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 3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 3

(미국의 세기 - 제1차 세계대전에서 오바마 행정부까지, 개정판)

앨런 브링클리 (지은이), 손세호, 이영효, 김덕호, 김연진, 조지형, 황혜성 (옮긴이)
휴머니스트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1,000원 -10% 1050원 17,850원 >

책 이미지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 3 (미국의 세기 - 제1차 세계대전에서 오바마 행정부까지,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메리카사 > 미국/캐나다사
· ISBN : 9788958620310
· 쪽수 : 696쪽
· 출판일 : 2011-10-17

책 소개

미국의 역사학자 앨런 브링클리가 쓴 <The Unfinished Nation>의 여섯 번째 개정판을 황혜성, 조지형, 이영효, 손세호, 김연진, 김덕호 등 여섯 명의 대표적 미국사 연구자들이 공동 완역한 책이다. 이 책의 원서는 SAT를 준비하는 사람이나 현지 유학 중인 학생이 미국 역사를 공부하는 가장 기본적 텍스트인 것은 물론, 미국인들도 자국사의 정본처럼 여기는 책으로 유명하다.

목차

한국어판 머리말 5
머리말 7
옮긴이의 글 12

◆ 23장 미국과 제1차 세계대전
1 전쟁으로 가는 길 27
유럽 평화의 붕괴 | 윌슨의 중립 | 군비 확충 대 평화주의 | 민주주의를 위한 전쟁
2 무제한 전쟁 35
군사전 | 전쟁의 신기술 | 전시경제의 조직화 | 사회의 통합 추구
3 새로운 세계 질서 추구 48
14개조 | 파리평화회의 | 비준 논쟁
4 혼란한 사회 53
불안정한 경제 |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요구 | 적색공포 | 이상주의의 후퇴

◆ 24장 새로운 시대
1 새로운 경제 67
기술, 조직, 경제적 성장 | 자본의 시대와 노동자 | 여성과 소수 인종 노동력 | 농업기술과 농민의 고초
2 새로운 문화 78
소비주의와 대중매체 | 심리학과 정신의학 | 새로운 시대의 여성 | 환상에서 깨어난 이들
3 문화적 갈등 87
금주법 | 토착주의와 클랜 | 종교적 근본주의 | 민주당의 시련
4 공화당 정부 95
하딩과 쿨리지 | 정부와 기업

◆ 25장 대공황
1 공황의 도래 105
대폭락 | 대공황의 원인 | 대공황의 전개
<과거를 논하며> 대공황의 원인 110
2 고난기의 미국인 113
실업과 구호 |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대공황 | 공황기 미국의 히스패닉과 아시아인 | 대공황기의 여성과 가족
3 대공황과 미국 문화 122
공황기의 가치관과 문화 | 대공황기의 예술가와 지식인 | 라디오 | 영화 | 대중문학과 언론 | 인민전선과 좌파
4 허버트 후버의 시련 136
후버 프로그램 | 대중적 저항 | 1932년 선거 | 정치권 교체기
<세계 속의 미국> 세계공황 147

◆ 26장 뉴딜
1 뉴딜의 시작 153
신뢰의 회복 | 농업의 조정 | 산업부흥 | 지역 계획 | 연방 구호의 증강
2 뉴딜의 변천 166
뉴딜의 비판자 | 2차 뉴딜 | 노동의 호전성 | 투쟁의 조직화 | 사회보장 | 구호의 새로운 방향 | 1936년 국민투표
3 혼란 상태의 뉴딜 181
법원과의 투쟁 | 긴축과 경기 후퇴
<과거를 논하며> 뉴딜 185
4 뉴딜의 한계와 유산 188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뉴딜 | 뉴딜과 ‘인디언 문제’ | 여성과 뉴딜 | 뉴딜과 서부 | 뉴딜, 경제, 정치

◆ 27장 세계적 위기(1921~1941)
1 새 시대의 외교 199
연맹의 대체 | 채무와 외교 | 후버와 세계 위기
<과거를 논하며> 중일 전쟁(1931∼1941) 206
2 고립주의와 국제주의 208
공황기 외교 | 고립주의의 부상 | 뮌헨의 실패
3 중립에서 개입으로 215
시험대에 오른 중립 정책 | 1940년 선거 | 중립 포기 | 진주만으로 가는 길

