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사회운동 일반
· ISBN : 9788958030638
· 쪽수 : 219쪽
· 출판일 : 2007-05-23
목차
서장_커뮤니티 비즈니스란 무엇인가
제1장‘마을만들기’와 커뮤니티 비즈니스
제2장 커뮤니티를 둘러싼 현재의 상황
제3장 커뮤니티 비즈니스에 있어 각 주체의 역할
제4장 21세기 지역경영에 있어 시책 전망
제5장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실적 사례
종장_커뮤니티 비즈니스로의 기대와 전망
책속에서
'커뮤니티 비즈니스'란 말은 1994년부터 우리가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한 일본제영어(和製英語)이다.
일본은 버블경제 붕괴 후, 오사카를 중심으로 황폐화된 지역이 증가하는 등의 일본형 이너시티(inner city)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지역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하여 우리들은 이너시티 문제 연구에 몰두하기 시작했다. 그런 가운데서 나온 것이 커뮤니티 비즈니스라는 단어이다.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커뮤니티에 비즈니스라는 단어를 붙인 것이지만, 처음부터 돈을 받아서 운영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 전에 뛰어넘어야 할 장애물이 여러 가지 있기 때문이다. 그럴 때는 우선 커뮤니티 워크, 즉 지역 내부의 활동부터 시작하는 것이 가장 쉽다. 지역 활동이라는 것은 마음만 있으면 혼자서도 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매주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에게 도시락을 배달해주는 봉사를 시작했다고 하자. 이렇게 지역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선의의 행동을 지속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비즈니스에 의해 한다는 것이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기본적인 사고방식이다.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을 건강하게 만드는 주민주체의 지역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정부나 대기업에 제공하는 상품.서비스와는 달리, 주민 스스로가 지역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활동을 비즈니스로 전개하려는 것이다. 비즈니스에는 책임감과 지속성이 필요하다. 주민 스스로가 지역을 건강하게 만들기 위하여 지역의 문제해결에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사업을'커뮤니티 비즈니스'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