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중어중문학
· ISBN : 9788956260778
· 쪽수 : 270쪽
· 출판일 : 2004-08-15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
제1장 국수학보 발표본 (64조)
1.사 비평의 기준, 경계 / 2.만든 경계와 그린 경계 / 3.유아지경과 무아지경 / 4.우미와 숭고 / 5.사실주의자와 이상주의자 / 6.경계의 조건, 참된 감정과 참된 경물 / 7.한 글자로 경계가 나타난 경우 / 8.큰 경계와 작은 경계 / 10.경계는 근본, 흥취와 신운은 겉모양 / 10.이백의 시와 기상 / 11.온정균의 사 / 12.온정균,위장,이욱의 사의 품격 / 13.이경의 사의 명구 / 14.온정균,위장,이욱의 사의 비교 / 15.이욱의 사 / 16.갓난아이의 마음을 지닌 이욱 / 17.객관적 시인과 주관적 시인 / 18.피로 쓴 이욱의 사 / 19.북송의 기풍을 연 풍연사의 사 / 20.풍연사의 사의 명작들
21.구양수의 사의 명구 / 22.구양수는 풍연사의 사를 배웠다 / 23.봄 풀을 노래한 명작 / 24.시경의 '갈대'와 안수의 '나비는 꽃을 사모하네' / 25.시인의 삶 걱정, 세상 걱정 / 26.성공하는 사람들의 세 가지 경계 / 27.구양수의 '옥 누대의 봄' / 28.진관과 안기도 비교 / 29.진관의 '사초를 밟으며' / 30.시경,초사,시,사에서 기상이 비슷한 작품들 / 31.도연명의 시,설수의 부 그리고 소식과 강기의 사 / 32.숙녀의 노래와 기생의 노래 / 33.주방언의 사 / 34.대체자를 쓰지 말라 / 35.대체자를 쓰지 말라 / 36.주방언의 사와 강기의 사 / 37.소식의 '물 속 용의 노래' / 38.사물을 노래한 사 / 39.가리어진 글자 / 40.가리어짐과 가리어지지 않음
41. 가리어지지 않은 감정묘사와 경물묘사 / 42.강기는 일류작가는 아니다 / 43.남송의 뛰어난 작가,신기질 / 44.소식의 사와 신기질의 사 / 45.소식,신기질,강기의 사 / 46.사 작가 가운데 위선자 / 47.신기질의 신비한 깨달음 / 48.사달조와 주방언의 사에 대한 말들 / 49.오문영의 사의 명구 / 50.오문영의 사와 장염의 사 / 51.천고의 장관, 납란성덕의 '길이 서로 그리워하며' / 52.진실하고 절실한 오랑캐 작가,납란성덕 / 53.시와 사의 창작상의 우열 / 54.시가 장르의 흥망성쇠 / 55.작품의 제목 붙이기 / 56.대가의 작품 / 57.시와 사의 도를 얻는 방법 / 58.창작에서 역사적 사건의 인유 / 59.시와 사의 체제 비교 / 60.세상 안으로 들어가기와 세상 밖으로 나오기 / 61.시인이 사물을 대하는 방법 / 62.음탕한 언어,비속한 언어,불성실한 언어 / 63.원대 마치원의 명작,'하늘의 맑은 모래' / 64.원대의 명극작가 백박이 사에 뛰어나지 못한 이유
제2장 미발표 원고 (50조)
1.강기의 사에서 내가 아끼는 구절 / 2.문학 성쇠의 한 관건 / 3.하늘의 음악에 대한 오해 / 4.천박한 시들 / 5.나는 타인의 운을 차용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 6.내 친구 심굉이 지은 '나비는 꽃을 사모하네' / 7.내가 지은 시 / 8.서정시는 국민이 유치한 시대에 짓는 것 / 9.하주의 사는 참맛이 ㅈ거다 / 10.장르별 창작의 난이도 / 11.기쁨과 즐거움의 말을 뛰어나게 표현하기는 어렵다 / 12.천재를 죽이는 문학의 관습 / 13.시의 경계와 사의 언어 / 14.경계는 근본,기질과 신운은 말단 / 15.옛 사람의 경계를 자신의 경계로 만드는 방법 / 16.감정을 묘사한 언어만으로 우수작이 된 경우 / 17.긴 노래에 뛰어난 작가들 / 18.신기질의 뛰어난 사 '신랑에게 축하하며' / 19.북방악곡의 사성통압의 시조,신기질과 한옥의 사 /20.장춘림,항홍조,납란성덕의 사 비교
21.장염의 '사의 근원'에 대한 하상의 평가 / 22.장염에 대한 주제의 평가 / 23.사의 시대에 대한 논의 / 24.살아 있는 향기와 채색한 꽃 / 25.왕사정의 사집 '넘치는 물결' / 26.담헌의 시와 주효장의 사 / 27.송징여와 담헌의 '나비는 꽃을 사모하네' / 28.왕봉운의 명작 '까치가 나뭇가지를 밟다' 10수' / 29.비평가 장혜언의 의도적 오류 / 30.사달조의 사에 대한 강기와 하상의 비평 / 31.억지를 부려 창작하는 것은 쓸 데 없는 짓 / 32.남송 이후의 사는 명작이 없다 / 33.주밀과 장염의 사는 말라비틀어졌다 / 34.놀랄 만한 구절이라고 할 수 없는 사달조와 장염의 사구 / 35.문천상과 유기의 사 / 36.북송 사와 남송 사의 비교 / 37.'사선집 초가집'과 '뛰어나고 훌륭한 사' 비교 / 38.'고금의 사에 대한 평론'의 판본 문제 / 39.정치가의 눈과 시인의 눈 / 40.남송의 기생 엄예의 '예언자'
41.괜찮은 구와 괜찮은 작품 / 42.광대의 사와 속인의 사 / 43.'나비는 꽃을 사모하네'(홀로 높은 누대에 기대어)의 작가 / 44. 경박한 작품은 지어서는 안 된다 / 45.작사가는 충실해야 한다 / 46.사집과 시집의 비교 / 47.명말,청초,청중 후기의 사비평의 문제점 / 48.소식의 활달함과 강기의 활달함의 차이 / 49.문학에서 내면적 알므다움과 갈고 닦음의 중요성 / 50.시인이 갖추어야 할 두 가지 성질,해학과 엄중
제3장 삭제한 원고 (12조)
1.쌍성과 첩운 / 2.쌍성,첩운과 사성과의 관계 / 3.경물을 묘사한 언어는 감정을 묘사한 언어이다 / 4.공자도 '진정성'을 시비평의 기준으로 삼았다 / 5.'길이 서로 그리워하며'의 작가 / 6.화응의 '기구한 운명의 여인' / 7.원대 잡극의 선구 / 8.바치는 말 / 9.사총집 '술잔 앞에서'의 편찬자와 연대 / 10.가장 뛰어난 문학은 훌륭한 창조와 훌륭한 계승이 있다 / 11.초사,오언 고시,사의 명작가 / 12.음탕한 사,비속한 사,불성실한 사
해제 - 아름다운 경계,'인간사화'
참고문헌
주요 판본별 조칙 대조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