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불교의 무의식

불교의 무의식

(인도불교사상의 맥락에서 알라야식)

윌리엄 왈드론 (지은이), 안성두 (옮긴이)
운주사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850원 -5% 0원
690원
21,1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불교의 무의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불교의 무의식 (인도불교사상의 맥락에서 알라야식)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57466964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22-06-15

책 소개

대원불교 학술총서 2권. 불교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인 마음(心)과 의식(識)에 대한 통찰을 담은 책이다. 매우 복잡하고 미묘한 이 주제에 대해 유식학파의 알라야식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불교의 마음이론에 대한 정치한 체계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발간사∙5
서언∙7
주제에 따른 서문 자아와 세계의 구성에 대한 불교의 비판∙17

제1부 알라야식의 배경과 맥락 29
I. 초기불교의 배경 31
1. 존재의 세 가지 특징∙31
2. 연기의 정형구∙36
1) 자아 없는 인과와 지속성∙47
3. 연기의 정형구에서 식(viññāṇa)∙53
1) 의식으로서의 식∙57
2) 인지적 앎으로서의 식(viññāṇa)∙74
3) 인지적 과정들과 업의 산출∙80
4. 잠재적 경향성(anuśaya, 隨眠)∙86
1) 아만의 잠재적 경향성과 희론(papañca)∙92
2) 잠재성 vs. 분출성에 대한 논쟁∙99
5. 식의 두 측면 사이의 상호적인 인과성∙105

II. 아비달마의 맥락 115
1. 아비달마 프로젝트와 그것의 문제점∙115
1) 아비달마의 배경∙118
2. 아비달마의 목적과 방법: 경험의 불가환원적 요소로서의 다르마∙124
3. 기본적인 문제점: 설법의 두 차원, 심의 두 차원∙136
4. 심과 심작용(心所)의 분석∙141
1) 공시적 차원에서 문제점의 최초의 형성: 『논사』에서 업의 잠재성의 축적과 잠재적 경향성의 나타남, 그리고 그것들의 정화∙147
2) 통시적 차원에서 문제: 즉각적인 연결 vs. 업의 잠재성의 존속∙156
5. 전통적인 지속성의 존속: 『구사론』에서 업과 번뇌∙168
6. 아비달마의 문제점들과 그 반응∙176
1) 유부의 ‘득’(prāpti) 이론∙179
2) 심의 흐름(santāna)에서 경량부의 ‘종자(bīja)’설∙184
7. 심과 종자, 심의 흐름에 의해 제기된 문제들∙190
8. 상좌부의 유분심(bhavaṅga-citta)∙202
9. 결론∙212


제2부 유가행파 전통에서 알라야식 219
III. 초기 전통에서 알라야식 221
1. 알라야식의 기원∙221
2. 『해심밀경』에서 심의 새로운 모델∙228
1) 심적 흐름으로서의 알라야식∙240
3. 『유가론』의 알라야 논증문헌∙245
1) 증명부분(Proof Portion)∙246
4. <알라야 논증문헌>의 유전문(Pravṛtti Portion): 아비달마의 용어로 알라야식을 분석하기∙258
1) 알라야식의 잠재적인 인식대상과 인지과정∙261
2) 알라야식과 전식(pravṛtti-vijñāna)의 상호적이고 동시적인 관계∙270
3) 알라야식과 염오의의 동시적 생기∙280
5. 알라야 논증문헌의 환멸문: 알라야식을 윤회적 지속과 동일시하기∙296
6. 결론∙304

IV. 『섭대승론』에서의 알라야식(1) 306
1. 전통적 불교 체계에 따른 구성∙309
1) 성문승에서 알라야식의 동의어∙311
2) 두 가지의 식과 두 가지 연기∙313
3) 알라야식의 종자: 동시적인 내성 심리적 인과성으로서의 업의 과정∙320
2. 아비달마적인 문제의 해결∙329
1) 업과 재생 그리고 알라야식∙331
2) 번뇌(kleśa)들의 지속성∙336
3) 세간적이고 출세간적인 청정한 수행도∙353
3. 아비달마를 넘어서: 우연적 번뇌와 청정한 종자, 자성청정심∙358

V. 『섭대승론』에서의 알라야식(2) 369
1. 명언습기와 아견, 그리고 생명의 구성요소∙371
2. 공통된 경험, 공통된 체화: 언어와 알라야식, 그리고 “세계의 생기”∙373

부록 1 연기의 계열: 번뇌와 업, 그것들의 결과∙397
부록 2 관련된 논쟁들의 색인∙399
부록 3 『유가론』 「섭결택분」의 유전문과 환멸문의 번역∙407

참고문헌∙429
역자 후기∙442
찾아보기∙451

저자소개

윌리엄 왈드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미시간에서 태어났다. 60년대의 젊은이들처럼 그는 실존적 관심에서 인도와 네팔 등지를 여행했으며, 티베트불교에 대한 관심으로 Wisconsin-Medison 대학에서 인도불교와 티베트불교를 공부했다. 도중에 교환학생으로 대만 타이완대학과 일본 교토대학에서 중국어와 일본어를 배웠다. 그리고 1990년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학위 후에 그는 진화생물학 등의 학제적 연구에도 몰두했는데, 이는 그가 후에 불교철학과 인지과학을 접목시켜 강의하고 연구하는 데 기여했다. 1996년 그는 저명한 Liberal Art College 중의 하나인 Middlebury College에 자리를 잡고 힌두이즘과 불교, 티베트 종교, 비교심리학과 심리철학 등 다양한 영역을 강의하면서 저술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펼치기
안성두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 독어교육학과 졸업, 한국학대학원에서 한국불교철학 전공으로 석사. 이후 독일 함부르크대학 인도학연구소에서 Schmithausen 교수의 지도로 인도 초기유식사상에 관한 연구로 석사와 박사학위. 귀국 후 금강대학교 교수와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활동. 인도불교 유식학 관련 다수 논문과 『보성론』, 『보살지』, 『성문지』, 『유가사지론』 등 산스크리트어 불전의 번역이 있다. 퇴직 후 『중변분별론』과 『대승장엄경론』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