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71178841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24-11-2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250년 전 칸트가 남긴 질문
PART 1
이전 형이상학에 종언을 고하다
01 칸트와 형이상학
02 새로운 형이상학은 이성 비판으로부터
03 순수이성 비판은 선험철학을 생성시킨다
04 존재론을 선험적 분석론으로 대치
05 존재론은 이제 인식론으로 대체된다
06 코페르니쿠스적 전회 (1): 사고방식의 변혁을 통해 이룬 것
07 코페르니쿠스적 전회 (2): 수학과 물리학을 모방한 철학의 혁명
08 『순수이성비판』의 구조
09 형이상학의 종언과 도덕형이상학의 가능성
10 『순수이성비판』이 한 일
11 인간 존재와 형이상학적 욕망
PART 2
‘도대체’ 대상 인식은 어떻게 가능한가?
01 ‘대상들 일반’에 대한 선천적 인식의 가능성 탐구
02 인식의 원천들: 직관적 감성과 추론적 오성
03 선험적 감성론: 감성의 형식으로서의 공간과 시간
04 시공의 경험적 실재성과 선험적 관념성
05 선험적 논리학: 분석론과 변증론
06 일반 논리학 vs. 선험적 논리학
07 오성개념(범주)의 분석론
08 범주의 형이상학적 연역
09 범주의 선험적 연역 (1)
10 범주의 선험적 연역 (2)
11 오성원칙의 분석론 (1): 범주의 도식화
12 오성원칙의 분석론 (2): 범주적 종합의 수학적 원칙들
13 오성의 역학적 원칙들 (1): 경험의 유추
14 오성의 역학적 원칙들 (2): 경험적 사고 일반의 요청
15 수학적 원리 vs. 역학적 원리(구성적 원칙 vs. 통제적 원칙)
16 상상력과 인식
PART 3
앎의 한계와 인간 이성의 운명
01 현상과 가상
02 오성의 오용과 한계개념으로서의 물자체
03 관념론 논박
04 선험적 변증론의 목적
05 오성의 통일과 이성의 통일
06 자연의 통일성
07 칸트의 이성이념과 플라톤의 이데아
08 이성이념의 통제적 기능
09 선험적 관념론과 경험적 실재론
10 이념과 현실
PART 4
자아, 세계, 하나님
01 데카르트의 코기토 명제와 칸트의 비판
02 칸트의 자아 이론
03 자기인식과 자기의식(경험적 자아와 선험적 자아)
04 합리주의 영혼론의 오류
05 전체성 개념이 초래하는 역설
06 순수이성의 이율배반과 그 해소
07 인과적 필연의 세계와 인간의 자유
08 신 존재 증명의 불가능성 (1)
09 신 존재 증명의 불가능성 (2)
10 요청된 존재로서의 하나님
나가며
AI시대에 칸트를 다시 읽어야 하는 이유
주석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물음은 인간의 존재 양식이고, 물음을 통해 나는 비로소 나와 마주 서게 된다.
【들어가며_250년 전 칸트가 남긴 질문】
칸트를 불안하게 만들었던 것은 형이상학적 지식이 조롱당하는 와중에 인간의 자유와 그 자유에 기초한 도덕마저도 가변적인 것으로 부정되고 붕괴될 위기에 처했다는 점이다. 어떻게 하면 엄밀학으로서의 철학을 구하고 도덕, 즉 자유도 구할 수 있을 것인가? 칸트는 자기 시대의 문제에 자기의 전 생애를 걸게 되었다.
【PART 01_01 칸트와 형이상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