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유가사지론

유가사지론

(불교 요가 수행자들의 수행토대, 2024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우수학술 도서)

안성두, 이영진, 원과, 운산 (지은이)
씨아이알(CIR)
6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61,750원 -5% 0원
3,250원
58,500원 >
58,500원 -10% 0원
0원
58,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52,000원 -10% 2600원 44,200원 >

책 이미지

유가사지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유가사지론 (불교 요가 수행자들의 수행토대, 2024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우수학술 도서)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일반
· ISBN : 9791168561618
· 쪽수 : 1000쪽
· 출판일 : 2023-11-10

책 소개

『유가사지론』의 5부 중에서 첫 부분인 「본지분」(Maulyo Bhūmayaḥ)과 두 번째 부분인 「섭결택분」의 일부를 번역한 것이다.

목차

제1부 본지분 (Maulayo Bhūmayaḥ)
제1장 오식신상응지 (Pañcavijñānasaṃprayuktā Bhūmiḥ)
1. 오식의 그룹
1.1. 眼識
1.2. 耳識
1.3. 鼻識
1.4. 舌識
1.5. 身識
2. 오식의 생기

제2장 意地 (Manobhūmi)
1. 자성의 측면
2. 의지체의 측면
3. 인식대상의 측면
4. 조반의 측면
5. 작용의 측면
5.1. 意에 고유한 15종의 작용
5.1.1. 인식대상의 구별
5.1.2. 인식대상의 사려
5.1.3.‒13. 意에 고유한 작용들의 나열
5.1.14A. 개체 차원에서의 죽음
5.1.15A. 개체 차원에서의 재생
1) 중유의 설명
2) 生有의 설명 (Ch. 282b8)
(1) 입태(garbhāvakrānti)에 대한 설명
(2) 모태에서 태아의 성장
(3) 출태와 성장 과정
(4) 고락의 초월
5.1.14B. 개체 외적 측면에서 세간의 파괴
5.1.15B. 개체 외적 측면에서 세간의 생성
1) 기세간의 형성
2) 중생세간의 형성
(1) 주제 항목의 제시
(2) 주제 항목의 상설
6. 색의 발생 (samudaya)
7. 심과 심소법의 무더기 (kalāpa)
7.1. 53종 심소법의 분류
7.2. 식과 심소와 관련된 문제의 해명
7.3. 10종 심소법의 정의
7.4. 10종 심소법의 작용
8. 世 (adhva)
9. 有爲相 (lakṣaṇa)
10. 緣 (pratyaya)
11. 선ㆍ불선ㆍ무기의 구분 (prabheda)
12. 선교(kauśalya) 및 주제(vastu)와 관련한 설명
12.1. 처선교의 설명
12.1.1. 眼處의 설명
12.1.2-5. 耳處~身處의 설명
12.1.6. 意處의 설명
12.1.7. 色處의 설명
12.1.8. 聲處의 설명
12.1.9. 香處의 설명
12.1.10. 味處의 설명
12.1.11. 觸處의 설명
12.1.12. 法處의 설명
12.2. 12처에 대한 다른 설명
12.3. 불설의 주제(vastu)

