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57466964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22-06-15
책 소개
목차
발간사∙5
서언∙7
주제에 따른 서문 자아와 세계의 구성에 대한 불교의 비판∙17
제1부 알라야식의 배경과 맥락 29
I. 초기불교의 배경 31
1. 존재의 세 가지 특징∙31
2. 연기의 정형구∙36
1) 자아 없는 인과와 지속성∙47
3. 연기의 정형구에서 식(viññāṇa)∙53
1) 의식으로서의 식∙57
2) 인지적 앎으로서의 식(viññāṇa)∙74
3) 인지적 과정들과 업의 산출∙80
4. 잠재적 경향성(anuśaya, 隨眠)∙86
1) 아만의 잠재적 경향성과 희론(papañca)∙92
2) 잠재성 vs. 분출성에 대한 논쟁∙99
5. 식의 두 측면 사이의 상호적인 인과성∙105
II. 아비달마의 맥락 115
1. 아비달마 프로젝트와 그것의 문제점∙115
1) 아비달마의 배경∙118
2. 아비달마의 목적과 방법: 경험의 불가환원적 요소로서의 다르마∙124
3. 기본적인 문제점: 설법의 두 차원, 심의 두 차원∙136
4. 심과 심작용(心所)의 분석∙141
1) 공시적 차원에서 문제점의 최초의 형성: 『논사』에서 업의 잠재성의 축적과 잠재적 경향성의 나타남, 그리고 그것들의 정화∙147
2) 통시적 차원에서 문제: 즉각적인 연결 vs. 업의 잠재성의 존속∙156
5. 전통적인 지속성의 존속: 『구사론』에서 업과 번뇌∙168
6. 아비달마의 문제점들과 그 반응∙176
1) 유부의 ‘득’(prāpti) 이론∙179
2) 심의 흐름(santāna)에서 경량부의 ‘종자(bīja)’설∙184
7. 심과 종자, 심의 흐름에 의해 제기된 문제들∙190
8. 상좌부의 유분심(bhavaṅga-citta)∙202
9. 결론∙212
제2부 유가행파 전통에서 알라야식 219
III. 초기 전통에서 알라야식 221
1. 알라야식의 기원∙221
2. 『해심밀경』에서 심의 새로운 모델∙228
1) 심적 흐름으로서의 알라야식∙240
3. 『유가론』의 알라야 논증문헌∙245
1) 증명부분(Proof Portion)∙246
4. <알라야 논증문헌>의 유전문(Pravṛtti Portion): 아비달마의 용어로 알라야식을 분석하기∙258
1) 알라야식의 잠재적인 인식대상과 인지과정∙261
2) 알라야식과 전식(pravṛtti-vijñāna)의 상호적이고 동시적인 관계∙270
3) 알라야식과 염오의의 동시적 생기∙280
5. 알라야 논증문헌의 환멸문: 알라야식을 윤회적 지속과 동일시하기∙296
6. 결론∙304
IV. 『섭대승론』에서의 알라야식(1) 306
1. 전통적 불교 체계에 따른 구성∙309
1) 성문승에서 알라야식의 동의어∙311
2) 두 가지의 식과 두 가지 연기∙313
3) 알라야식의 종자: 동시적인 내성 심리적 인과성으로서의 업의 과정∙320
2. 아비달마적인 문제의 해결∙329
1) 업과 재생 그리고 알라야식∙331
2) 번뇌(kleśa)들의 지속성∙336
3) 세간적이고 출세간적인 청정한 수행도∙353
3. 아비달마를 넘어서: 우연적 번뇌와 청정한 종자, 자성청정심∙358
V. 『섭대승론』에서의 알라야식(2) 369
1. 명언습기와 아견, 그리고 생명의 구성요소∙371
2. 공통된 경험, 공통된 체화: 언어와 알라야식, 그리고 “세계의 생기”∙373
부록 1 연기의 계열: 번뇌와 업, 그것들의 결과∙397
부록 2 관련된 논쟁들의 색인∙399
부록 3 『유가론』 「섭결택분」의 유전문과 환멸문의 번역∙407
참고문헌∙429
역자 후기∙442
찾아보기∙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