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고대사(선사시대~진한시대)
· ISBN : 9788958280958
· 쪽수 : 282쪽
· 출판일 : 2005-06-22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말
들어가며_ 종이의 탄생
교과서 서술의 문제점
종이와 채륜
옛 종이의 발견
종이의 용도
종이의 기원
1. 초기의 서사 재료들
갑골과 청동기
고대 중국의 석각
석각의 기원
진대의 석각
조서를 새기다
한비의 시대
한비가 융성했던 후한 시대
묘석이 급증한 까닭
석각의 다양한 명칭
묘비의 기원과 형상
묘 속의 석각, 묘지
형도전
황천국의 석각
서사 재료로서의 석각
2. 목간과 죽간의 발견
새로운 서사 재료의 출현
목간의 발견
목간 연구의 역사
간독의 형상과 용도
수권 방법(1) - 서적
수권 방법(2) - 장부
서적의 성립 전야
단독간
목간과 죽간의 차이점
간독의 발견이 초래한 굴절
3. 간독에 담긴 문서행정의 실상
간독자료의 매력
4차원 자료
간독의 출토와 해석
진 시황제의 문자 통일
정설이 뒤집히다
문헌사료와 출토자료를 통해 본 문자의 통일
이사와 문서행정
전서에서 초서로
문서행정(1) - 조서
지방행정과 군사조직
중앙에서 견수후관까지
'원강오년조서'의 참모습
문서행정(2) - 상행문서
문서행정과 서기관
자서의 발견
문서 전달의 실태(1) - 두 종류의 검
문서 전달의 실태(2) - 우정
문서행정의 관철
4. 간독과 종이가 공존하던 시대
다시 서사 재료로
헤딘과 누란 왕국
종이로 만든 서적
누란에서 온 편지
나무와 종이의 역할 분담
검.부와 공문서
종이로의 단계적 이행
5. 간독에서 종이로
문헌사료에서 살펴본 문서장정
종이의 시대로
황지와 황적
총괄 - 문서 기록 문화의 ㅂ녀천
새로운 행정 시스템
율령제란 무엇인가?
나오며_ 종이에서 디스크로?
21세기형 서사 재료
디스크의 한계
도판 출처
참고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2~3세기의 상황을 알려주는 이상의 문헌을 보면, 간독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미 종이 조서로 이행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료도 있다. 적어도 여기에서 말할 수 있는 것은 채륜이 종이를 헌상하였던 원흥 원년(105)을 경계로 서사 재료가 간독에서 종이로 갑자기 변화한 것이 결코 아니라는 점이다.
그러면 도대체 간독에 기록되었던 서사물의 종류가 언제 어떠한 경과를 거쳐 종이로 이해한 것일까? 문헌사료에서 벗어나 출토된 문자자료를 통해 채륜 이후 3~4세기의 실태를 살펴보자. - 본문 200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