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91191278644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1-09-03
책 소개
목차
일러두기/ 책을 읽기 전에 알아두면 좋은 배경지식/ 추천의 글
한자나무에 대한 간단한 소개 한자나무가 사용한 부호 설명 / 그림 문자의 해설 형식/ 한자의 비밀을 검증하는 원칙/ 갑골문으로 한자 시스템을 충분히 만들 수 있을까?
제1장 人
태아기
巳뱀·태아 사/ 妃왕비 비/ 包쌀 포/ 祀제사 사/ 示보일 시/ 起일어날 기/ 巸아름다울 이, 즐거워할 희/ 熙빛날·희락할 희
유아·아동기
젖을 먹는 아기/ 아이는 보호가 필요하다/ 글쓰기로 시작하는 학습/ 머리가 아래쪽을 향하고 다리가 위쪽을 향한 아이/ 아들과 손자/ 눈을 깜박할 때마다 한 마디씩 자라다
子아들 자/ 孔구멍 공/ 乳젖 유/ 仔자세할·어릴 자/ 呆어리석을 매/ 保지킬 보/ 孚믿음직할 부/ 存있을 존/ 了마칠 료/ 孑외로울 혈/ 孓짧을·왼팔 없을 궐/ 字글자 자/ 學배울 학/ 覺깨달을 각/ 敎가르칠 교/ 孜힘쓸 자/ 疏소통할 소/ 流흐를 류/ 毓기를 육/ 育기를 육/ 棄버릴 기/ 充채울 충/ 孕아이 밸 잉/ 好좋을 호/ 孫손자 손/ 孟맏 맹/ 季끝·계절 계/ 孛혜성 패, 노할 패/ 勃일어날·노할 발/ 悖거스를 패
성인기
노쇠기
노인을 보살피는 것이 ‘孝’이다/ 나이는 지혜를 쌓는다/ 불로장생의 염원
老늙을 로/ 孝효도할 효/ 考생각할 고/ 耆늙을 기, 이룰 지/ 壽목숨 수/ 禱빌 도/ 耄늙은이 모/ 耋늙은이 질
제2장 사람의 자세 변화
두 발로 선 사람
눈을 크게 뜨고, 입을 벌리고 말하다/ 머리와 관계있는 한자/ 사람과 빛/ 도기를 잘 만드는 사람/ 양을 치는 사람/ 얼굴을 어떻게 묘사했을까/ 귀신의 외모/ 모자를 벗는 사람
見볼 견/ 覓구할 멱/ 兄맏 형/ 祝빌 축/ 兌바꿀 태/ 稅세금 세/ 閱볼 열/ 兒아이 아/ 兀우뚝할·평평할 올/ 元으뜸 원/ 冠갓 관/ 寇도적 구/ 完완전할 완/ 光빛 광/ 亮밝을 량/ 堯요임금 요, 높을 요/ 燒사를 소/ 羌오랑캐 강/ 貌모양 모/ 兇흉악할 흉/ 鬼귀신 귀/ 畏두려울 외/ 免면할 면/ 娩낳을 만/ 勉힘쓸 면/ 晩늦을 만/ 兔토끼 토/ 逸편안할·달아날 일/ 冤원통할 원
무릎을 꿇고 앉은 사람
허리를 굽히고 무릎을 꿇은 노예/ 무릎을 꿇고 앉은 사람/ 마주 보고 있는 사람/ 말을 모는 사람/ 웅크리고 앉은 사람/ 단 위에서 주인의 시중을 드는 하인
令하여금 령/ 聆들을 령/ 服옷 복/ 印도장 인/ 抑누를 억/ 報갚을 보/ 邑고을 읍/ 肥살찔 비/ 巴꼬리·땅 이름 파, 바랄 파/ 卹진휼할 휼/ 즉곧 즉/ 卿벼슬 경/ 鄕시골 향/ 卯토끼 묘/ 柳버들 류/ 留머무를 류/ 貿무역할 무/ 聊애오라지 료/ 昴별 이름 묘/ 劉죽일 류, 성씨 류/ 卬나 앙/ 迎맞을 영/ 午낮 오/ 卸풀 사/ 禦거느릴 어/ 秦진나라 진/ 犯범할 범/ 氾넘칠 범/ 危위태할 위/ 夗누워 뒹굴 원/ 卷책 권, 말 권/ 巽부드러울 손/ 選가릴 선/ 饌반찬 찬, 지을 찬/ 撰지을 찬
