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힐링 > 마음 다스리기
· ISBN : 9788957514900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10-03-12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Lesson 1. 마음 클렌징, 시작해볼까?
스트레스는 왜 생길까?
마음 클렌징의 정의
두 가지 정화를 통해 마음의 건강을 되찾자
좋은 자세는 건강한 마음을 만든다
마음을 제로 상태로 되돌리는 호흡
긴장을 완화하는 심호흡을 습관화하라
Lesson 2. ‘나다운 삶’을 찾는 마음 정화의 기본
당신의 마음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가?
마음을 평온하게 다스리는 방법
마음 레시피 Ⅰ: 자신의 감정에 민감해지자
마음 레시피 Ⅱ: 집착을 버리자
마음 레시피 Ⅲ: 과거에 얽매이지 말자
마음 레시피 Ⅳ: 나를 믿자
Lesson 3. 몸을 편안하게 하는 신체 정화의 기본
몸의 소리를 들어보자
당신의 척추, 비뚤어져 있지는 않은가?
바른 몸을 만드는 ‘기본자세’
신체 레시피 Ⅰ: 활 체조
신체 레시피 Ⅱ: 걷는 법
신체 레시피 Ⅲ: 하이힐을 신은 날 밤에 하는 운동
신체 레시피 Ⅳ: 척추를 펴는 스트레칭
신체 레시피 Ⅴ: 손발의 부기를 빼는 스트레칭
신체 레시피 Ⅵ: 어깨 결림을 푸는 스트레칭
Lesson 4. 풀리지 않는 스트레스 대처법
스트레스는 당신이라는 컵에 차오르는 물이다
어떻게 해도 나쁜 감정이 사라지지 않을 때
도망치는 것도 훌륭한 대처법
기분이 나빠진 원인을 찾자
회복되지 않는 우울한 기분을 없애려면?
자신의 스트레스 유형을 알아두자
스트레스 유형의 판별법
스트레스 유형별 자기 대화
Lesson 5. 심신 정화에 도움을 주는 미니 레시피
맛있게 먹고, 푹 자자
체내 시계를 새로 맞추자
식사는 맛있게 하자
아름다운 피부란 뭘까?
매일 아침 스스로를 칭찬하자
밤마다 몸과 마음을 클렌징하자
거울 속의 자신에게 말을 걸자
자기만의 주제가를 정하자
유머 감각을 키우자
기분을 제대로 전달하자
진심을 말해주는 사람에게 감사하자
언제나 힘차게 인사하자
Lesson 6. 간단한 마음 조정 스트레칭
몸을 진정시켜 긴장을 푸는 운동
- 긴장을 풀어주는 어깨 스트레칭
- 긴장 이완 효과가 높은 쭉쭉 스트레칭
- 피로를 한 번에 몰아내는 모아모아 자세
의욕과 힘을 더하는 운동
- 교감신경을 자극하는 걷기 운동
- 의욕을 불러일으키는 허리 스트레칭
- 집중력을 높이는 생명의 자세
몸과 마음을 비워 본래의 자신으로 돌아가는 운동
- 우주와 교신하는 십자가 자세
- 자신감을 회복하는 백조 자세
- 체내 시계를 다시 맞추는 뻐꾸기 자세
Lesson 7.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태어나자
현재의 자아를 정리하자
목표를 향해 나아갈 때 긍정적인 생각을 유지하려면?
당신은 특별하다
에필로그
책속에서
실제로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자극의 대부분은 ‘자기 마음대로 크게 부풀린 자극’이다. 자극을 과대평가하거나 스스로 자극을 크게 만들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발생한다는 뜻이다. 평가 단계에서 스트레스에 능숙하게 대응하면 그 상태에 그대로 굴복하거나 참지 못하고 화를 내는 등의 행동을 줄일 수 있다. 주변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스트레스 자극을 능숙하게 판단하여 당신의 장점을 마음껏 발휘해보지 않겠는가?
어떤 스트레스 자극이라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면 그것은 의욕으로 바뀔 수 있다. 지금부터 그 방법을 알아보자! 또한 몸과 마음이 편안한 본래의 나로 되돌아가보자. 이것이 마음 클렌징의 기본이다.
_Lesson 1. 마음 클렌징, 시작해볼까? 中
그렇다면 우리가 스스로 바꿀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그것은 단 하나, 바로 ‘자기 인식’이다. 이런 사고방식으로 생각하면 제아무리 바꿀 수 없는 일이라 해도 자기 인식 하나로 바꿀 수 있다. 이는 ‘평가를 변화시키는 작업 = 평가의 코핑’이다. 상사의 일거수일투족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왜 마음에 들지 않는 걸까?’하고 자문해보자. 어쩌면 그것은 본인이 갖고 있는 선입견 때문일지도 모른다. ‘상사는 당연히 좀 더 명석해야지’, ‘상사라면 부하를 좀 더 소중하게 생각해야 하는 거 아냐?’ 하는 식으로 자기 기준에 맞추어 상사의 행동을 평가하느라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고 실제보다 훨씬 형편없게 여기는 것이 아닐까? 혹은 완벽주의 때문일지도 모른다. 상사가 완벽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그 사람의 불완전한 모습에 화가 나는 것이다. 이렇듯 자기 인식이 비뚤어졌다는 것을 깨달았다면, 이것을 수정해야 한다.
_Lesson 2.‘나다운 삶’을 찾는 마음 정화의 기본 中
남자들은 자주 그리고 무의식적으로 매우 능숙하게 코핑을 행한다. 애인이나 남편을 보면 이런 경우가 자주 있지 않은가? 예를 들어 차 안에서 다투면 밖으로 나가버리거나 집에서 기분 나쁜 말을 들으면 베란다로 나가 담배를 피우거나 집 근처로 나가버리는 경우 말이다. 이런 행동은 훌륭한 긴급 코핑이라 할 수 있다. 문제가 발생한 장소에서 도망치는 것, 즉 자극으로부터 일단 피하는 것은 사실 현명한 스트레스 대처법이다. 비즈니스맨을 대상으로 한 연수에서 내가 “도망치면 오히려 끝까지 쫓아오는 아내가 있죠? 그럼 그게 또 스트레스가 되지 않나요?”라고 물으면 언제나 “네”라는 답이 돌아온다. 그러면 나는 농담 반 진담 반으로, “그럴 땐 가능한 한 멀리 도망치세요”라고 말한다. 도망치는 것은 결코 수동적이거나 비관적인 행동이 아니라 능동적인 코핑이다.
_Lesson 4. 풀리지 않는 스트레스 대처법 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