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화폐/금융/재정
· ISBN : 9788957366882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4-11-25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_ 세계 경제를 지배할 다음 주자는 누구인가
1부 | 위안화는 달러를 꺾고 기축통화가 될 수 있는가
01. 중국경제에 지금 중요한 것은 개방적이고 성숙한 자본시장 건설이다
황밍 _미국 코넬대학교 및 중국유럽국제경영대학원 금융학 교수
02. 중국 금융제도에 혁신이 필요하다
왕웨이 _중국 금융 박물관 이사장
03. 중국은 외국은행의 시장경쟁을 허락해야 한다
왕둥밍 _중국 중신증권 이사장
04. 자본시장 개방은 위안화 국제화의 필수조건이다
청보밍 _중국 중신증권 사장
05. 중국경제는 고도로 화폐화될 것이다
쉬강 _중국 중신증권 상무이사
06. 2030년, 위안화의 위상이 달라진다
로버트 먼델 _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교수
07. 위안화가 국제통화가 되기에는 갈 길이 멀다
로빈 뷰 _영국 경제전문지 <이코노미스트> 수석 전문가
08. 상하이가 국제금융의 중심이 될 것인가
스튜어트 프레이저 _런던 시티 정책 담당 위원장
2부 | 유로화와 엔화는 이대로 주저앉을 것인가
09. 유럽의 채무위기를 해결하는 길
주젠팡 _중국 중신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
10. 유로존은 지금과 같은 형태로 존재해야 한다
아나톨 칼레츠키 _영국 경제학자
11. 유럽연합을 넘어 유럽합중국으로 도약해야 한다
제라르 코닐로 _프랑스 경제현황연구소 연구부 부원장
12. 유럽은 위기를 잘 넘기고 유로화는 안정될 것이다
장마르크 다니엘 _프랑스 파리경영대학교 경제학 교수
13. 독일의 입장에서 생각한 유로존 전망
카를 루트비히 홀트프레리히 _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 교수
14. 영국이 유로존에 가입하지 않는 이유
존 미클스웨이트 _영국 경제전문지 <이코노미스트> 편집장
15. 경기 침체와 노령화에 발목 잡힌 일본의 선택
교텐 도요오 _일본 전 재무부 장관
16. 엔화 절상은 일본 내부의 형세를 바꾸는 동력이 된다
이토 모토시게 _일본 도쿄대학교 경제학 교수
17. 노령화가 일본의 적자 국채를 증가시킨다
도미타 도시키 _ 일본《국채의 역사》 저자
3부 | 미국은 달러 패권을 지키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나
18. 달러는 어떻게 국제 사회를 주도하는 화폐가 되었나
배리 아이켄그린 _미국 버클리대학교 경제학 교수
19. 연방준비제도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탄생했다
마틴 메이어 _《뱅커스》 저자, 미국 저널리스트
20. 미국 정부는 금융 개입을 최소화해야 한다
게리 고턴 _미국 예일대학교 금융학 교수
21. 중앙은행의 독립성과 투명도는 계속 높아지고 있다
앨런 블라인더 _미국 프린스턴대학교 경제학자, 전 연방준비제도이사회 부의장
22. 미국은 연방준비제도를 믿는다
데이비드 웨슬 _미국 <월스트리트 저널> 편집장
4부 | 화폐, 금융 그리고 세계 경제의 미래는 어떠할까
23. 국제통화가 꼭 하나일 필요는 없다
우징롄 _중국 국무원 발전연구센터 연구원·경제학자
24. 국제통화 시스템의 미래
바수쑹 _중국 국무원 발전연구센터 연구원
25. 전 세계를 하나로 잇는 화폐 시스템의 탄생
주닝 _중국 상하이자오퉁대학교 MBA 부학장, 교수
26. 화폐화는 전 세계적으로 더 심화될 것이다
천즈우 _미국 예일대학교 금융경제학 교수
27. 경제를 발전시키려면 엄격한 법 제도가 필요하다
즈중쥔 _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
28. 화폐 발행이 가져오는 부작용을 주의해야 한다
외르크 구이도 휠스만 _프랑스 국립앙제대학교 경제학 교수
29. 은행의 리스크 관리 감독을 강화해야 한다
브라이언 캐플런 _영국 금융전문지 <더 뱅커> 편집장
30. 로스차일드 가문의 미래
에벌린 드 로스차일드 _로스차일드 가문 후손
리뷰
책속에서
중국의 자본시장을 완전히 개방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학술적인 측면에서 생각할 때 가장 중요한 원인은 중국 자본시장은 불안하고, 미성숙하고, 면역력이 약하다는 점이다. 면역력이 약한 상태에서 전 세계 자본시장과 연결되면 전 세계에 약간의 위험이나 위기가 생겨도 곧바로 연루되어 전염병에 걸린다. 예를 들어 미국 금융
위기 때 미국의 주식시장이 하락하자 러시아의 주식시장은 폭락 수준으로 미국보다 더 심각하게 하락했다. 미국의 기침 한 번에 러시아는 심한 감기에 걸린 셈이다.
지난 몇 년 동안 위안화가 국제통화가 되기에는 아직 조건이 무르익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지금 중국의 심정은 19세기에 미국이 달러를 국제통화로 만들고 싶어 하던 때와 같다. 언젠가 중국에 기회가 올 것이다. 한 화폐가 전 세계에서 광범위하게 쓰이고 사람들이 대량으로 보유하게 하려면 화폐량이 충분해야 한다. 다른 국가들이 위안화를 보유하고 싶어도 위안화의 공급량이 적으면 보유할 수 없다. 세계 각국이 위안화를 보유하게 하려면 중국이 위안화를 더 많이 공급해야 한다.
유로존이 없었으면 유럽의 문제는 더 심각했을 것이다. 2008년 전 세계에 충격을 준 금융위기는 미국에서 비롯되었다. 이 충격이 유럽에 전해졌을 때 유로존의 각국은 단체로 대응했다. 만약 당시에 유럽 각국이 자국의 화폐를 사용하고 있었다면 지금보다 더 큰 규모의 인플레이션이 일어나 그리스, 스페인, 포르투갈은 악성 인플레이션에 시달렸을 것이다. 또한 인플레이션율이 빠르게 증가해 정상 수준을 회복하는 데 적어도 10년은 걸렸을 것이다. 실제로 악성 인플레이션이 일어났다면 또 다른 문제가 연이어 생겨 상황은 지금보다 훨씬 더 심각했을지 모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