러스트레이터, 에니메이터, 영화감독이다.
폴 브리지와 가에탕 브리지는 1951년 태어나 파리에서 자랐으며, 프랑스 국립고등예술학교(Ecole Nationale Superieure des Arts Decoratifs)에서 공부했다. 1976년 프랑스 예술 학생에게 주어지는 로마대상(Prix de Rome)을 받았고, 1977년 단편 Fracture로 최우수 단편 애니메이션 부문 세자르상을 받으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이후 폴과 가에탕은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를 설립하고 영화 스토리보드 작업, 장편영화 감독, 애니메이션 TV프로그램 제작 등을 하며, 프랑스 문화예술공로훈장(Chevaliers de l'ordre des Arts et des Lettres)을 받았다.
형제는 1989년 스튜디오를 디즈니에 매각하고 1994년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하여 월트 디즈니 장편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일하며 <노트르담의 꼽추> 등 여러 애니메이션에서 스토리보드/콘셉트 아티스트, 시퀀스 디렉터 및 프로듀서로 일했다.
2001년에 폴과 가에탕은 개인 프로젝트와 그림 작업에 집중하기 위해 스튜디오를 떠났다. 그들은 루도비코 아리오스토의 「광란의 오를란도(Orlando Furioso)」를 삽화하여 상상력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46막은 46개의 그림으로 표현되었다. 또한 오페라의 장엄한 장면을 표현하는 새로운 그림 컬렉션을 제작해 전시하기도 했다. 형제는 현재 문학 작품을 그래픽 노블로 제작하는 데 매진해 프랑스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단테의 지옥(L'Enfer De Dante)』(2023), 『발자크의 해학(Les Contes Drolatiques)』(2021), 『세월의 거품(L'Ecume Des Jours)』(2020), 『베이징의 가을(Autumn In Peking)』(2017) 등이 있다. http://www.brizzibrothers.com/
펼치기
폴 브리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쌍둥이 예술가, 화가, 일러스트레이터, 에니메이터, 영화감독이다.
폴 브리지와 가에탕 브리지는 1951년 태어나 파리에서 자랐으며, 프랑스 국립고등예술학교(Ecole Nationale Superieure des Arts Decoratifs)에서 공부했다. 1976년 프랑스 예술 학생에게 주어지는 로마대상(Prix de Rome)을 받았고, 1977년 단편 Fracture로 최우수 단편 애니메이션 부문 세자르상을 받으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이후 폴과 가에탕은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를 설립하고 영화 스토리보드 작업, 장편영화 감독, 애니메이션 TV프로그램 제작 등을 하며, 프랑스 문화예술공로훈장(Chevaliers de l'ordre des Arts et des Lettres)을 받았다.
형제는 1989년 스튜디오를 디즈니에 매각하고 1994년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하여 월트 디즈니 장편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일하며 <노트르담의 꼽추> 등 여러 애니메이션에서 스토리보드/콘셉트 아티스트, 시퀀스 디렉터 및 프로듀서로 일했다.
2001년에 폴과 가에탕은 개인 프로젝트와 그림 작업에 집중하기 위해 스튜디오를 떠났다. 그들은 루도비코 아리오스토의 「광란의 오를란도(Orlando Furioso)」를 삽화하여 상상력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46막은 46개의 그림으로 표현되었다. 또한 오페라의 장엄한 장면을 표현하는 새로운 그림 컬렉션을 제작해 전시하기도 했다. 형제는 현재 문학 작품을 그래픽 노블로 제작하는 데 매진해 프랑스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단테의 지옥(L'Enfer De Dante)』(2023), 『발자크의 해학(Les Contes Drolatiques)』(2021), 『세월의 거품(L'Ecume Des Jours)』(2020), 『베이징의 가을(Autumn In Peking)』(2017) 등이 있다. http://www.brizzibrothers.com/
펼치기
이세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프랑스 문학을 공부했다.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브뤼노 라투르 마지막 대화》《확인 강박》《우리에겐 논쟁이 필요하다》《사피엔스의 뇌》《명상록 수업》《나는 생각이 너무 많아》 등이 있으며, 저서로 《전 세계의 책을 우리말로 풀어내는 멋진 직업 출판번역가》가 있다.
