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전환기의 한국 민주정치

대전환기의 한국 민주정치

이정복, 안청시, 장달중, 최장집, 김용호, 박찬욱, 장훈, 강원택, 김민전, 전성철, 김진국, 이부영, 김호섭, 백영철, 박명림, 박홍규, 임현진 (지은이)
중앙books(중앙북스)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전환기의 한국 민주정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전환기의 한국 민주정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정치비평/칼럼
· ISBN : 9788927812630
· 쪽수 : 540쪽
· 출판일 : 2021-10-28

책 소개

이홍구 전 총리의 미수 기념 문집 2권. 이홍구 전 총리의 가르침을 이어받고 그의 철학을 계승하며 지지하는 총 33인의 글을 엮은 책으로, 각 편마다 집필진의 오랜 연구 업적을 깊이 있게 담아냈다. 이정복 서울대 명예교수 외 총 16인이 한국의 민주정치의 역사를 아우르는 연구 성과를 담아냈다.

목차

1부 한국정치
동북아 정치질서의 변화와 한국의 선택 _이정복
한국 지방자치와 민주주의: 30년의 성과와 과제 _안청시
경제단체와 한국정치: 고도 성장기 경제단체의 이익집단화 과정 _장달중
이홍구의 “사회적 보전 공리”와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하나의 성찰 _최장집
신민당 리더십의 세대교체가 주는 정치적 교훈:1969년의 40대 기수론 _김용호
제21대 국회 첫 1년 의정에 대한 소고: 다수당 독주, 양극적 갈등과 실종된 협치 _박찬욱
이홍구 정치학의 전개와 한국 민주주의 연구 _장훈
포퓰리즘 정치와 한국 민주주의의 개혁 방안 _강원택
역대 정치관계법에 나타난 한국정치구조의 변화 _김민전
‘2022년 대선은 조국 스탠다드와 글로발 스탠다드 간의 대결’ _전성철
30년 전 여소야대에서 발휘한 국회 중심 정치의 경험 _김진국

2부 평화통일
평화·공존·상생을 위하여
曉堂 李洪九 선생님의 유연한 실천에 감사드리며 _이부영
세력전이와 한일관계의 미래 _김호섭
한국의 통일정책: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_백영철
한반도의 평화철학과 실천: 이홍구의 코먼웰스 구상을 중심으로 _박명림
남북관계와 공동올림픽의 추진, 물 건너간 과제의 복기 _박홍규, 임현진

