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57339640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25-01-03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면서 | 여성 관점은 철학을 어떻게 바꾸는가?
1부 여성주의 인식론을 위하여
1장 그것은 누구의 인식인가?
인식과 진리의 문제 | 과학주의와 손잡은 인식론 | 인간 이성, 그것은 진화의 산물
인가? | 규범적 자연주의 | 과학은 가치중립적인가? | 과학과 여성주의 | 젠더 혁
신 | 여성적 가치에 기반한 기술 | 기술 시대, 우리는 어떤 세상에서 살고 싶은가?
| 기술 시대를 대하는 여성주의적 전략
2장 방법으로서의 여성
누구의 관점에서 본 보편성인가? | 진리에 이르는 방법은 여럿이다 | 대화적 이
성 또는 음양적 이성
3장 여성주의 인식론의 갈래
왜 여성 철학인가? | 철학의 새로운 자기 규정을 위하여 | 무엇이 여성적 관점인
가? | 인식에 대해 다시 묻다 | 여성주의 경험론 | 여성주의 입장론 | 포스트모던
여성주의 | 여성주의 음양인식론
2부 여성 주체의 탄생
4장 주체는 어떻게 태어나는가?
질문과 대립을 통한 주체성의 탄생 | 바깥의 것을 통한 일깨움 | 히파티아: 최초
의 여성 철학자 | 플라톤: 여성에 대한 두 얼굴 | 아리스토텔레스: 영혼을 가진
남자와 질료일 뿐인 여자 | 홉스와 로크: 인간은 평등하나 남녀는 평등하지 않다
| 울스턴크래프트: 이성적 사유와 결단의 산물로서의 여성
5장 여성 주체의 칸트적 구성
철학은 상황적이고 맥락적이다 | 칸트 철학의 반여성주의적 성격 | 칸트 철학에
대한 여성주의적 해석
6장 한국 여성 주체의 형성
‘국가는 제발 낄끼빠빠’ | 한국 여성의 주체성 형성과 국가 | 탈주체 시대 여성 주
체화의 가능성 | 한국 여성의 자기 인식
3부 여성 관점으로 읽는 정의론
7장 정의론 바깥의 여성
왜 하필 여자로 태어났을까? |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하기 위하여 | 가족, 사
랑의 영역이자 정의의 영역 | 기존 정의론에 대한 여성주의 비판 | 일상의 정치
학 | 사회적 품성으로서의 정의감 | 동아시아의 품성 함양 전통 | 일상의 문맥으
로 내려온 정의론
8장 여성 관점은 왜 정당한가?
진리는 늘 부분적인 것이다 | 인식적으로 책임 있는 주체가 된다는 것 | 여성 관
점의 정당성은 어떻게 확보되는가? | 인식적 부정의와 저항의 인식론
4부 삶의 우연성과 포용의 철학
9장 무지와 혐오 감정의 반미학
포용의 철학을 위한 조건 | 혐오 감정의 신체성
10장 칸트 미학으로 읽는 혐오 감정
미적 판단은 보편성을 가질 수 있는가? | 심미적 감정의 특수성 | 숭고 체험의 미
학적 함의 | 심미적 쾌와 불쾌, 그리고 혐오의 감정 | 혐오의 이면 | 혐오의 정치
학을 넘어 포용의 철학으로
나오면서 | 한국에서 여성 관점으로 철학을 한다는 것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