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자본가 없는 자본주의

자본가 없는 자본주의

질 에얄, 이반 젤레니, 엘리노어 타운슬리 (지은이), 임현진, 정일준, 정영철 (옮긴이)
시유시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자본가 없는 자본주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자본가 없는 자본주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자유주의/신자유주의
· ISBN : 9788956600444
· 쪽수 : 438쪽
· 출판일 : 2007-02-24

책 소개

한국과 전세계 자본주의 사회가 직면한 현실을 치열하게 분석하여 학술적이고도 실천적인 전망을 제시한다는 뜻으로 시작한 '시유시 자본주의 시리즈' 첫번째 책. 중부 유럽을 엄습한 사회주의 몰락과 그 이후에 벌어진 이행과정을 다루고 있다.

목차

1.20세기 중부 유럽사회의 구조와 변화와 계급, 엘리트
연속성과 변화
상이한 자본유형들
20세기 중부 유럽의 사회구조 변동
사회변동이론

2.자본주의 전환기의 중부 유럽 지식인
자본가 없는 자본주의는 가능한가? :역사에 나타난 유사현상과 선례
어떤 부르주아지인가? :자본주의 행위자들에 대한 역사사회학적인 개념들
자본주의로의 전환을 위한 탈공산주의 전략의 기원

3.탈공산주의 권력 엘리트의 이데올로기
기술관료 엘리트 분파의 통화주의 이데올로기
사회주의 이후의 삶에 대한 반체제 지식인의 전망: 시민사회 이데올로기
통화주의와 시민사회 담론 사이의 선택적 친화력
경영주의 심성, 그리고 경영주의 심성이 재해석한 통화주의와 시민사회
탈공산주의 일상의 의례들

4.탈공산주의 시대의 경영주의: 신 자산계급형성을 둘러싼 이론 논쟁과 사회 투쟁
제1막-노멘클라투라: 부다페스트와 바르샤바의 도둑
제2막-승리를 거둔 기술관료
제3막-경영자들의 조심스러운 행동
제4막-1993~96년의 은행 대약탈
노멘클라투라에게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경영기술관료 엘리트의 승리
경영자 통제를 배경으로 한 모호한 자산소유 관계
덧붙임:1993~96년의 은행 대약탈

결론:탈공산주의 중부 유럽의 계급형성에 관한 논쟁 지형
네번째 '새로운 계급'기획?
중부 유럽 탈공산주의의 대안적 미래
위로부터의 자본주의와 그 대안들: 시민사회에서 자본주의로 가는 여정
결론

부록1: 1989년 이후 동유럽의 사회계층화
부록2: 엘리트 모집단의 표준목록
부록3: TARKI가 작성한 자료에 관한 참고사항

참고문헌
색인

저자소개

질 에얄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7년 현재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사회학 교수로 재직중이다. 주요 저서로 <The Origins of Post-Communist Elites: From the Prague Spring to the Breakup of Czechoslovakia>가 있다.
펼치기
이반 젤레니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7년 현재 미국 예일대학교 교수로 재직중. 지은 책으로 <Patterns of Exculsion>, <Poverty, Ethnicity, and Gender in Eastern Europe During the Market Transition>등이 있다.
펼치기
엘리노어 타운슬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7년 현재 미국 홀요크대학 사회학 교수로 재직중.
펼치기
임현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를 마쳤고,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발전사회학, 정치사회학, 지구사회학, 비교사회학, 민주주의론 등이다. 주요 연구저서로 『전환기 한국의 정치와 사회: 지식, 권력, 운동』(2005), 『한국의 사회운동과 진보정당』(2009), 『세계화와 반세계화』(2011), 『지구시민사회의 구조와 역학』(2012), 『비교시각에서 본 박정희 발전모델: 라틴아메리카의 브라질, 멕시코, 아르헨티나, 칠레와 아시아의 한국』(2017), Global Capitalism and Culture in East Asia (2019), 『글로벌 아시아』(2021) 등이 있다. 현재 서울대 명예교수 및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며 East Asian Sociological Association 회장, 경실련 공동대표, 국무총리실 시민사회발전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바 있다.
펼치기
정영철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교수 서울대학교 섬유공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사회학 박사 논저 『평화의 시선으로 분단을 보다』, 『김정은 시대 북한의 변화』, 『공존의 시선으로 남북을 잇다』
펼치기

책속에서

반체제 지식인은 시민사회를 강조하고 기술관료는 자유시장과 통화주의적 통제에 관심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1980년대에는 두 집단 사이에 거의 공통점이 없는 것처럼 보였지만, 사회주의가 죽었다는 결론에 도달하자마자 그들은 그처럼 다르게 보였던 것이 사실은 자유 자본주의 사회라는 동전의 양면에 불과했음을 깨닫게 되었다.-p188 중에서

탈공산주의 개혁가들은 국가사회주의에 대한 반체제 지식인의 비판을 자신들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그리고 스스로를 목자로 여기면서 공산주의 전기간에 걸쳐 잘못된 교육이 이루어졌다고 비난했다. 심성과 영혼이 부패하는 데는 '사회주의적 심성의 폐쇄성'이 있었다.-p229-230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