제3장-제5장 유심유사지 등 3지 (Savitarkā Savicārā Bhūmiḥ etc.)
1. 계에 따른 가설의 건립
1.1. 숫자에 따른 가설의 건립
1.2. 장소에 따른 가설의 건립
1.3. 유정의 크기에 따른 가설의 건립
1.4. 유정들의 수명에 따른 가설의 건립
1.5. 유정들의 향수와 향락에 따른 가설의 건립
1.5.1. 고락의 향수
1.5.1.1. 중생들의 고의 향수
1.5.1.2. 중생들의 낙의 향수
(1) 존재형태에서의 낙의 향수
(2) 낙의 종류
1.5.2. 음식의 향수
1.5.3. 성적 욕망의 향수
1.6. 재생에 대한 가설의 건립
1.7. 심신복합체(ātmabhāva)에 따른 가설의 건립
1.8. 원인과 조건에 따른 가설의 건립
1.8.1. 원인과 조건의 특징
1.8.2. 원인과 조건, 결과의 토대
1.8.3. 원인과 조건, 결과의 차이에 대한 약설
1.8.4. 원인과 조건, 결과의 건립
1.8.4.1. 10因(hetu)의 건립
1.8.4.2. 4緣의 건립
1.8.4.3. 결과의 건립
1.8.4.4. 원인과 조건, 결과의 요약 설명
1.8.4.5. 원인에 대한 다른 설명
2. 특징에 따른 가설의 건립
3. 여리작의에 따른 가설의 건립
3.1. 8종 측면들에 의한 설명
3.2. 추가 설명
4. 비여리작의에 따른 가설의 건립
4.1. 因中有果論
4.2. 顯現論
4.3. 過未實有論
4.4. 計我論
4.5. 常住論
4.6. 宿作因論
4.7. 自在等作者論
4.8. 害爲正法論
4.9. 邊無邊論
4.10. 不死矯亂論
4.11. 無因論
4.12. 斷見論
4.13. 空見論
4.14. 妄計最勝論
4.15. 妄計清淨論
4.16. 妄計吉祥論
5. 잡염에 따른 가립의 건립 (kleśasaṃkleśa)
5.1. 번뇌잡염
5.1.1. 번뇌의 자성
5.1.2. 번뇌의 차별
5.1.2.1. 10종의 구별
5.1.2.2. 128종 번뇌
5.1.2.3. 10종 번뇌의 정의
5.1.3. 번뇌의 원인
5.1.4. 번뇌의 상태
5.1.5. 번뇌의 작용방식
5.1.6. 번뇌의 상중하
5.1.7. 전도
5.1.8. 번뇌의 동의어
5.1.9. 번뇌의 단점
5.2. 업잡염 (karmasaṃkleśa)
5.2.1. 업의 자성
5.2.2. 업의 구별
5.2.2.1. 사람의 특징의 구별의 건립
5.2.2.2. 법의 특징의 건립
5.2.3. 업의 원인
5.2.4. 업의 상태
5.2.5. 업의 문
5.2.5.1. 결과를 제공하는 업의 문
5.2.5.2. 손상과 이로움의 업의 문
5.2.6. 업의 강력함
5.2.7. 업의 전도
5.2.8. 업의 분류유형
5.2.9. 업의 단점 221
5.3. 생잡염 (janmasaṃkleśa)
5.3.1. 생의 차별의 측면
5.3.2. 艱難(vyasana)의 측면
5.3.3. 불확정성의 측면
5.3.4. 유전의 측면
5.3.4.1. 연기의 핵심 (śarīra)
5.3.4.2. 연기의 門
5.3.4.3. 연기의 의미
5.3.4.4. 연기의 구별
5.3.4.4.1. 無明 (avidyā)
5.3.4.4.2. 行 (saṃskāra)
5.3.4.4.3. 識 (vijñāna)
5.3.4.4.4. 名色 (nāmarūpa)
5.3.4.4.5. 六處 (āyatana)
5.3.4.4.6. 觸 (sparśa)
5.3.4.4.7. 受 (vedanā)
5.3.4.4.8. 愛 (tṛṣṇā)
5.3.4.4.9. 取 (upādāna)
5.3.4.4.10. 有 (bhava)
5.3.4.4.11. 生 (jāti)
5.3.4.4.12. 老死 (jarāmaraṇa)
5.3.4.5. 연기의 순서
5.3.4.6. 연기의 논점
5.3.4.7. 연기의 어원해석
5.3.4.8. 조건
5.3.4.9. 연기의 차별
5.3.4.10. 경의 포섭