펼치기
오노레 드 발자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799년 5월 20일 프랑스 투르(Tours)에서 4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발자크의 모친은 자녀에게 무심한 편이어서 낳자마자 아들을 유모의 집에서 기르게 했고, 이어서 그를 오라토리오회 수도원 기숙학교에 넣고서 찾아보지 않았다고 한다. 가족과 떨어져 유년기를 보낸 이 시절의 외로움과 슬픔은 그의 소설 《골짜기의 백합(Le Lys dans la Vallee)》에 잘 나타나 있다. 1814년 가족이 파리로 거처를 옮기게 되자 발자크는 파리에서 학업을 이어 가게 된다. 그는 법학 공부를 하는 이외에 소송 대리인과 공증인 사무소의 수습 서기로 일하면서 법률 실무를 익힌다. 이 시기에 얻은 법률 지식과 경험은 이후 그의 소설 창작의 밑거름이 되어 《인간 희극》에서는 법률문제와 관련한 많은 사건이 등장하며 풍부한 법률 지식이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1819년 발자크는 법률가의 길을 포기하고 파리의 비좁은 다락방에 갇혀 지내며 문학 습작하는 생활에 전념한다. 첫 작품은 운문 비극 〈크롬웰〉이었고, 이후 몇몇 소설들을 발표하지만 주목을 받지 못했다. 생계를 위해 친구들과 공동 작업으로 당시 유행하던 모험 소설들을 출간하기도 했다. 1825년 문학 활동으로 두각을 나타내지 못한 발자크는 사업에 뛰어들어 재정적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출판사와 인쇄 및 활자 제조소 운영으로 이어지는 발자크의 사업은 2년 만에 실패로 끝났고 발자크는 파산에 이르러 막대한 부채를 짊어진다. 이후 문학의 길로 되돌아 왔으나 그는 평생 빚에 쫓기면서 돈을 벌기 위해 소설을 써야 하는 고달픈 생활을 계속하게 된다. 이후 《인간 희극》에 포함된 《마지막 올빼미당원(Le Dernier Chouan)》이 1829년 발표되면서 발자크의 작품은 드디어 빛을 보기 시작한다. 이해에 나온 《결혼 생리학(La Physiologie du mariage)》은 세간의 큰 주목을 받으며 호응을 얻었다. 1830년부터는 파리의 여러 살롱을 다니면서 사치스러운 생활을 추구했다. 1833년부터 1835년에 이르는 동안 발자크는 소설가로서 당시 낭만주의 문학을 벗어나 자신의 확고한 창작 세계를 형성한다. 이 시기에 《고리오 영감(Le Pere Goriot)》을 비롯해 《외제니 그랑데(Eugenie Grandet)》, 《루이 랑베르(Louis Lambert)》, 《세라피타(Seraphita)》 등 많은 소설이 발표되었다. 발자크는 앞선 작품에 등장했던 인물을 재등장시키는 독특한 기법을 《고리오 영감》에서 처음 시도한 이후 이 기법을 계속 사용하면서 자신이 이미 쓴 작품들과 앞으로 쓸 작품들을 연계해 하나의 거대한 체계로 완성할 계획을 했다. 1841년 이 총서의 제목을 《인간 희극》으로 정하고 첫 권에 서문(Avant-Propos)을 붙여 소설에 대한 자신의 개념과 작품들이 이어지는 원칙을 밝힌다. 그러나 애초에 130여 편의 소설들로 구상했던 작품집은 1850년 발자크가 서거하면서 미완성으로 남겨진다. 한편 발자크의 건강은 과도한 집필 활동과 재정적 압박으로 인해 차츰 소진되어 가고 있었다. 1850년 1월 결혼을 앞두고 우크라이나에 머물고 있던 발자크의 건강은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악화되었다. 그해 3월 결혼식을 올리고 5월 우크라이나를 떠나 파리로 돌아왔다. 하지만 신혼집에 도착한 뒤 발자크는 더 이상 병석에서 일어나지 못한 채 3개월 만에 숨을 거둔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