누운 사람
가로눕혀진 시체/ 누워서 쉬는 사람/ 꼬리와 엉덩이
死죽을 사/ 屍주검 시/ 尺자 척/ 局판 국/ 屠죽일 도/ 居살 거/ 屋집 옥/ 漏샐 루/ 屛병풍 병/ 犀무소 서/ 尿오줌 뇨/ 屈굽힐 굴/ 尻꽁무니 고/ 殿대궐 전/ 臀볼기 둔
다른 사람과 상호 작용을 하는 사람
다른 사람과 상호 작용을 하다
比견줄 비/ 皆다 개/ 庇덮을 비/ 北북녘 북, 달아날 배/ 乖어그러질·얌전할·영리할 괴/ 化될 화/ 貨재물 화/ 訛그릇될 와/ 尼여자 중 니
사라져서 안 보이는 사람
떠도는 사람/ 도망친 사람/ 뭔가를 잃은 사람
匃빌 개/ 曷어찌 갈/ 望바랄 망/ 罔그물 망, 속일 망/ 巟망할 황/ 盲눈 어두울 맹/ 忘잊을 망/ 喪상사 상
입을 크게 벌리고 숨을 내쉬는 사람
입김을 부는 사람/ 침을 흘리는 사람/ 고개를 돌리는 사람
吹불 취/ 歌노래 가/ 飮마실 음/ 炊불 땔 취/ 欣기쁠 흔/ 㳄침 연/ 羨부러워할 선/ 盜도둑 도/ 次버금 차, 머뭇거릴 차/ 欲하고자 할 욕/ 旡목멜 기/ 旣이미 기, 쌀 희/ 肄익힐 이/ 疑의심할 의/ 朁일찍이 참, 바꿀·쇠할 체/ 愛사랑 애
땅을 떠나지 못하는 사람
흙 위에 선 평범한 사람/ 흙을 빻는 사람
呈드릴 정, 한도 정/ 聖성인 성/ 聽들을 청/ 廳관청 청/ 廷조정 정/ 庭뜰 정/ 淫음란할 음/ 任맡을 임/ 妊아이 밸 임
이웃 국가의 국민
변경의 이웃 국가/ 물에 가라앉는 사람/ 이웃 국가의 깃발
方방위 방/ 旁곁 방/ 邊가 변/ 防막을 방/ 放놓을 방/ 敖오만할·놀 오/ 冘망설일 유/ 沈잠길 침, 성씨 심/ 酖즐길 탐/ 耽즐길·축 늘어질 탐/ 枕베개 침/ 忱정성 침, 정성 심/ 中가운데 중/ 㫃나부낄 언/ 族겨레 족/ 旅나그네 려/ 旋돌 선/ 斿깃발 유/ 遊놀 유/ 旄깃대 장식 모/ 施베풀·실시할 시/ 於어조사 어/ 旌기 정/ 旗기 기
가족을 책임지는 민족의 영웅
氐근본 저, 땅 이름 지/ 昏어두울 혼, 힘쓸 민/ 婚혼인할 혼
사람의 신체
身몸 신/ 躬몸 궁/ 窮다할·궁할 궁/ 射쏠 사/ 謝사례할 사/ 殷은나라 은, 성할 은
몸을 구부린 사람
匍길 포/ 匐길 복/ 匋질그릇 도, 기와 가마 요/ 匊움킬 국/ 鞠공 국, 굽힐 국/ 甸경기 전/ 匈오랑캐 흉/ 苟진실로 구, 구차할 구/ 敬공경할 경/ 蜀나라 이름·나비 애벌레 촉
人에서 파생된 다른 한자
企꾀할·바랄 기/ 及미칠 급/ 急급할 급/ 吸마실 흡/ 汲물 길을 급/ 後임금·뒤 후/ 鷹매 응/ 戍지킬 수/ 伐칠 벌/ 幾몇 기/ 年해 년/ 千일천 천/ 介낄 개/ 界경계 계/ 永길 영/ 昶해가 길 창/ 漾출렁거릴·강이 길 양/ 脈줄기·혈관 맥/ 派갈래 파/ 從좇을 종/ 坐앉을 좌/ 眾·衆무리 중/ 長길·자랄 장, 어른 장/ 髟늘어질 표, 처마 삼/ 張베풀 장/ 肆방자할 사/ 休쉴 휴/ 伏엎드릴 복/ 亟빠를 극/ 仁어질 인/ 件조건·물건·단위 건/ 代대신할 대
