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바이오 산업의 혁신, 한국 산업의 혁신역량 발전, 기술과 제도의 공진화, 자본주의 다양성과 한국의 성장 모델, 스타트업 생태계 등의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저자가 연구책임자로 작성한 연구보고서 중 이 글과 관련된 보고서로는 한국과 미국의 교수 창업 제도 비교와 시사점(2022), 바이오 스타트업 육성 방안(2016), 한국 바이오 벤처 20년: 역사, 현황, 발전 과제(2013), 제약산업의 기술혁신 패턴과 발전전략(2004)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석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전문작가로 활동 중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ICT 기술에 대해 저술하고 있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재)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의 센터장을 역임하였다. (사)창조경제혁신센터협의회 회장을 맡기도 했다.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고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에서 경영과학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KT에서 마케팅 및 사물인터넷 등 신사업 기획을 담당하는 상무를 역임했고,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의 전문가로 활동했다. 저서로 문과생을 위한 ICT 이야기(2019), 스타트업과 공공액셀러레이터(2023), 문과생을 위한 정보통신기술과 경영(2024), 스타트업을 위한 벤처투자산업의 이해(2024) 등 총 23권이 있다.
펼치기
배태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를, 이후 미국 루이빌대학교에서 박사학위(창업학)를 취득하였다. 미국 Hofstra University 경영대학 조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세계 한인 무역협회 뉴욕지부에서 차세대 무역 스쿨 강사 및 멘토로 활동했다. 현재 한양대학교 산업융합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일반 대학원 창업융합학과 주임교수를 역임하고 있다. 기업가정신학회 편집위원, 벤처창업학회 편집위원, 재도전중소기업협회 운영이사를 맡고 있다. 저서로는 <앙트러프러너십 개론>을 공저했다.
펼치기
이병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KAIST에서 경영전략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기술경영경제학회, 한국전략경영학회, 기업가정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원장과 문재인 정부 대통령비서실 중소벤처 비서관으로 일했다. Research Policy, R&D Management, 전략경영연구 등 국내외 학술지에 중소벤처 기업의 기술혁신 전략과 정책에 관한 50여 편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공저서로는 <혁신의 시간>, <공학기술과 경영>, <패러다임 대전환>, <최후의 산업전쟁>, <K-스타트업: 실패가 알려주는 성공의 길> 등이 있다.
펼치기
이종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세종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거시경제학, 금융, 무역, 경제 안보 분야에 The World Stock Markets under Geopolitical Risks, Core of Inter-Regime Externality: Freedom, Exchange Rate Dynamics with Foreign Reserves 등 많은 논문이 있다. 피아노 독주 및 오케스트라와의 협연, 다양한 주제에 대한 강의 경험도 풍부하다. 서울대학교 경제학부를 졸업하고, University of London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산업통상자원부 산하의 무역위원회, 기획재정부 산하의 조달정책심의위원회, 관세청, 한국자산관리공사, 금융감독원, 중소기업 퇴직연금, 기술보증기금 등 다수의 기관에서 소신 있는 자문 활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이수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동발달센터의 작업치료사로 수업을 진행하면서, 치료실과 가정에서 활용하기 좋은 활동지를 구성하여 제작하였습니다.
펼치기
이자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과학기술인 협동조합 기술사업화지원단의 이사장, 고려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건국대학교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창업진흥원,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테크노파크 등에서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전문멘토, 강의, 평가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스타업의 아이템 개발 및 시장 검증, 기술성, 시장성, 확장성에 대한 멘토링 경험이 풍부하다. 경영학, 융합공학, 음악학 전공을 바탕으로 2014년부터 기술창업, 서비스창업, 문화콘텐츠창업, 플랫폼 창업 등 스타트업에 필요한 지식과 경험을 지속적으로 쌓고 있다. 한국벤처창업학회 이사, 기업가정신 학회 사업부문 부회장, 한국창의응용학회 디자인씽킹 부분 부회장 활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김선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광운대학교 대학원에서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 전략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벤처투자에서 창업-성장-회수에 이르는 벤처투자생태계 전반을 연구하고 있다. 최근, 프로젝트펀드에 대한 출자 필요성, 벤처대출(Venture Debt)의 효과, 기업주도 벤처캐피탈(CVC) 현황, 벤처캐피탈(VC) 인력 특성 등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했다.
펼치기
최경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동국대학교 경영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 수학교육학과, 행정대학원(행정학 석사)을 졸업하고 하버드 Kennedy School(정책학 석사), 스탠포드 경영대학원(경영학 박사) 및 노스웨스턴 법과대학(LLM)에서 수학하였다.
전략을 가르치는 경영학 교수이자 기업 간 M&A에 관심 많은 미국 변호사로서 다학제적(interdisciplinary) 지식을 기반으로 다양한 연구와 산업계 및 정부 자문 활동을 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지주회사, 인천국제공항공사, 대우조선해양, 하나금융지주의 사외이사로 활동했다. 국토부 항공교통심의위원을 역임하고, 산업은행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과정의 경영평가와 위험관리를 하였다. 국내외 권위 있는 학술지에 기업의 혁신성장과 창업생태계에 관하여 기업전략, 산업정책 및 법규제를 중심으로 다수의 논문을 집필·수록하고 있다.
펼치기
안혜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카이스트 실패연구소에서 연구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교훈이 있는 실패 사례를 발굴하여 지식 콘텐츠로 만드는 동시에, 사회 및 문화심리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실패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이를 사회적 자산으로 전환하기 위한 다양한 캠페인을 기획하고 연구하고 있다. 2018년 행안부에서 주관하는 실패박람회 <실패의제연구>에 참여해 국민의 실패 경험 유형과 인식 특성을 분석한 것을 계기로 실패박람회 및 재도전 프로젝트 민간기획단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현재 교육기관,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의 실패 사례 발굴과 자산화에 대한 자문을 이어나가고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