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동물도감
· ISBN : 9788957080337
· 쪽수 : 182쪽
· 출판일 : 2004-03-31
목차
머리말 제1화 곤충을 흉내낸 로봇 곤충을 흉내내다 = 2 마이크로머신의 모델은 모기 = 3 또다시 놀라운 모기의 생리기능 = 4 마이크로머신을 만드는 데는 = 7 나방의 자유비행을 해석하기 위한 마이크로 전극 = 9 페로몬 로봇과 가스 누출탐지기 = 12 산불 탐사로봇 = 13 진동으로 움직이는 개미형 로봇 = 14 제2화 비단(실크)이 변하고 있다 실크 - 태고적부터의 동경(憧憬) = 18 실크의 새로운 이용 = 20 생물소재로서 실크단백질의 특성 = 22 실크를 먹는다 = 24 실크콘택트렌즈 = 25 「실크가죽」볼펜과 시계 = 26 입자 굵기 1 미크론의 실크분말 100의 화장품 = 28 인공인대, 인공힘줄로의 이용 = 30 제3화 불가사의한 양잠국, 한국 누에가 갖고 있는 약리효과 - 비과학적이라고 부정할 수는 없다? = 34 누에를 이용한 민간요법 = 34 고치생산이 없는 양잠국, 한국 = 36 누에분말이 당뇨병의 치료약으로 = 37 누에분말은 왜 혈당을 낮추는가? = 41 누에와 관련된 다른 기능성 물질 = 42 말벌의 정력드링크제 = 44 제4화 곤충에는 왜 색이 있는가? 곤충의 체색과 색소 = 48 누에알의 색과 휴면성 = 50 청벌레는 왜 푸른색인가? = 55 색소결합 단백질 = 57 유충 체색과 위장(僞裝) = 57 색소결합 단백질의 또 하나의 역할 = 59 배추흰나비의 배우행동과 날개의 색 = 60 배추흰나비의 자외선색과 요산 = 62 모르포나비의 구조색과 이를 모방한 옷감소재 = 63 제5화 곤충과 미생물의 미묘한 관계 생물의 공생현상 = 68 곤충과 미생물의 공생 = 70 흰개미가 셀룰라아제(섬유소분해효소)를 갖고 있었다 = 71 공생미생물 월바키아(Wolbachia) = 76 월바키아에 의한 세포질 불화합성 = 78 월바키아가 야기하는 암컷화 = 80 월바키아가 수평전이되고 있었다 = 81 제6화 살충제가 듣지 않게 된 곤충들 DDT의 영광과 침묵의 봄 = 86 곤충의 살충제에 대해 저항성을 획득한다 = 89 살충제의 작용기구 = 92 저항성의 메커니즘이 분자수준에서 이해되다 = 93 집파리의 유전자 전사활성의 증대 = 94 유전자 증폭에 의한 저항성 = 95 표적부위의 구조변화에 의한 저항성 = 96 채널 단백질의 구조변화 = 98 제7화 잠자는 누에알 곤충의 휴면 = 104 누에알 휴면의 특수성 = 105 누에알의 인공부화법 = 108 누에 휴면란의 특성 = 111 휴면을 유도하는 호르몬 = 111 휴면호르몬이 정제되어 알게된 사실 = 113 글리코겐이 없이도 휴면하는 누에알 = 116 제8화 곤충공장 곤충공장이란? = 120 곤충공장의 도구로서의 누에 = 121 곤충공장의 출발점 = 123 누에 체액의 효율적인 채취법 = 125 조환바이러스의 효율적인 접종법 = 126 누에의 전자동 무인사육시스템 = 127 고양이 인터페론의 상품화 = 127 단백질의 위탁생산시스템 = 130 미래의 곤충공장 = 131 제9화 누에 게놈의 발신은 일본으로부터 게놈이란? = 138 게놈 해석연구의 진전 = 139 일본주도의 벼 게놈연구 = 140 곤충 게놈연구의 현상 = 142 왜 누에 게놈인가? = 143 누에 게놈해석으로 야기될 일들 = 146 누에 게놈의 추진방책 = 147 국제 나비목 곤충 게놈 워크숍 = 150 제10화 곤충기능 이용연구의 거점 연구 교육거점의 형성 = 154 「곤충기능 이용연구」프로제트 = 156 벼로 곤충 항균성 단백질 유전자의 도입 = 158 탈피호르몬 분비를 제어하는 새로운 펩티드 = 160 식물과 곤충간의 먹느냐 먹히느냐 = 162 뽕의 효소를 이용하는 누에 = 165 곤충 신소재의 대량생산 = 167 노린재의 유전자 번역개시기구가 교과서를 다시 쓰게 했다 = 167 녹아웃 누에 만들기 = 169 찾아보기 = 173 마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