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역사회를 건강하게 만드는 커뮤니티비즈니스

지역사회를 건강하게 만드는 커뮤니티비즈니스

(인간성 회복과 자율적인 지역사회 만들기)

호소우치 노부타카, 이상현 (지은이), 박혜연 (옮긴이), 한영혜 (감수)
아르케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5% 0원
540원
16,5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2개 1,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지역사회를 건강하게 만드는 커뮤니티비즈니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지역사회를 건강하게 만드는 커뮤니티비즈니스 (인간성 회복과 자율적인 지역사회 만들기)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사회운동 일반
· ISBN : 9788958030638
· 쪽수 : 219쪽
· 출판일 : 2007-05-23

목차

서장_커뮤니티 비즈니스란 무엇인가

제1장‘마을만들기’와 커뮤니티 비즈니스
제2장 커뮤니티를 둘러싼 현재의 상황
제3장 커뮤니티 비즈니스에 있어 각 주체의 역할
제4장 21세기 지역경영에 있어 시책 전망
제5장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실적 사례

종장_커뮤니티 비즈니스로의 기대와 전망

저자소개

호소우치 노부타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제창자다. 현재 커뮤니티 비즈니스 종합연구소 소장, 사이타마 여자전문대학 객원교수, 커뮤니티 비즈니스 네트워크 이사장, 내각부 여성기업 고문, 나고야의 미래를 생각하는 간담회 위원. 커뮤니티 비즈니스 실천 연구의 장으로서 경제산업성 시민벤처 사업추진위원, 경제산업성 환경 커뮤니티 비즈니스 사업 추진위원, 국토교통성 지역사회 만들기 전략연구회 위원, 후생노동성 고용창출 기획회의 위원, 총무성 주민 서비스 워킹그룹 구성원, 미타카 시 상공대책 심의회 위원, 스미다구 산업진흥회의 위원 등을 역임했다. 1994년부터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이용한 ‘건강한 지역사회 만들기’를 주장하면서 1997년에 비영리조직인 커뮤니티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도쿄도 스미다구에 세웠다. 그 뒤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계발과 보급 활동에 전념했다. 전국 각지를 돌며 1995년부터 시작한 강연, 워크숍이 7백 회를 넘었다. 주요 저작으로 <커뮤니티 비즈니스>, <지역사회를 건강하게 만드는 커뮤니티 비즈니스>(편저), <3일이면 마스터할 수 있는 커뮤니티 비즈니스 기업 매뉴얼>(공저), <사회통합과 사회기업의 역할>(편저), <테마 커뮤니티의 숲>(공저), <저출산 고령사회를 지탱하는 시민기업>(감수) 등이 있다. 홈페이지 http://www.hosouchi.com.
펼치기
이상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을 졸업하였다.
펼치기
박혜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을 졸업.
펼치기
한영혜 (감수)    정보 더보기
전 서울대학교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석사를 마쳤고, 일본 쓰쿠바대학 사회과학연구과에서 ‘일본의 사회의식론’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도쿄대학·교토대학 객원교수, 스탠퍼드대학교 방문교수, 한국사회사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다. 최근 수년간은 냉전기·탈냉전기 재일한인과 분단된 본국의 관계 양상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펼치기

책속에서

'커뮤니티 비즈니스'란 말은 1994년부터 우리가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한 일본제영어(和製英語)이다.
일본은 버블경제 붕괴 후, 오사카를 중심으로 황폐화된 지역이 증가하는 등의 일본형 이너시티(inner city)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지역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하여 우리들은 이너시티 문제 연구에 몰두하기 시작했다. 그런 가운데서 나온 것이 커뮤니티 비즈니스라는 단어이다.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커뮤니티에 비즈니스라는 단어를 붙인 것이지만, 처음부터 돈을 받아서 운영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 전에 뛰어넘어야 할 장애물이 여러 가지 있기 때문이다. 그럴 때는 우선 커뮤니티 워크, 즉 지역 내부의 활동부터 시작하는 것이 가장 쉽다. 지역 활동이라는 것은 마음만 있으면 혼자서도 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매주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에게 도시락을 배달해주는 봉사를 시작했다고 하자. 이렇게 지역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선의의 행동을 지속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비즈니스에 의해 한다는 것이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기본적인 사고방식이다.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을 건강하게 만드는 주민주체의 지역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정부나 대기업에 제공하는 상품.서비스와는 달리, 주민 스스로가 지역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활동을 비즈니스로 전개하려는 것이다. 비즈니스에는 책임감과 지속성이 필요하다. 주민 스스로가 지역을 건강하게 만들기 위하여 지역의 문제해결에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사업을'커뮤니티 비즈니스'라고 할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