제6장 사마히타지 (Samāhitā Bhūmiḥ)
1. 4종의 사마히타지
1.1. 정려
1.2. 해탈
1.3. 삼매
1.4. 等至
2. 사마히타지의 건립
2.1. 초정려를 구성하는 요소
2.1.1. 초정려에서 제거된 요소
2.1.2. 초정려에서 완성되어야 할 요소
2.2. 5蓋
2.2.1. 오개에 대한 요약설명
2.2.2. 오개의 자양분과 비자양분
2.3. 정려와 그 구성요소
2.4. 정려의 동의어
2.5. 정려와 감수의 관계
2.5.1. 감수로부터의 벗어남을 위한 토대
2.5.2. 벗어남과 연결된 영역들
2.5.3. 네 가지 귀의
3. 작의(manaskāra)의 구별과 관념상(nimitta)의 구별
3.1. 근본작의와 40종의 작의
3.1.1. 7종 작의와 40종 작의의 나열
3.1.2. 40종 작의의 정의
3.1.3. 40종 작의와 7종 작의의 포섭관계
3.2. 인식대상 (ālambana)
3.2.1. 4종 관념상
3.2.2. 32종 관념상
3.2.3. 근본 관념상과 32종 관념상의 포섭관계
3.2.4. 소연상에 대한 작의의 수습
3.3. 사마히타지에 들어가는 네 원인
3.4. 네 종류의 정려자
3.5.1. 정려와 상응하는 세 상태
3.5.2. 네 가지 정려에 들어감
3.5.3. 정려에 들어가는 방법
3.5.4. 등지의 자재함과 그에 대응하는 우주론적 영역
4. 경의 포섭의 관점
4.1. 8해탈과 8승처, 10변처
4.1.1. 8해탈
4.1.2. 8승처
4.1.3. 10변처
4.1.4. 세 법의 순서와 차이
4.2. 삼매
4.2.1. 3종 삼매
4.2.1.1. 3삼매의 정의
4.2.1.2. 3삼매의 수습 순서
4.2.2. 유심유사 등의 세 삼매
4.2.3. 작은 삼매ㆍ커다란 삼매ㆍ무량한 삼매
4.2.3.1. 세 가지 삼매의 정의
4.2.3.2. 뒤의 두 삼매와 관련된 내용 설명
4.2.4. 두 종류의 삼매
4.2.4.1. 두 종류의 삼매의 설명
4.2.4.2. 두 종류의 삼매의 장애
4.2.5. 세 가지 삼매
4.2.6. 삼매의 수습의 작동
4.2.7. 성스러운 삼매
4.2.8. 다섯 부분을 가진 성스러운 삼매
4.2.8.1. 삼매를 구성하는 다섯 부분
4.2.8.2. 성스러운 삼매
4.2.9. 성스러운 삼매의 수반요소
4.2.10. 金剛喩定
4.3. 등지 (samāpatti)
4.3.1. 5종의 봄의 등지
4.3.2. 승처와 변처의 등지
4.3.3. 無想定
4.3.4. 滅盡定
4.4. 경전의 인용과 해석
4.4.1. 은거와 내적인 심의 샤마타
4.4.2. 정념과 무량, 열심히 함
4.4.3. 삼매에 익숙한 정려자
4.4.4. 삼매에서의 전도
4.4.5. 네 가지로 관찰하는 정려자
4.4.6. 관념을 수반하거나 관념을 여읜 비구의 작의
4.4.7. 수행도의 요약적 해석
4.4.8. 청정을 위한 근면
4.4.9. 심청정을 행하는 3종의 개아
4.4.10. 금의 제련으로 비유된 심의 청정
4.4.11. 3종 관념상 (nimitta)
4.4.12. 교법을 포괄하는 네 가지 법

제7장 비사마히타지 (Asamāhitā Bhūmiḥ)

제8장-제9장 有心地 (Sacittikā Bhūmiḥ)ㆍ無心地 (Acittikā Bhūmiḥ)
1. 단계(bhūmi)의 가설의 확립에 의해서
2. 심의 착란과 미착란의 확립에 의해서
3. 생기와 비생기의 확립에 의해서
4. 상태의 확립에 의해서
5. 승의의 확립에 의해서