◆ 28장 세계대전 중의 미국
1 양 전선의 전쟁 227
일본 봉쇄 | 독일군의 지체 | 미국과 유대인 대학살
2 전시의 미국 경제 236
번영과 노동권 | 경제 호황의 안정화와 생산의 동원 | 전시의 과학과 기술
3 전시 미국의 인종과 성 246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전쟁 | 아메리카 원주민과 전쟁 | 멕시코계 미국인 전시 노동자 | 일본계 미국인의 수용 | 중국계 미국인과 전쟁 | 전시의 여성과 어린이
4 전시 문화 속 근심과 풍요 256
전시의 오락과 여가 | 군대의 여성과 남성 | 개혁으로부터의 후퇴
5 추축국의 패배 261
프랑스의 해방 | 태평양에서의 공격 | 맨해튼 계획과 원자탄 전쟁
<과거를 논하며> 원폭 투하 결정 274

◆ 29장 냉전
1 냉전의 기원 279
미소 긴장의 원천 | 전시 외교 | 얄타
2 평화의 붕괴 285
포츠담의 실패 | 중국 문제 | 봉쇄정책 | 마셜플랜 | 국내에서의 동원 | 나토로 가는 길 | 냉전정책의 재평가
<과거를 논하며> 냉전 295
3 전후 미국 297
재전환의 문제 | 거부된 페어딜 | 1948년 선거 | 되살아난 페어딜 | 핵의 시대
4 한국전쟁 307
분단된 반도 | 침공에서 교착상태로 | 제한된 동원
5 매카시즘 313
하원 반미 활동 위원회와 엘저 히스 | 연방 충성 프로그램과 로젠버그 사건 | 매카시즘 | 공화당의 부활

◆ 30장 풍요로운 사회
1 경제 ‘기적’ 325
경제 성장 | 현대 서부의 등장 | 자본과 노동
2 과학과 기술의 폭발 331
의학의 획기적인 발전 | 살충제 | 전후 전자 연구 | 전후 컴퓨터 기술 | 폭탄, 로켓, 미사일 | 우주 프로그램
3 풍요로운 국민 342
소비문화 | 교외의 나라 | 교외의 가족 | 텔레비전의 탄생 | 여행, 야외 레크리에이션, 그리고 환경주의 | 조직 사회와 비난자 | 비트족과 불안정한 청년 문화 | 로큰롤
4 또 다른 미국 358
풍요로운 사회의 주변 | 농촌의 빈곤 | 도시 내부
5 민권운동의 등장 362
브라운 판결과 ‘대대적인 저항’ | 확대되는 운동 | 민권운동의 원인
6 아이젠하워 공화주의 368
“제너럴모터스에 좋은 것은……” | 복지국가의 생존 | 매카시즘의 쇠퇴
7 아이젠하워, 덜레스, 냉전 373
덜레스와 ‘대량 보복’ | 프랑스, 미국, 그리고 베트남 | 냉전의 위기 | 유럽과 소련 | U2기 위기

◆ 31장 자유주의의 시련
1 자유주의 국가의 확대 385
존 케네디 | 린든 존슨 | 빈곤에 대한 공격 | 도시, 학교, 이민 | ‘위대한 사회’의 유산
2 인종 평등을 위한 투쟁 395
증대하는 저항 | 국가적 공약 이행 | 투표권 투쟁 | 변화하는 운동 | 도시의 폭력 | 블랙 파워
3 ‘유연한 대응’과 냉전 404
외교정책의 다양화 | 소련과의 대치 | 존슨과 세계
4 베트남의 고뇌 409
미국과 디엠 | 원조에서 간섭으로 | 전쟁의 늪 | 국내에서의 전쟁
<과거를 논하며> 베트남 공약 417
5 1968년의 상처 419
구정 공세 | 정치적 도전 | 킹 목사 암살 | 케네디 암살과 시카고 | 보수주의의 반발
<세계 속의 미국> 1968년 428

