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88958286608
· 쪽수 : 625쪽
· 출판일 : 2013-01-25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김호동(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
한국어판 서문
서문
1장 고대의 마주침들(고대~8세기)
지리적 환경
선사 시대의 신장
고전 시대
제한적인 자치와 지속되는 관계:3~6세기
당, 돌궐 그리고 티베트
2장 중앙유라시아의 우위(9~16세기)
신장의 위구르 왕국
카라한조
투르크의 이슬람화
호탄의 개종
카라 키타이
쿠출루크의 카라 키타이 정복
몽골 제국 시기
몽골 시기의 위구르
모굴리스탄: 무슬림 차가타이가
차가타이가의 몰락과 새로운 민족의 형성
중국-중앙아시아의 관계와 동서 대상 무역
근세의 실크로드
3장 이슬람과 중국 사이에서(16~19세기)
타림 분지에서의 수피 교단의 포교
낙슈반디 교단과 호자들
중가르-민주의 대결과 청 치하 '신장'의 탄생
청 치하의 신장
1864년 반란과 야쿱 벡의 아미르국
4장 제국과 민족 사이에서(19세기 후반~20세기초반)
재정복
재건
일리 유역의 수복
신장의 건성
건성의 완성
20세기 전환기 타림 분지 오아시스에서의 삶
청의 멸망
이슬람식 근대 교육
신장의 자디드 운동과 투르크 민족주의
5장 중국과 소련 사이에서(1910년대~1940년대)
양쩡신의 통치
대홍수: 1930년대의 대립
동투르키스탄 공화국: 1933~1934년
성스차이의 시대
국민당 치하의 신장
삼구(三區)혁명과 제2의 동투르키스탄 공화국
중국 공산당이 신장을 장악하다
6장 중화인민공화국에서(1950년대~1980년대)
통치의 확립과 사회주의의 이행: 1949~1958년
20년간의 문화 대혁명: 1957~1978년
개혁, 회복 그리고 타협: 1978~1980년대
7장 중국과 세계 사이에서(1990년대~2000년대)
실크로드와 유라시아의 교량
발전
'공작이 서부로 날아가다': 신장으로의 이주
건조 지역과 반건조 지역: 신장의 환경
불화와 분리주의
21세기 초의 중국령 투르키스탄
결론 줄타기
'모든 위구르인의 어머니': 라비예 카디르
먼 서쪽의 동화 같은 성공: 쑨광신
줄 위의 애국자: 아딜 호슈르
부록: 신장의 역사 연대표
주
참고문헌
도판 목록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따라서 ‘중국령 투르키스탄’이라는 호칭은 이 지역 역사의 주요 특징―종족적 다양성과 문화 영역의 중첩 지역이라는 상황―을 반영하며 지난 세기의 대부분 동안 이 대륙의 교차로를 괴롭혀 왔던 종족적●정치적 정체성의 융화라는 문제를 구체화하고 있다.
언급했듯이 ‘중국령 투르키스탄’이라는 용어는 이 지역의 문화적●정치적 다양성, 즉 여러 문화와 정치적 영향력이 서로를 배척하기보다는 중첩되는 이 지역의 성질을 함의하고 있다. 실크로드의 교차로로서 신장은 지중해 지역, 페르시아, 인도, 러시아 그리고 중국을 연결하는 통로에 걸쳐 있다. 따라서 신장은 유라시아 전역의 예술과 기술, 사상 및 교역 물품이 이동하는 통로이자 용광로였다. 구석기 시대의 수렵●채집인들과 마찬가지로 이들의 뒤를 잇는 초기 유라시아의 농부들과 유목민들 역시 신장을 횡단했다. 그리고 승려와 선교사, 상인, 군인, 정착민 및 여행자가 그 뒤를 이었다. 신장은 또한 유목 사회와 정주 사회의 접점이자 초원 출신의 유목민인 흉노족, 투르크족 및 몽골족과 타림 분지 오아시스의 농민들이 만나는 공간이었다.
흉노의 쇠퇴와 한의 붕괴 이후 이어진 300년 동안 신장의 상황은 역사적으로 충분하게 기록되어 있지는 않다. 중국의 정치●군사적 혼란으로 인해 북중국에 기반을 둔 국가들은 타림 분지에 단지 제한적이고 간헐적으로만 개입할 수 있었다. 비록 이 시기가 중국에서는 종종 암흑의 시대처럼 다루어지고 있지만, 타림 분지에서는 교역 및 외교적●종교적 왕래가 여전히 활발했으며 심지어 중국의 서북부는 계속해서 인도 및 소그디아나와 연결되어 있었다. 실제로, 3~6세기 동안 소그드인의 상업적 네트워크는 타림 분지와 간쑤 회랑으로 확대되었으며 불교는 바로 이 연락망을 통해 발달하고 크게 융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