제10장 聞所成地 (Śrutamayī Bhūmiḥ)
1. 내명처
1.1. 주제(vastu)에 따른 가설의 확립
1.2. 개념의 구분에 따른 가설의 확립
1.2.1. 첫 번째 분류: 12개 항목
1.2.1.1. 두 가지 주제 (pada)
(A) 성문승에게 설한 주제
(B) 대승에게 설한 주제
1.2.1.2.-12. 미란 등의 항목
1.2.2. 두 번째 13개 항목의 요약송
1.2.3. 세 번째 9개 항목의 요약송
1.2.4. 네 번째 10개 항목의 요약송
1.3. 교법의 내용의 포괄 (śāsanārthasaṃgraha)
1.4. 불설에서 인식되어야 할 것의 토대
1.4.1. 중생들이 머무는 곳
1.4.2. 두 개의 법수
1.4.3. 세 개의 법수
1.4.4. 네 개의 법수
1.4.5. 다섯 개의 법수
1.4.6. 여섯 개의 법수
1.4.7. 일곱 개의 법수
1.4.8. 여덟 가지 법수
1.4.9. 아홉 개의 법수
1.4.10. 열 개의 법수
2. 醫方明處 (cikitsāvidyā)
3. 논리학 (hetuvidyā)
3.1. 논설(vāda)
3.2. 논설의 장소/청중
3.3. 논설의 근거
3.3.1. 2종의 증명되어야 할 점
3.3.2. 8종의 증명수단
3.3.2.1. 주장명제 (pratijñā)
3.3.2.2. 이유 (hetu)
3.3.2.3. 비유 (udāharaṇa)
3.3.2.4. 유사성 (sārūpya)
3.3.2.5. 이질성 (vairūpya)
3.3.2.6. 직접지각
3.3.2.7. 추론
3.3.2.8. 성언량
3.3.3. 논설의 토대에 대한 추가적인 문답
3.4. 논설의 장엄
3.4.1. 5종 논설의 장엄
3.4.2. 논설의 장엄이 가진 이로움
3.5. 논설의 패배
3.5.1. 담론의 포기
3.5.2. 담론의 굴복
3.5.3. 담론의 오류
3.6. 논설에서 벗어남
3.7. 논설에서 작동하는 요소
4. 음성학 분야 (聲明處)
5. 기술영역 (工業明處)

제11장 思所成地 (Cintāmayī Bhūmiḥ)
1. 자성적인 청정
2. 인식대상에 대한 분석
2.1. 관찰되어야 할 존재하는 사물
2.1.1. 자상으로서 존재하는 것
2.1.2. 공상으로서 존재하는 것
2.1.3. 관습적 언어로 나타나는 존재
2.1.4. 원인으로 나타나는 존재
2.1.5. 결과로 나타나는 존재
2.2. 관찰되어야 할 존재하지 않는 사물
2.3. 다섯 종류의 존재와 다섯 종류의 비존재
2.3.1. 5종의 존재성
2.3.2. 5종의 비존재
3. 다르마에 대한 분석
3.1. 경전의 의미(sūtrārtha)에 대한 분석
3.2. 게송의 의미(gāthārtha)에 대한 분석
3.2.1. 勝義伽他(Paramārthagāthā)와 그 주석
3.2.1.1. 승의가타
3.2.1.2. 승의가타의 주석
3.2.2. 意趣義伽他(Ābhiprāyikārthagāthā)와 그 주석
3.2.3. 體義伽他(Śarīrārthagāthā)와 그 주석

제12장 修所成地 (Bhāvanāmayī Bhūmiḥ)
1. 산출의 구족
1.1. 내적인 것과 관련한 산출의 구족
1.2. 외적인 것과 관련한 산출의 구족
1.3. 성자들의 요소
2. 정법의 청문의 구족
3. 열반의 우선성
4. 해탈을 성숙시키는 반야의 성숙
5. 대치의 수습
5.1. 수습에 의해 대치되어야 할 10가지 법
5.2. 부정의 관념의 수습
5.3. 고통의 관념의 수습에 의해 대치되어야 할 여섯 가지 법
5.4. 광명의 관념의 수습
5.5. 관념의 수습을 위한 바른 노력
6. 세간적인 청정
6.1. 삼매의 획득
6.2. 삼매의 완성
6.3. 삼매에 대한 자재
6.3.1. 네 가지 점에 대한 관찰
6.3.2. 삼매의 자재성의 획득
7. 출세간의 청정
7.1. 사제의 현관
7.1.1. 5종의 심의 흔들림
7.1.2. 열반에 심을 안주시키는 다섯 가지 이유
7.1.2.1. 다섯 가지 이유의 약설
7.1.2.2. 다섯 가지 이유의 상설
7.2. 장애의 제거
7.2.1. 11종의 장애
7.2.1.1. 행위에 속한 장애
7.2.1.2. 주함에 속한 장애
7.2.2. 장애의 제거
7.3. 뛰어난 인식을 위한 작의
7.4. 修道 (bhāvanāmārga)
7.5. 극히 청정한 도의 획득 및 결과의 공덕

