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전심법요.완릉록

전심법요.완릉록

황벽희운 (지은이), 정운 (강설)
운주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250원 -5% 2,500원
450원
16,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전심법요.완릉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전심법요.완릉록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57465332
· 쪽수 : 285쪽
· 출판일 : 2019-02-20

책 소개

그의 선사상은 ‘전심법요’와 ‘완릉록’에 잘 드러나 있는데, 이 두 어록에 의해 조사선의 선풍이 확립되고 체계를 이루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책은 두 어록에 대한 번역 및 강설이다.

목차

책을 열며·5

해제·11
1) 황벽 선의 시대적인 배경 11
2) 『전심법요』와 『완릉록』 기록자인 배휴, 황벽과의 인연 13
3) 어록의 탄생 및 황벽선의 선종사적 위치 16

서문_ 배휴가 황벽의 선리를 배우고, 정리하다·23

전심법요傳心法要·27
1. 일심 차원에서는 부처와 중생이 다르지 않다 29
2. 형상에 집착해 부처를 구하지 말라 33
3. 관념과 집착을 여읜 그 자리가 바로 부처의 경지 37
4. 그대 눈동자 속에 답이 있다 41
5. 불도를 성취코자 한다면 우직하게 나아가라! 45
6. 선악을 분별하되 거기에 마음 두지 말라 49
7. 설령 한 물건이라고 해도 맞지 않다 55
8. 잃어버린 보석의 출처는 어디인가? 60
9. 4대로 구성된 육신, 믿을 만한 존재인가?! 65
10. 불법을 배우려 애쓸 것이 아니라, 단지 구하지만 말라 69
11. 생각과 관념으로부터 자유롭다면, 두려움이 사라진다 73
12. 주인공아, 눈 똑바로 뜨고 있는가! 77
13. 도적을 자식으로 오인하지 마라 81
14. 법이란 생겨난 것도 아니고, 사라지는 것도 아니다 85
15. 삼세에 구속도 걸림도 없는 자유인 90
16. 현재 생사가 일어난 그 자리가 원각도량 94
17. 흙덩이를 쫓지 말고, 흙덩이 던진 사람을 물어라 98
18. 마음을 허공과 같이 하여 그 무엇에도 걸리지 마라 104
19. 과거·현재·미래 어느 시점에도 머물거나 속박되지 말라 109
20. 법을 설한 자도 없고, 들은 자도 없으며, 증득한 자도 없다 114
21. 일승진법과 중생의 근기 118
22. 허공이 무심한 것처럼, 알음알이를 내지 마라 123
23. 도는 방소가 없거늘 어디에 마음이 있는가? 128
24. 마음을 쉬고, 또 쉬어라 133
25. 마음이 곧 부처, 마음 밖에 부처가 따로 없다 138
26. 한 법도 없거늘 무슨 전할 법이 있으랴! 145
27. 무사인이 되어라! 150
28. 흐름에 따르되 흐름에 맡기지 마라 155
29. 안광낙지시를 보장할 그 무언가를 닦았는가?! 160
30. 선도 생각하지 말고, 악도 생각하지 말라 166
31. 진정한 자유인은 어떤 존재인가? 174

완릉록宛陵錄·179
1. 조사선과 간화선이 최상의 법인가? 181
2. 인간을 본위로 하는 조사선의 근본사상은 마음이다 187
3. 부처와 중생, 모두 다 얻을 것이 없다 193
4. 부처라고 수승하지도 않고, 중생이라고 모자라지도 않다 197
5. 불성과 여래장이 선禪과 어떤 연관이 있는가? 203
6. 진리를 구하기 위해 굳이 마음 쓰지 말고, 다만 견해를 쉬어라 207
7. 본래 한 물건도 없다! 무엇이 없다는 것인가? 214
8. 그대의 천적은 바로 ‘그대 자신’이다 219
9. 마음을 목석과 같이 하여라 224
10. 흘러가는 대로 사는 것, 그 외에 또 무엇이 필요하겠는가?! 229
11. 얻었다는 것도, 얻지 못했다는 것도, 마음 두지 않는 무소득심 235
12. 본 자성은 광대원만해 늘지도 줄지도 않는다 239
13. 마술사가 마술로 만든 허깨비에게 법을 설하다 243
14. 멈추지 말고, 쉼 없이 천천히 나아가되 뒤로 퇴보하지만 말라 247
15. 그대 너무 걱정하지 마라! 걱정을 만드는 자가 누구인가? 251
16. 그대 스스로 만든 올가미에 자신을 가두지 마라 254
17. 지금 말하고 있는 그대가 부처이다 258
18. 천국과 지옥, 그대 마음은 어디에 머물고 있는가!? 262
19. 무심을 무심이라고 한다면, 그 또한 ‘무심’에 막혀 있다 268
20. 어떤 편견에 떨어지지도 말고, 견처에도 머물지 말라 274

찾아보기·279

저자소개

황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당(唐) 후기의 선승 희운(希運). 시호(諡號)는 단제선사(斷際禪師). 복주(福州) 황벽산(黃檗山)에서 출가하고, 백장회해(百丈懷海)의 법을 이어받았다. 842년에 배휴(裵休)가 강서성(江西省) 종릉(鍾陵) 관찰사로 부임했을 때 그를 용흥사(龍興寺)에 모시고, 848년에 안휘성(安徽省) 완릉(宛陵)에 부임해서는 능양산(陵陽山) 개원사(開元寺)에 모시고 아침저녁으로 가르침을 받아 기록한 것이 『전심법요』(傳心法要)와 『완릉록』(宛陵錄)이다.
펼치기
정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불교학을 연구하는 스님. 대승불교를 연구하는 대승불전연구 소장을 맡고 있다. 동국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대한불교조계종 불학연구소장을 역임했다. 현재 조계종단 교육아사리(승려 교육과 불교학 연구를 담당하는 스님)이며, 동국대학교를 비롯하여 여러 곳에서 경전 강의를 하고 있다. 2009년과 2010년에는 동국대학교 교수평가에서 ‘Best Lecturer’를 수상했다. 출가한 이래, 수행하고 공부한 것을 바탕으로 신문 및 여러 매체에 불교 진리를 전하고 있다. 지난 2,600여 년간 불교는 역사적으로 수많은 사상과 논, 종파 등이 발전하면서 체계를 형성하였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친설(법구경, 아함경 등)도 있지만, 보살들이 일으킨 대승불교 경전도 있다. 더불어 불교의 신앙적인 측면도 함께 발전했다. 《숫타니파타》, 《법구경》, 《아함경》, 《금강경》, 《유마경》, 《법화경》 등은 불교의 진수만을 담은 경전으로, 인생에 조언을 주는 불변의 진리이다. 저서로 《법구경 마음공부》, 《서른 즈음, 꼭 읽어야 할 금강경》, 《경전숲길》(편역), 《유마경》, 《경전의 힘》(편역), 《금강경》, 《대승경전과 선사상》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