저자소개

박명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연세대학교 지역학협동과정 교수로서 정치학, 사회인문학, 평화학, 한국학, 동아시아국제관계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연세대학교 인간평화와 치유 연구센터 소장을 맡고 있다.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동 대학원 석사, 박사를 졸업하였다. 고려대학교 아세아 문제 연구소 연구 교수(1994-1999), 하버드대학교 하버드-옌칭 연구소 협동 연구학자(1999-2001), 프랑스고등사회과학원과 베를린자유대학교 초빙교수(2013-2014)로 재직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전쟁의 발발과 원 1,2』(1996), 『한국1950: 전쟁과 평화』(2002) 등이 있다.
펼치기
박찬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미국 아이오와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프랭클린 마샬 대학 정치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과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정치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세계정치학회 집행위원과 한국사회과학협의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 《국회의 성공조건》(공저) 《21세기 미국의 거버넌스》(공저) 《민주정치와 균형외교》(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임현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를 마쳤고,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발전사회학, 정치사회학, 지구사회학, 비교사회학, 민주주의론 등이다. 주요 연구저서로 『전환기 한국의 정치와 사회: 지식, 권력, 운동』(2005), 『한국의 사회운동과 진보정당』(2009), 『세계화와 반세계화』(2011), 『지구시민사회의 구조와 역학』(2012), 『비교시각에서 본 박정희 발전모델: 라틴아메리카의 브라질, 멕시코, 아르헨티나, 칠레와 아시아의 한국』(2017), Global Capitalism and Culture in East Asia (2019), 『글로벌 아시아』(2021) 등이 있다. 현재 서울대 명예교수 및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며 East Asian Sociological Association 회장, 경실련 공동대표, 국무총리실 시민사회발전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바 있다.
펼치기
최장집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및 같은 대학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시카고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워싱턴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분교, 코넬 대학교와 스탠퍼드 대학교 객원교수 및 일본 아시아경제연구소 객원연구원,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고려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주요 저서로는 『노동 없는 민주주의의 인간적 상처들』,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민중에서 시민으로』, 『한국의 노동운동과 국가』, 『한국 현대 정치의 구조와 변화』, 『한국 민주주의의 이론』, 『어떤 민주주의인가』(공저), 『논쟁으로서의 민주주의』(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강원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자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 원장. 런던 정치경제대학교(LSE)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정치학회장, 한국정당학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한국 정치, 의회, 선거, 정당 등이다. 주요 논저로는 『제5공화국』(역사공간, 2024), 『국가는 어떻게 통치되는가』(인간사랑 2022), 『한국 정치의 결정적 순간들』(21세기북스, 2019), 『사회과학 글쓰기』(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한국 정치론』(박영사, 2019), 『시민이 만드는 민주주의』(박영사, 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전성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글로벌스탠다드연구원(IGS) 회장이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졸업 후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MBA와 로스쿨을 마치고 맨해튼의 대형 로펌 ‘리드&프리스트’에서 변호사로 일했다. 외국인, 동양인이라는 약점을 극복하고 4년 만에 파트너로 승진함으로써 맨해튼 대형 로펌 최단 기간 내 파트너 승진 기록을 세웠다. 미국에서 한국 정부 고문 변호사로 슈퍼 301조 등 메가톤급 통상 이슈들을 맡아 성공적으로 해결했다. 14년간의 미국 생활을 끝내고 귀국 후에는 김앤장 국제변호사를 거쳐 청와대 정책기획비서관과 산업자원부 무역위원장, 신한국당 대표 상임 특보 등을 역임했다. 2000년 총선에 출마하여 낙선한 후 세종대학교 경영대학원장, 부총장 등을 역임하고 2003년 한국 최초의 CEO 교육기관인 IGM세계경영연구원을 설립하여 15년 동안 전국적으로 1만 명 이상의 CEO 및 임원에게 경영의 다양한 기법을 전수했다. 언론 분야에서는 30여 년 동안 《워싱턴포스트》, 《조선일보》를 포함한 여러 국내외 매체에 총 200편이 넘는 다양한 주제의 칼럼을 기고했고, 1998년 IMF 위기가 한창일 때는 MBC에서 〈전성철의 경제를 푼다〉, 〈경제 매거진〉 등을 진행하며 한국 최초로 ‘경제 칼럼니스트’라는 타이틀을 얻었다. 《조선일보》 비상임 논설위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저서로는 『꿈꾸는 자는 멈추지 않는다』, 『변화의 코드를 읽어라』, 『4차 산업혁명 시대, 어떻게 일할 것인가』, 『세상 모든 CEO가 묻고 싶은 질문들』, 『가치관 경영』, 『위기관리 10계명』, 『협상의 10계명』 등 총 13권이 있다. 현재 한국 사회에 글로벌 스탠다드를 전파한다는 목적을 가진 ‘글로벌스탠다드연구원’을 운영하면서 유튜브 채널 ‘디지틀조선TV’에서 〈전성철의 글로벌 아이〉라는 주간 영상 칼럼을 진행하고 있으며, 개인 유튜브 채널인 ‘전성철의 핵콕TV’를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김용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은 후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University of Pennsylvania)에서 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외교부 외교안보연구원(현 국립외교원)과 한림대를 거쳐 2002년부터 2017년까지 인하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정년퇴임하였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St. Antony’s College 인촌 펠로우(1996-1997년), 한국정당학회(2004-2005년)와 한국정치학회(2006년) 회장, 중앙선거관리위원(장관급, 2014-2020년) 등을 지낸 후 현재 경희대 평화복지대학원 특임교수 등을 맡고 있다. 저서는 <2016 총선에서 배우다>(편저, 푸른길, 2016), <외교영토 넓히기: 대한민국 수교역사>(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6), <북한의 협상 스타일>(인하대 출판부, 2005), <한국정당정치의 이해>(나남, 2001), <비교정치서설>(공저, 법문사, 1990), <민주주의 이론서설: 미국 민주주의의 원리>(역서, 법문사, 1990) 등이 있다.
펼치기
이정복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졸업 미국 워싱턴대학교(시애틀) 정치학 박사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교수 한국정치학회 회장, 현대일본학회 회장 역임 주요 저서 「21세기 한국정치의 발전방향」(편자) 「한국의 정치적 과제」 「북핵문제의 해법과 전망」(편자) The Political Character of the Japanese Press 외
펼치기
김민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정치학 석사를 거쳐 미국 아이오와 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 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학부대학 교수(정치과정, 정치 커뮤니케이션)이다. 국회사무처 법제예산실 정책조사관과 범국민정치개혁협의회 위원을 역임했으며, KBS <추적 60분>과 문 화방송 <100분 토론>, EBS <현장! 교육> 등에서 다양한 방송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 정치제도 의 진화경로-선거 정당 정치자금제도>(공저, 2006), <리더십과 한국정치개혁(김민전의 정치읽기)>(2007), <사회변화와 입법>(공저, 2008), <변화하는 한국유권자3(패널조사를 통해 본 18대 국회의원선거)>(공저, 2009) 등이 있다.
펼치기
박홍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신씨내티 대학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아 귀국한 이래 외교안보연구원에서 교수로 근무하다가 정년퇴직하였다.
펼치기
장훈 (엮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Northwestern University) 정치학 박사미국 민주주의재단(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레이건-파셀 펠로(2005)전 한국정당학회장현 중앙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한국의회발전연구회 이사장
펼치기
이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정치학과를 졸업했으며, 동아일보 기자로 있다가 해직당했다.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대변인과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민통련) 사무처장,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 상임의장을 역임했다. 그 이후 정계에 입문하여 통합민주당 부총재, 한나라당 원내총무, 부총재, 열린우리당 의장직을 맡았다. 14,15,16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현재 동북아평화연대 명예이사장 및 동아시아평화회의 운영위원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희망의 정치로 가는 길』, 『다시 서는 저 들판에서-이부영의 시 대과제』 등이 있다.
펼치기
김진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관훈클럽정신영기금 이사장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