제13장 성문지 (Śrāvakabhūmi)

제14장 독각지 (Pratyekabuddhabhūmi)
1. 독각의 종성
2. 독각의 수행도의 세 가지 특징
3. 증득의 측면에서의 설명
4. 주함의 측면에서의 설명
5. 행위의 측면에서의 설명

제15장 보살지 (Bodhisattvabhūmi) 眞實義品 (Tattvārthapaṭala)
1. 진실인 대상
1.1. 2종의 진실
1.2. 4종의 진실
1.2.1. 세간에서 인정된 진실
1.2.2. 도리에 의해 인정된 진실
1.2.3. 번뇌장이 청정해진 지의 영역인 진실
1.2.4. 소지장이 청정해진 지의 영역인 진실
2. 不二로서 진실의 특징의 규정
3. 보살의 바른 노력
3.1. 보살의 대방편
3.2. 법무아의 지혜
3.3. 보살의 최상의 평정 (upekṣā)
3.4. 자리와 이타의 실천
3.5. 중생에 대한 태도
4. 일체 법이 불가언설을 자성으로 한다는 것의 증명
4.1. 이증(理證)
4.1.1. 증익에 관한 세 가지 오류의 논증
4.1.2. 증익과 손감의 두 오류
4.1.3. 공성에 대한 두 가지 이해
(1) 악취공
(2) 선취공
4.1.4. 증성도리에 의한 설명
4.2. 교증(敎證)
4.2.1. 轉有經의 인용
4.2.2. 義品의 인용
4.2.3. 상타 카티야야나에 대한 가르침
5. 언어표현을 사용하는 이유
6. 8종 분별과 3종 사태
6.1. 여덟 가지 분별
6.2. 여덟 가지의 분별에 의한 세 가지 사태의 산출
6.3. 8종 분별의 정의
6.4. 분별과 사태의 상호의존
7. 4종 심사와 4종 여실변지에 의한 분별의 변지
7.1. 4종의 심사
7.2. 4종의 여실변지
7.3. 분별과 사태의 상호관계
8. 보살의 공덕
8.1. 보살의 자재성의 획득
8.2. 보살의 이로움
8.3. 이로움의 작용
8.4. 이익을 주는 행위
9. 4종 진실에 대한 평가

제16장 유여의지 (Sopadhikā bhūmiḥ)
1. 단계에 대한 가설의 건립
2. 적정에 대한 가설의 건립
3. 토대(upadhi)에 대한 가설의 건립

제17장 무여의지 (Nirupadhikā bhūmiḥ)
1. 단계에 대한 가설의 건립
2. 소멸(nirvṛti)에 대한 가설의 건립
3. 소멸의 동의어에 대한 가설의 건립

제2부 섭결택분 (Viniścayasaṃgrahaṇī) 부분 번역

제1장 알라야식 문헌
1. 알라야식 존재논증
2. 알라야식의 기능과 소멸
2.1. 인식대상에 의거한 알라야식의 기능
2.1.1. 두 가지 집수
2.1.2. 인식대상의 특징
2.2. 상응에 의한 알라야식의 기능
2.3. 상호 조건에 의한 알라야식의 기능
2.3.1. 전식의 조건으로서의 알라야식
2.3.2. 알라야식의 조건으로서의 전식
2.3.3. 요약
2.4. 알라야식의 동시적 존재성의 기능
2.5. 환멸문
2.5.1. 잡염법의 근원으로서의 알라야식
2.5.2. 선근의 종자에 의한 환멸
2.5.3. 의지체의 전환에 의한 환멸
3. 알라야식 존재논증의 총결
4. 관련된 문제