◆ 32장 권위의 위기
1 청년 문화 433
신좌파 | 대항문화
2 마이너리티 440
아메리카 원주민의 투쟁 | 아메리카 원주민 민권운동 | 라티노의 활동 | 동성애자 해방
3 새로운 페미니즘 449
재탄생 | 여성해방 | 여성운동의 성과 | 낙태 문제
4 환경 운동 455
새로운 생태학 | 환경 옹호 | 환경 파괴 | ‘지구의 날’과 그 이후
5 베트남전쟁 463
베트남화 | 가속화 | 명예로운 평화 | 인도차이나에서의 패배
6 닉슨, 키신저, 그리고 세계 472
미중 관계 개선과 미소 데탕트 | 제3세계와 미국의 관계
7 닉슨 시대의 정치와 경제 476
국내 정책 | 워렌 법원에서 닉슨 법원으로 | 1972년 선거 | 어려운 경제 | 닉슨의 응전
8 워터게이트 위기 486
스캔들 | 닉슨의 몰락
<과거를 논하며> 워터게이트 사건 492

◆ 33장 한계의 시대에서 레이건 시대로
1 워터게이트 이후의 정치와 외교 497
포드의 관리인 역할 | 지미 카터의 시련 | 인권과 국익 | 인질 사건
2 신우파의 출현 506
선벨트 지역 | 종교적 부흥 운동 | 신우파의 등장 | 세금 반란 | 1980년 대통령 선거
3 레이건 혁명 517
레이건 연합 | 백악관의 레이건 | ‘공급 중시’의 경제학 | 재정 위기 | 레이건과 세계 | 1984년 선거
4 냉전의 쇠퇴 530
소련의 붕괴 | 레이건 혁명의 퇴색 | 1988년 선거 | 부시 대통령 시절 | 걸프전 | 1992년 선거

◆ 34장 지구화 시대
1 당파심의 부활 549
클린턴 행정부 출범 | 공화당의 재기 | 1996년 선거 | 클린턴의 승리와 전투 준비 | 탄핵, 방면, 그리고 재기 | 2000년 대통령 선거 | 부시 가문의 두 번째 대통령
2 경제 부흥 568
불황에서 성장으로 | 경기 침체 | 경제의 양면
3 신경제의 과학과 기술 572
디지털 혁명 | 인터넷 | 유전학에서의 획기적인 진전
4 변화하는 사회 579
인구 변화 | 인권 운동 이후 시대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 마약과 에이즈
5 서로 대립하는 문화 588
페미니즘과 낙태를 둘러싼 갈등 | 환경주의의 성장
<세계속의 미국> 전 지구적 환경 운동 593
6 세계화의 위험 27
‘신세계 질서’에 대한 저항 | 정통성의 수호 | 테러리즘의 부상 | 테러와의 전쟁 | 이라크 전쟁 | 부시 행정부의 쇠락 | 2008년 선거

◆ 부록
미국의 주 619 | 미국의 도시 620 | 미국사 주요 연표 622 | 미국 독립선언서 634 | 미국 헌법 639 | 미국 역대 대통령 선거자료 668 | 찾아보기 675

