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사
· ISBN : 9788958286455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2-10-22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머리말
프롤로그 불과 생명의 탄생
최초의 불
생명의 탄생과 인류의 출현
1장 불과 인류의 진화
처음 불을 쓴 인류
불을 독점하다
요리와 인류의 진화
안전성과 쾌적함
2장 고대인과 불
구석기시대의 집과 불
조몬 문화와 화로
불을 만들다
불을 지키고 새 불을 일으키다
3장 신화 속의 불
불의 신 가구쓰치의 탄생과 살육
가구쓰치의 피와 사체에서 생긴 것
세계의 신화와 불의 기원
프로메테우스 신화
4장 민속 안의 불
‘미개’ 민족, 그리스와 로마의 경우
화로에서 부뚜막으로
화로와 이로리
이계로 통하는 불
5장 종교와 불
조로아스터교
불 의식
화장의 탄생
데카르트의 난로방, 파스칼의 불
6장 불빛이 여는 근대
조명의 분리
횃불에서 촛불로
램프에서 전구로
조명과 도시
7장 예술과 불
‘이중 불꽃’
바로크의 빛과 어둠
편재하는 빛
야주로의 촛불
에필로그 불의 패러독스
후기
미주
보론: 한반도의 난방 문화, 온돌 - 송기호(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이로리의 불은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분명히 통상의 그것과는 다른 것으로 만든다. 불꽃을 보고 있으면 수십 년간 살아오면서 경험한 가장 즐거웠던 일이나 가장 힘들었던 일 같은 옛일이 자연스레 떠오르는 모양이다.
불의 관리, 즉 불의 지배는 인간 진화의 과정과 같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역으로 말하자면 불의 지배야말로 인간의 진화를 초래한 것이다. 이에 대해 하우츠블룸은 ‘불을 지배하는 능력은 특수한 사회적, 정신적, 육체적 특성의 동시 발전에 따라 가능해졌다’고 말한다.
불이 발산하는 힘은 야간 노동을 가능하게 하고, 놀이나 의식도 할 수 있게 했다. 불의 다양한 기능에 의지하는 정도가 이렇게 커짐에 따라 사람들은 불을 잃어버리는 것을 두려워하게 된다. 한편 불의 파괴력에 대한 경계심은 사람들에게 불을 다루는 법을 훈련하게 만들 것이다. 불에 대한 경의는 이렇게 의식화되고, 불을 다루는 훈련은 불의 제도에 속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