제2장 번뇌와 수번뇌의 분류
1. 번뇌의 분석
1.1. 번뇌의 토대 (adhiṣṭhāna)
1.2. 번뇌의 자성 (svabhāva)
1.3. 번뇌의 상응 (saṃprayoga)
1.4. 세속 (saṃvṛti) 등
1.5. 번뇌들의 등급
1.6. 사태 (vastu)
1.7. 번뇌들의 차이
1.8. 번뇌의 단점
1.9. 번뇌에 대치작용이 없음
2. 수번뇌의 분석
2.1. 수번뇌의 토대
2.2. 수번뇌의 자성
2.3. 수번뇌들의 상응
2.4. 수번뇌들의 실유와 가유
2.5. 수번뇌들의 등급
2.6-9. 수번뇌의 사태 등

제3장 번뇌잡염의 분류
1. 번뇌잡염의 5종 구분
1.1. 번뇌잡염의 자성
1.2. 각각의 번뇌들의 구별
1.2.1. 10종 번뇌
1.2.1.1. 10종 번뇌의 정의
1.2.1.2. 번뇌의 대상
1.2.1.3. 번뇌들의 불선과 무기
1.2.1.4. 번뇌와 6식의 상응 관계
1.2.1.5. 번뇌와 낙근 등의 상응
1.2.1.6. 사태에 의거하는 번뇌들과 그렇지 않은 번뇌들
1.2.2. 수번뇌
1.2.2.1. 수번뇌의 정의
1.2.2.2. 수번뇌의 분류
1.2.2.3. 욕계에서 수번뇌가 일어나는 12가지 경우
1.2.2.4. 번뇌의 상응 관계
1.2.2.5. 수번뇌와 번뇌의 관계
1.3. 잡염과 청정과 관련해 번뇌잡염의 차이의 건립
1.3.1. 잡염의 두 원인
1.3.2. 네 가지 문답
1.4. 미혹과 끊음과 관련하여 번뇌잡염의 특별함의 건립
1.4.1. 견소단의 수면
1.4.1.1. 고제에 대한 10종 수면
1.4.1.2. 집제와 관련한 8종 수면
1.4.1.3. 멸제와 관련한 8종 수면
1.4.1.4. 도제와 관련한 8종 수면
1.4.2. 수소단
1.4.3. 견소단과 수소단의 루(漏)의 인식대상
1.5. 대치와 관련해 번뇌잡염의 차이의 건립
1.5.1. 4종 대치
1.5.2. 견도의 설명
1.5.2.1. 견도에서 인식의 특징
1.5.2.2. 견도의 성취의 규정
1.5.2.3. 견소단의 번뇌들의 제거방식
1.5.2.4. 비유
1.5.3. 세간적인 수도
1.5.4. 2종의 추중
2. 번뇌들에 대한 개별적 설명
2.1. 일곱 가지 항목에 따른 설명
2.1.1. 성적 욕망(kāma)과 관련된 번뇌들
2.1.2. 갈애 (tṛṣṇā)
2.1.3. 이욕 (vairāgya)
2.1.4. 아함카라 (ahaṃkāra)
2.1.5. 욕구 (chanda)
2.1.6. 경전의 일곱 가지 비유
2.1.7. 소유욕 (lobha) 등
2.2. 아홉 가지 항목에 따른 번뇌의 설명
2.2.1. 업을 작동시키는 것으로서의 번뇌
2.2.2. 번뇌의 특징
2.2.3. 번뇌의 토대 (vastu)
2.2.4. 번뇌와 감수와의 상응 관계
2.2.5. 불선법 등에 따른 번뇌의 구분
2.2.6. 번뇌의 끊음
2.2.7. 번뇌의 인식대상
2.2.8. 번뇌의 현행
2.2.8.1. 20종의 개아
2.2.8.2. 20종의 번뇌들의 현행
2.2.8.3. 번뇌의 현행을 위한 20종의 조건
2.2.9. 결생 (pratisaṃdhi)

