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58173991
· 쪽수 : 262쪽
· 출판일 : 2017-12-15
목차
머리말 / 3
제1장. 공자의 학문관
1. 머리말 9
2. 학문의 목적 12
3. 학문의 방법 16
4. 학문의 내용 21
5. 맺음말 28
제2장. 포은 정몽주의 학문관
1. 머리말 31
2. 정몽주의 학적 연원 32
3. 학문관의 실천적 성격 38
1) 闢異端의 비판정신 39
2) 扶正學의 춘추정신 49
4. 포은학이 후세에 끼친 영향 64
5. 맺음말 67
제3장. 율곡 이이의 학문관
1. 머리말 69
2. 학문의 목적과 목표 71
3. 학문관의 수양론적 체계 77
1) 학문의 자세 - 거경 77
2) 앎의 문제 - 궁리 83
3) 학문의 실천 방법 - 역행 89
4. 맺음말 94
제4장. 여헌 장현광의 학문관
1. 머리말 97
2. 도통관과 학적 연원 99
3. 학문의 분류와 방법 110
4. 학문의 내용과 목표 114
5. 맺음말 121
제5장. 순암 안정복의 학문관
1. 머리말 125
2. 학문의 연원과 사유체계 127
3. 下學志向의 학문관 136
1) 下學追求의 학문경향 136
2) 경세사상에 나타난 학문관 143
4. 맺음말 148
제6장. 담헌 홍대용의 학문관
1. 머리말 151
2. 학적 연원과 학문지향 153
3. 주자말폐에 대한 비판과 古學에의 관심 158
4. 개방적 학문태도와 以天視物의 방법 167
5. 맺음말 177
제7장. 홍재 정조의 학문관
1. 머리말 181
2. 俗學에 대한 인식 182
3. 정조의 정학관 191
1) 정학의 성격 191
2) 정학의 내용 197
4. 맺음말 206
제8장. 다산 정약용의 학문관
1. 머리말 209
2. 五學에 대한 비판 212
3. 학문관의 특징 220
4. 맺음말 228
제9장. 추사 김정희의 학문관
1. 머리말 231
2. 학문관 형성에 끼친 청대학술의 영향 233
3. 학문관의 특징 237
1) 실사구시의 학문정신 237
2) 학문방법으로서의 訓?學 243
4. 經學과 金石學에 나타난 학문관 249
5. 맺음말 255
참고문헌 /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