제3장 大
立에서 파생된 한자
立설 립/ 並나란히 병/ 普넓을·두루 미칠 보/ 位자리 위/ 拉끌·당길 랍/ 泣울 읍/ 昱밝을 욱
天과 辛에서 파생된 한자
황천상제/ 천상에서 가장 높은 신/ 하늘의 뜻을 거스르는 사람/ 죄를 지은 사람/ 낙인이 찍힌 죄인/ 형벌을 받는 죄인/ 용의자끼리 서로 대질시키다/ 죄인이 된 기분/ 어린 죄인과 노예/ 천리를 거스른 용/ 용을 키우는 사람/ 발광하는 돼지/ 상제는 사람의 마음을 들여다본다
天하늘 천/ 上위 상/ 帝임금 제/ 示보일 시/ 辛매울 신/ 辠허물 죄/ 罪허물 죄/ 辪·辥허물 설/ 孼·孽서자 얼/ 章글 장/ 辟임금 벽, 피할 피/ 劈쪼갤 벽/ 避피할 피/ 擘나눌 벽, 엄지손가락 벽/ 宰재상 재/ 辡따질 변/ 辦힘들일·주관할 판/ 辨분별할 변/ 辯말 잘할 변, 두루 미칠 편/ 辣매울 랄/ 梓가래나무·목수 재/ 新새 신/ 親친할 친/ 童아이 동/ 重무거울 중/ 妾첩 첩/ 禹하우씨 우/ 龍용 룡/ 龐클·어지러울 방/ 寵총애할 총/ 龔공손할 공/ 瀧여울 롱/ 豙성나 털 일어날 의/ 毅굳셀 의/ 忝더럽힐·황송할 첨
屰에서 파생된 한자
屰거스를 역/ 逆거스를 역/ 斥물리칠 척/ 欮상기 궐/ 瘚상기 궐/ 朔초하루 삭
夭에서 파생된 한자
질주하는 사람/ 몸이 흔들리는 사람/ 액운에서 벗어난 사람/ 죄인을 감옥에 넣다/ 용의자를 취조하다
夭일찍 죽을 요/ 走달릴 주/ 奔달릴 분/ 笑웃음 소/ 喬높을 교/ 沃기름질·물 댈 옥/ 幸다행 행/ 報갚을 보/ 執잡을 집/ 拲수갑 공/ 圉마부·감옥 어/ 睪엿볼 역, 못 택, 고환 고/ 擇가릴 택/ 釋풀 석
文에서 파생된 한자
文은 무늬이다/ 文은 문체이다
文글월 문/ 虔공경할 건/ 斐문채 날 비/ 紊어지러울 문/ 彥·彦선비 언/ 產·産낳을 산/ 吝인색할·아낄 린/ 閔위문할 민, 성씨 민
黃에서 파생된 한자
黃누를 황/ 革가죽 혁/ 勒굴레 륵/ 皮가죽 피/ 堇진흙 근, 조금 근/ 勤부지런할 근/ 艱어려울 간/ 難어려울 난/ 攤펼 탄, 누를 난/ 歎탄식할 탄/ 僅겨우 근/ 謹삼갈 근/ 饉흉년들·주릴 근/ 覲뵐 근/ 漢한수 한/ 廣넓을 광/ 擴넓힐 확
去에서 파생된 한자
去갈 거/ 法법 법/ 劫위협할·빼앗을 겁/ 怯겁낼 겁/ 却물리칠·물러날 각/ 脚다리 각/ 盍덮을 합/ 瞌졸음 올 갑/ 嗑입 다물 합, 말이 많을 갑/ 闔문짝 합/ 蓋덮을 개
大에서 파생된 나머지 한자
大의 윗부분에 획을 더한 한자/ 大의 아랫부분에 획을 더한 한자/ 大의 양쪽에 획을 더한 한자/ 大를 둘러싼 한자
美아름다울 미/ 夫지아비·사내 부/ 需쓰일 수/ 儒선비 유/ 孺젖먹이 유/ 懦나약할 나, 겁쟁이 유/ 濡적실 유/ 奚어찌 해/ 央 가운데 앙/ 殃재앙 앙/ 黑검을 흑/ 黜내칠 출/ 吳오나라 오, 큰 소리 칠 화/ 虞염려할 우/ 亢높을 항/ 太클 태/ 交사귈 교/ 奄문득 엄, 덮을 엄/ 誇자랑할·자만할 과/ 虧어조사 우, 이지러질 휴/ 赤붉을 적/ 赫빛날·붉을 혁/ 嚇성낼·무서워할 혁, 웃음소리 하/ 赦용서할 사/ 赧얼굴 붉힐 난/ 達통달할·도달할 달/ 亦또 역, 겨드랑이 액/ 夜밤 야, 고을 이름 액/ 爽시원할 상/ 夾낄 협/ 夷오랑캐 이/ 因인할 인/ 恩은혜 은