제4장 五事章 (Pañcavastuka) 821
1. 10종 항목을 통한 오사의 설명
1.1. 오사(五事, pañcavastu)의 종류
1.2. 오사의 정의
1.3. 오사의 존재성
1.4. 오사의 실유와 가유
1.5. 오사의 승의유와 세속유
1.6. 오사의 생기
1.7. 오사의 차별
1.7.1. 관념상과 다른 사태의 관계
1.7.2. 명칭과 분별 및 정지의 관계
1.8. 오사의 특징
1.9. 오사의 종류와 동의어
1.9.1. 오사의 종류
1.9.2. 오사의 동의어
1.10. 오사의 법상 구분
1.10.1. 오사와 기본교설 범주의 포섭 관계
1.10.2. 법상에 따른 오사의 포섭 관계
2. 오사에 대한 또 다른 10종의 분류
2.1. 포섭 (saṃgraha)
2.1.1. 관념상과 진리의 포섭 관계
2.1.2. 오사의 상호 포섭 관계
2.1.3. 진여와 진여의 작의
2.1.4. 관념상과 관념상의 작의
2.2. 자성 (svabhāva)
2.2.1. 제법의 자성
2.2.2. 제법의 특징
2.2.3. 자성이 가설되었음에 대한 네 가지 논변
2.2.4. 반론과 답변
2.3. 소취와 능취
2.3.1. 소취와 능취에 따른 오사의 구분
2.3.2. 오사와 관련해 파악의 영역
2.3.3. 관념상을 수반하고 여읜 것에 대한 파악
2.3.4. 무상계의 파악 방식
2.3.5. 고지(苦智)의 올바른 이해
2.3.6. 인식되어야 할 것의 소멸
2.3.7. 삼승에 대한 개념적 규정
2.3.8. 법과 율로부터 삼승의 파괴
2.4. 살가야 (satkāya)
2.5-6. 윤회존재와 세간
2.7. 진실 (tattva)
2.8. 심사와 여실변지
2.9. 밀의 (abhisaṃdhi)
2.9.1. 무이법(無二法)을 설한 의도
2.9.2. 일체법의 무자성을 설한 의도
2.10. 차제 (krama)

해제
1. 『유가사지론』의 구성
2. 『유가사지론』의 저자와 사상사적 성립 층위
3. 『유가사지론』의 주요 내용
3.1. 알라야식
3.2. 『유가사지론』에서 번뇌설의 체계화
3.3. 번뇌의 잠재성과 그 분출의 의미
3.4. 삼성과 유식성 개념
4. 『유가사지론』 사본과 그에 의거한 연구
4.1. 본 번역에서 참조한 편집본과 선행 번역
4.2. 번역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안성두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 독어교육학과 졸업, 한국학대학원에서 한국불교철학 전공으로 석사. 이후 독일 함부르크대학 인도학연구소에서 Schmithausen 교수의 지도로 인도 초기유식사상에 관한 연구로 석사와 박사학위. 귀국 후 금강대학교 교수와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활동. 인도불교 유식학 관련 다수 논문과 『보성론』, 『보살지』, 『성문지』, 『유가사지론』 등 산스크리트어 불전의 번역이 있다. 퇴직 후 『중변분별론』과 『대승장엄경론』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이다.
펼치기
운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졸업 후에 직지사로 출가. 그 이후 동국대 불교학과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 취득. 현재 독일 함부르크대학 H. Isaacson 교수의 지도하에 Yogācārabhūmi 「문소성지」 <내명처>의 산스크리트 비판교정본의 출판을 준비하고 있다.
펼치기
원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에서 「十二緣起 전개과정 연구: 解脫智 기술을 중심으로」라는 논문으로 2010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동국대 외래 강사와 삼선불학승가대학원(대한불교 조계종)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집일 경론소기』를 공동 번역했고, 「왜 반야바라밀을 수습하는가?」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영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박사 이후 함부르크 대학의 포닥 과정과 일본 Soka 대학 고등불교연구소의 방문학자를 역임했고, 현재 국립경상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전공분야는인도 대승불교철학으로 산스크리트 필사본에 의거해 중관과 유식문헌을 연구. 이영진(2017) 등의 저서와 「‘제견’(vibhāvanā)이라는 척도로 살펴본, 인도불교 문헌에 나타난 주지주의와 신비주의의 접전(接戰)」(2023)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8561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