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아시아의 사형

동아시아의 사형

도미야 이타루 (엮은이), 손승회 (옮긴이)
영남대학교출판부
4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아시아의 사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아시아의 사형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88975814815
· 쪽수 : 678쪽
· 출판일 : 2014-05-10

책 소개

사형은 형벌체계 가운데 가장 엄중한 형벌이다. 사형이라는 궁극의 형벌을 통해서 동아시아 세계 죄와 벌의 법의식에 대해 종합적으로 해명하고 있다. 한국, 중국, 일본의 사형에만 국한되지 않고 인도와 네팔뿐만 아니라 서양의 사형까지 광범위하게 다루었다.

목차

Ⅰ 罪와 刑罰

제1장 窮極의 肉刑에서 생명형으로 - 漢~唐死刑考- : 도미야 이타루(富谷 至)

서론
1. 한대의 사형-집행양태
2. 魏晋의 刑罰
3. 北朝의 사형-교살형의 등장
4. 北齊· 北周에서 隋로
5. 宋· 齊· 梁· 陳의 사형

제2장 송대 이후 사형의 제양상과 법문화 : 이와이 시게키(岩井茂樹)

서론
1. “5형”과 근세의 혹형
2. 凌遲處死와 기타
3. 사형의 수속과 근세의 법문화
결론

제3장 千金의 子는 저자에서 처형되지 않는다
- 17·18세기 조선시대의 사형과 효수 - : 안더스 칼슨(Anders Karlsson)


서론
1. 조선시대의 효수
2. 17 · 18세기 법전에서의 효수
3. 분란이 많은 북부
결론

논문 1 : 도덕적 살인? - 한대 국가용인의 폭력 역사 - : 벤트 피터슨(Bengt Pettersson)

Ⅱ 사회와 사형

제4장 魏晋時代의 皇帝權力과 死刑 - 西晋末의 誅殺을 예로 하여 - : 고가치 류이치(古勝隆一)

서론
1. 예와 형
2. 황제에 의한 상벌
3. 주살은 무엇인가?
4. 西晋 말 誅의 남용
5. ?魂의 계보
6. 주살당한 자의 가족
7. 명예회복
결론

제5장 조선 당쟁사에 있어서의 官人의 처분 - 賜死와 그 사회적 충격 - : 야기 다케시(矢木 毅)

서론
1. 明律의 수용
2. 형벌과 징계
3. 당쟁의 전개
4. 징계의 체계
5. 고문의 여러 양상
6. 은총으로서의 “賜死”
7. “賜死”의 사상
8. 雪?과 顯彰
결론

제6장 중국 전근대 揷畵史話에 있어서의 사형과 폭력의 圖像(images) : 올리버 무어(Oliver Moore)

서론
1. 揷畵史話
2. 문장과 도상
3. 삽화사화의 형식과 내용
4. 삽화사화 가운데의 사형
5. 도상의 변환력
6. 독자의 시각적 능력
7. 삽화사화에서의 도상 사용
8. 리듬의 표징으로서의 도상
9. 처형의 記述

제7장 사형의 사회사 - 近世?近代 일본과 歐美- : 이토 타카오(伊藤孝夫)

서론
1. 의례로서의 사형
2. 刑死者의 사회사-근세일본
3. 문명화와 사형

제8장 현대중국의 사형에 관한 입법 및 그 정비에 대하여 : 周東平

서론
1. 현대중국 사형입법의 연혁과 현상
2. 중국 현행형법에 있어서의 사형입법에 대한 비평적 분석
3. 중국 사형입법의 전망
追記
결론

논문 2 : 동아시아와 사형의 풍경 - 사형 이미지의 비교사회학 - : 후지타 히로(藤田弘夫)

1. 세계의 사형
2. 사회질서와 안전
3. 현대사회와 사형의 계보
4. 동아시아와 사형의 미래
Ⅲ 비중국적 시각에 서서

제9장 고대인도에 있어서의 사형
- 산스크리트문헌으로 본 형벌의 분석을 통하여 - : 아카마츠 아키히코(赤松明彦)


서론
1. 고대인도인은 형벌을 어떻게 바라보았는가?
2. 형벌의 종류와 범죄의 분류
3. 체형과 벌금형
4. 카스트제도와 형벌-브라만의 특권성
5. 양형의 기준-同害刑罰 사상과 억지의 사상
6. 사형 대상 범죄
7. 법과 왕권-사회적 관점에서 본 형벌
8. 不淨의 관념과 죄의 관념-종교적 관점에서 본 형벌
9. “사형”을 둘러싸고-聖的 權威와 俗的 권위의 투쟁
10. 불살생(비폭력)의 사상과 사형-불교적 원리와 사회규범
결론

제10장 무르키 아인(Muluki Ain) - 네팔의 법전과 사형 - : 하캄 왈키스트(Hakam Wahlquist)

서론
1. 사형제도와 인류학의 가설
2. 네팔의 법 전통
3. 네팔-역사적 배경
4. 네팔왕국의 전통적 특질
5. 민족국가로 향하여
6. 힌두의 왕권, 왕국과 법
7. 법과 네팔국가의 형성-라나(Rana) 이전의 시대
8. 스리 스렌드라 비크람 샤하(Sri Surendra Bikram Shah)의 무르키 아인(Muluki Ain) 1854년

제11장 사형과 조선의 법적 전통 : 스테판 로젠(Staffan Rosen)

서론 : 사형
1. “초기한국”(Early Korea)의 개념
2. “초기한국”의 법적 유산
3. “초기한국”의 법적 자료
4. 한국과 유목민 법의 유풍
5. 한국과 율령의 전통
6. 신라 법률적 전통에서의 형벌

- 결론 : 사형 존폐 논의의 문앞에 서성이며 - 총괄을 대신하여 - : ?谷 至
- 옮긴이 후기
- 찾아보기

저자소개

도미야 이타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교토(京都) 대학 인문과학연구소 교수. 교토대학 문학부 동양사학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秦漢刑罰制度考證>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古代中國の刑罰: 骸骨が語るもの>(1995), <木簡?竹簡の語る中國古代: 書記の文化史>(2003), <文書行政の漢帝國: 木簡?竹簡の時代>(2010), <中國義士傳: 節義に殉ず>(2011), <四字熟語の中國史>(2012) 등이 있다.
펼치기
손승회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1년 출생.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학사·석사·박사 졸업. 공주대학교, 서울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 등에서 시간강사, 성균관대학교에서 연구교수로 근무한 뒤 2019년 현재 영남대학교 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은 중국근현대사. 주요 논저로 「만보산사건과 중국공산당」(『동양사학연구』, 2003), 『근대중국의 토비세계』(창비, 2008), 『헤테로토피아와 만주』(공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4) 등이 있고 역서로는 『인물로 본 근대중국』(영남대출판부, 2008), 『덩잉차오평전 1, 2, 3』(소명출판사, 2012), 『중국근현대사: 혁명과 내셔널리즘 1925-1945』(삼천리, 2013), 『동아시아의 사형』(영남대출판부, 2014), 『문화대혁명』(영남대출판부, 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