저자소개

앨런 브링클리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71년 프린스턴 대학교 졸업 후, 1979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버드 대학교와 뉴욕시립 대학교를 거쳐 1991년부터 컬럼비아 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3년에 컬럼비아 대학교 ‘최고 교수상(Great Teacher Award)’을 수상했으며, ‘역사학의 앨런 네빈스 교수(Allan Nevins Professor of History)'로 지명되는 영광을 안았다. 브링클리는 미국 진보주의의 전통과 변형을 꾸준히 연구해왔으며 미국 현대사, 특히 뉴딜에 관해 많은 연구업적을 쌓았다. 1983년에 내셔널 북 어워드(Nation Book Award)를 수상한 《저항의 목소리: 휴 롱, 코글린 신부 그리고 대공황》을 비롯해, 《개혁의 종말: 공황기와 전쟁 중의 뉴딜 진보주의》,《진보주의와 반대자들: 정치의 역사학과 역사의 정치학》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손세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Edward Bellamy의 공화적 사회주의」로 서양사 전공 박사학위를 받았다. 뉴욕 주립대학교(SUNY at Albany)에서 박사 후 연수 과정을 수료했고, 스탠퍼드 대학교 사학과에서 풀브라이트 방문 교수로 미국사를 연구했다. 평택대학교 미국학과 교수와 국제물류대학 학장 그리고 한국미국사학회 회장과 역사학회, 한국서양사학회, 한국아메리카학회 등의 이사를 역임했다. 저서로는 『하룻밤에 읽는 미국사』(2019), 『여럿이 모여 하나 된 나라 미국 이야기』(2015) 등이 있고, 역서로는 『새로운 서양문명의 역사(하)』(2014), 『미국 노예,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삶에 관한 이야기』(2011) 등과 「주요 노예제폐지론자의 헌법해석: 개리슨, 필립스, 더글러스」 등 다수의 논문을 학술지에 발표했다.
펼치기
이영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주립대학(오스틴)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교수로 있다. 미국 식민지 시기의 역사, 남부사, 흑인사 등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미국사의 이면을 재조명하는 작업에 집중해왔다. 주요 저서로 『미국사 낯설게 보기』, 『사료로 읽는 서양사: 근대편 Ⅱ』,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 1, 2, 3』(공역), 『서양 문명과 인종주의』(공저),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학』(공저), 『지구화 시대의 새로운 세계사』(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미국 노예 서사의 자유 변주곡」, 「미국 독립선언서와 행복 추구권」, 「미국혁명기 노예제 담론」, 「18세기 말 대서양 흑인의 디아스포라 정체성」, 「대서양 흑인 여성의 이산 경험과 정체성」, 「흑인에 대한 스펙터클 린치와 백인성」 등이 있다.
펼치기
김덕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욕망의 코카콜라』(지호, 2014), 『근대 엔지니어의 탄생』(공저, 에코리브르, 2013), 『근대 엔지니어의 성장』(공저, 에코리브르, 2014), 『아메리카나이제이션』(공편, 푸른역사, 2008), 『현대 미국의 사회운동』(공편, 비봉, 2001) 등이 있다. 역서로는 『역사로서의 문화』(나남, 2015), 『현대 엔지니어와 산업자본주의』(공역, 에코리브르, 2017),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공역, 휴머니스트, 2011), 『옥스퍼드 유럽현대사』(공역, 한울, 2003)가 있다.
펼치기
김연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2011년 현재 단국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 《서양의 가족과 성》(공저), 《현대 미국의 사회운동》(공편)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미국 이민의 이미지와 ‘이민의 나라’ 미국: 시사잡지 표지(1965-1986)를 통해 본 이민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세자르 차베즈와 UFW, 그리고 치카노 운동> 등이 있다.
펼치기
조지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3년 현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지구사연구소장, 아시아세계사학회(AAWH) 회장, 한국거대사연구회장이다. 미국 헌법의 인신보호영장 조항에 관한 논문으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로 미국 헌법, 미국 연방 대법원 판례, 지구사(global history), 거대사(big history) 등을 연구하고 있다. 법제처 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한 바 있으며, 한국미국사학회 총무이사, 한국아메리카학회 연구이사, 이화여자대학교 연구처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헌법에 비친 역사』, 『랑케&카: 역사의 진실을 찾아서』, 『지구사의 도전』(공저), 『지구화 시대의 새로운 세계사』(공저), 『미국인의 사상과 문화』(번역), 『왜 유럽인가』(공역)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황혜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성대학교 역사문화학부 교수. 서강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하와이주립대학에서 〈부커 T. 워싱턴과 W. E. B. 듀보이스〉(Booker T. Washington and W. E. B. Du Bois: A Study in Race Leadership, 1895-1915) 연구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 《미국역사학의 역사》(공저)가 있고, 옮긴 책으로 《‘미국민중사’를 만든 목소리들》, 《미국의 노예제도와 미국의 자유》,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1~3, 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8623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