제4장 女
母에서 파생된 한자
젖을 먹이는 능력이 있는 어머니/ 어머니의 긴 머리카락/ 어머니에게 엉뚱한 마음을 품지 말라
母어미 모/ 每매양 매/ 敏민첩할 민/ 繁번잡할·번성할 번/ 毓기를 육/ 海바다 해/ 侮업신여길 모/ 毋말 무/ 毒독 독
만물은 여자에게서 태어난다
民백성 민/ 姓성 성/ 始비로소 시/ 姬여자 희/ 好좋을 호/ 嬰어린아이 영/ 要구할 요/ 腰허리 요/ 婁끌 루, 여러 루
여자의 결혼과 생활환경
고대 여인의 결혼/ 여자는 남편과 시어머니를 보살피고 또한 그들에게 순종해야 한다/ 여자의 신체 안전
妻아내 처/ 妥온당할 타/ 娉장가들 빙, 예쁠 병/ 娶장가들 취/ 婚혼인할 혼/ 家집 가/ 嫁시집갈 가/ 婦며느리·아내 부/ 歸돌아갈 귀/ 如같을 여/ 恕용서할 서/ 威위엄 위/ 委맡길 위/ 矮난쟁이 왜/ 倭왜나라 왜/ 痿저릴 위/ 萎시들 위/ 諉번거롭게 할·핑계 댈 위/ 奴종 노/ 安편안할 안/ 妓기생 기
감사의 글/ 색인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은 ‘성장하는 사람 나무’라고 할 수 있다. ‘人(사람 인)’은 대략 35개의 기본 부수를 파생시켰고, 이 부수들은 다시 500여 개의 한자를 파생시켰다. 여기에는 아기, 어린이, 성인, 노인에 관한 한자도 있고, 여자에 관한 한자도 있으며, 각종 자세를 취한 사람에 관한 한자도 있다.
‘한자나무’는 나무 모양의 그림으로 한자의 파생 관계를 알려준다. 이 관계도를 이용하면 외국인이나 아이에게 한자가 파생되어 만들어지는 재미있는 이야기를 소개할 수 있다. 한자나무는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 한자의 발전 맥락은 물론 부수까지 배울 수 있는 도구이고, 더불어 중국 문화의 정수까지 맛보게 해준다. 독자들은 한자나무를 통해서 모든 한자의 부수가 가지는 뜻을 알 수 있고, 또한 한자에 숨어 있는 고대 문명을 이해할 수 있다.
한나라 때 옛 서체 대신에 예서(?書)를 본격적으로 쓰게 된 이후에 갑골문(甲骨文), 금문(金文)에 있는 그림의 뜻이 많이 사라졌다. 때문에 갑골문과 금문을 본 적 없는 동한(東漢)의 문자학 권위자 허신(許愼)은 『설문해자說文解字』(이하 『설문』)를 쓸 때 적잖은 실수를 저질렀다. 2000여 년 동안 중국인들은 날마다 한자를 읽어왔지만 대부분 하나의 큰 한자를 구성하는 여러 개의 작은 한자들의 뜻을 모른다. 그래서 이 책은 중국인들이 오랫동안 가져왔던 한자에 대한 궁금증을 체계적으로 풀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