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목간과 죽간으로 본 중국 고대 문화사

목간과 죽간으로 본 중국 고대 문화사

도미야 이타루 (지은이), 임병덕 (옮긴이)
사계절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목간과 죽간으로 본 중국 고대 문화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목간과 죽간으로 본 중국 고대 문화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고대사(선사시대~진한시대)
· ISBN : 9788958280958
· 쪽수 : 282쪽
· 출판일 : 2005-06-22

책 소개

책은 중국과 일본의 100년 연구 성과를 담은 목간.죽간 개설서로, 오랜 간독의 해독과 주석 작업의 결과를 담았다. 나아가 간독 자체에 대한 상세한 고증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한대 문서행정이 간독의 양태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묘사하고 있다.

목차

옮긴이의 말

들어가며_ 종이의 탄생
교과서 서술의 문제점
종이와 채륜
옛 종이의 발견
종이의 용도
종이의 기원

1. 초기의 서사 재료들
갑골과 청동기
고대 중국의 석각
석각의 기원
진대의 석각
조서를 새기다
한비의 시대
한비가 융성했던 후한 시대
묘석이 급증한 까닭
석각의 다양한 명칭
묘비의 기원과 형상
묘 속의 석각, 묘지
형도전
황천국의 석각
서사 재료로서의 석각

2. 목간과 죽간의 발견
새로운 서사 재료의 출현
목간의 발견
목간 연구의 역사
간독의 형상과 용도
수권 방법(1) - 서적
수권 방법(2) - 장부
서적의 성립 전야
단독간
목간과 죽간의 차이점
간독의 발견이 초래한 굴절

3. 간독에 담긴 문서행정의 실상
간독자료의 매력
4차원 자료
간독의 출토와 해석
진 시황제의 문자 통일
정설이 뒤집히다
문헌사료와 출토자료를 통해 본 문자의 통일
이사와 문서행정
전서에서 초서로
문서행정(1) - 조서
지방행정과 군사조직
중앙에서 견수후관까지
'원강오년조서'의 참모습
문서행정(2) - 상행문서
문서행정과 서기관
자서의 발견
문서 전달의 실태(1) - 두 종류의 검
문서 전달의 실태(2) - 우정
문서행정의 관철

4. 간독과 종이가 공존하던 시대
다시 서사 재료로
헤딘과 누란 왕국
종이로 만든 서적
누란에서 온 편지
나무와 종이의 역할 분담
검.부와 공문서
종이로의 단계적 이행

5. 간독에서 종이로
문헌사료에서 살펴본 문서장정
종이의 시대로
황지와 황적
총괄 - 문서 기록 문화의 ㅂ녀천
새로운 행정 시스템
율령제란 무엇인가?

나오며_ 종이에서 디스크로?
21세기형 서사 재료
디스크의 한계

도판 출처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도미야 이타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교토(京都) 대학 인문과학연구소 교수. 교토대학 문학부 동양사학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秦漢刑罰制度考證>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古代中國の刑罰: 骸骨が語るもの>(1995), <木簡?竹簡の語る中國古代: 書記の文化史>(2003), <文書行政の漢帝國: 木簡?竹簡の時代>(2010), <中國義士傳: 節義に殉ず>(2011), <四字熟語の中國史>(2012) 등이 있다.
펼치기
임병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2년 2월: 忠北大學校 師範大學 歷史敎育科 卒業. 1984년 2월: 成均館大學校 文科大學 史學科 大學院 碩士學位取得. 1994년 2월: 成均館大學校 文科大學 史學科 大學院 博士學位取得(「秦漢의 奴婢와 刑徒」). 2003년, 2009년: 교토대학인문과학연구소에서 外來敎授로 있으면서 『張家山漢簡·二年律令』 역주 작업에 참여하였다. 주요 논문으로는, 「秦漢交替期의 奴婢」(『中國古中世史硏究』 15,2006), 「秦漢時代의 士伍와 庶人」(『中國古中世史硏究』 20, 2008), 「里耶秦簡을 통해서 본 秦의 戶籍制度」(『東洋史學硏究』 110, 2010), 「中國古代·中世의 法과 女性」(『東洋史學硏究』 123, 2013) 외에 다수가 있고, 역저로는, 『중국사상사』(온누리, 1987), 『유골의 증언-고대중국의 형벌-』(서경문화사, 1999), 『중국고대문명의 기원과 전개』(문경출판사, 2003), 『중국법률사상사』(아카넷, 2003), 『목간과 죽간으로 본 중국고대문화사』(사계절출판사, 2005), 『동양사 1』(책세상, 2007), 『사료로 읽는 중국고대법제사』(도서출판 개신, 2008)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2~3세기의 상황을 알려주는 이상의 문헌을 보면, 간독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미 종이 조서로 이행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료도 있다. 적어도 여기에서 말할 수 있는 것은 채륜이 종이를 헌상하였던 원흥 원년(105)을 경계로 서사 재료가 간독에서 종이로 갑자기 변화한 것이 결코 아니라는 점이다.

그러면 도대체 간독에 기록되었던 서사물의 종류가 언제 어떠한 경과를 거쳐 종이로 이해한 것일까? 문헌사료에서 벗어나 출토된 문자자료를 통해 채륜 이후 3~4세기의 실태를 살펴보자. - 본문 200쪽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