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주영편

주영편

(종횡무진 지식인 정동유, 심심풀이로 조선 최고의 백과사전을 만들다)

정동유 (지은이), 안대회, 서한석, 이승용, 김경희, 김보성, 임영걸, 임영길 (옮긴이)
휴머니스트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27,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700원
24,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주영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주영편 (종횡무진 지식인 정동유, 심심풀이로 조선 최고의 백과사전을 만들다)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58623144
· 쪽수 : 704쪽
· 출판일 : 2016-02-01

책 소개

18세기 지식 총서 7권. <주영편>은 조선의 실학자 정동유가 조선의 역사문화와 자연환경, 풍속과 언어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고증하고 분석하여 쓴 짧은 글을 모은 만필집이다. 자연과학과 인문학을 넘나드는 202개 주제에 대한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향연이 담겨 있다.

목차

서설

주영편 상권
서문

우리 사는 곳의 모습은 어떠한가? 1 ~11則
주자가 말한 천하 지리|한반도와 일본의 지맥|도읍지 한양|한양 성곽 축조|조선의 건축 규모|궁궐과 태묘의 재건|태묘의 제도|태묘에 천신하는 제물|제사의 의미|공자의 소상|성주 향교의 공자 소상

세시풍속의 유래들 12 ~30則
갑자로 해와 날을 기록하는 방식|십이진을 세는 순서|역서에 실린 삿된 술법, 택일|역법과 술가의 야합|운명 예측과 칠정|삼파일|염이라는 글자의 유래|소만과 망종|도소주|다리밟기|처용치기|신일|사월 파일|단오와 창포|납일|역서 반포일|납전삼백|싸라기눈|우레라는 글자

각종 제도의 시비를 가려보다 31 ~41則
《지봉유설》의 숱한 오류|먹을 수 있는 흙|영암의 흔들바위|영해의 우물|사당 제물을 공용으로 쓰다|조선의 졸렬한 풍습과 하기 힘든 풍속|고려 왕실의 동성 혼인|조선의 혼인 풍속|후장의 기준|왕릉 조성의 관습|화장제도

바다 건너 세계와의 만남 42 ~57則
불교의 전래|일본에 들어온 서양세력|네덜란드 표류선|유구국과의 국교|고상영의 안남 표류기|포르투갈 표류선|빙해 밖의 나라 흑진|평안 감영의 문을 두드린 노승|조선과 청의 강화를 이해한 명나라|청나라가 조선을 후대한 까닭|함양 출토 황금을 청나라에 바친 이유|나라 사신을 접대한 방식|중국 사신들의 탐욕|청나라의 태자 책봉|청나라 관인의 만주 글자|북경의 비밀 제단, 당자

고려의 흔적을 찾아서 58 ~72則
중국에 들어간 《고려사》|고려가 중국에 보낸 책|《사고전서》에 유일하게 포함된 《화담집》|중국에 보내진 공녀|중국 사행길의 변경|조선 출신 중국 환관|조선 출신 환관 정동|고려 태조 삼대의 이름|도선 국사의 행적|강감찬의 이름|김홍술과 이예의 충직함|김부식의 잔혹한 법 적용|고려와 송의 관계|원나라 황제가 알려준 야간 전투법|고려와 원의 도량형

일상의 소소한 기원들 73 ~85則
환갑의 기원|고순년이란 말|민며느리와 데릴사위|의대의 어원|귀유치와 섭리|종묘 앞 일영대의 헛소문|석전 풍속|성의 이름과 공략법|방아를 놓는 방향|인장 씻기|곰의 출현과 화재|기자정에서 출토된 거울|개벽 이전의 기와와 불상

자연의 이치를 다시 따지니 86 ~100則
별자리 분야|조석 간만의 차이|상여의 도성 출입|숭례문 현판 글씨|풍수설의 학문적 연구|나침반과 나경|오행 치료에 대한 의문|야간 시각|타종 횟수와 과거 정원|곤룡포와 면류관의 유래|《읍지》의 허위|집안 기록의 신뢰성|조선 문인의 평가를 이용하는 중국 문인|웅천거벽|고성 삼일포 매향비

주영편 하권

훈민정음으로 말의 쓰임을 바로잡다 1~16則
천하의 위대한 문헌 훈민정음|훈민정음의 몰이해|신숙주의 《사성통고》|신숙주의 오류|답습되는 《사성통고》의 오류|《훈민정음》과 《광음》의 자모|서양의 자모|‘ㄹ’에 대하여|자음동화|태조 어제의 진위|치다|개천과 재|동|빙과 계의 오용|잘못 쓰는 어휘|국시

의문을 놓지 않는 비판적 책 읽기 17 ~30則
잘못 읽는 세 가지 사례|옛 판본의 가치|문헌의 보존|명필 김생|세종 때의 명필 신장|글쓰기의 어려움|역사서 저술|후사를 세우는 법도|5대조의 조천|외우와 내우의 혼용|경서의 의문점|《춘추》의 의문점|경서의 주석|우경의 기원

먹고 입는 문화에 대한 소고 31 ~40則
제사떡|고명|별의|입식|옥패 주머니|방립|망건|역관의 옷|부인의 복식|부인과 천민의 지문 날인

나라를 다스리는 학문의 본질을 묻다 41 ~50則
일본 유학자 겐 마사유키|일본 유학자 이토 진사이|일본 유학의 분열|붕당의 폐해|위숙자의 당론|붕당과 학술|각박한 현인들|이단에 빠지는 원인|풍속 변화의 법칙|본지를 모르는 주자학파와 양명학파의 논쟁

이야기와 시로 남은 옛사람의 흔적들 51 ~78則
창절사의 충신단과 별단|자규루의 신비|영릉의 팔대 숲|선죽교의 핏자국|홍성 늣분도|헛개나무|용호방|조선 고유의 한자|우리나라 성명의 오인|선조의 뜻과 행적|정태화와 최명길의 비밀공작|정태화와 위제서의 만남|서건학의 악평|최규서의 운기법|《서하집》의 발굴|이수봉의 화수전 상량문|한세기의 기이한 인연|김부식의 봉분을 세워준 홍중후|곽씨 부인의 남편 묘지명|시인 오상렴|기녀와의 약속을 저버린 이광좌|
장단 허씨의 모정|차운시의 유래|식부인의 고사|가짜 시어|‘지의’라는 시어|해진과 정인홍의 소나무 시|조숫물을 읊은 시

풍속의 지리 문화적 차이 79 ~102則
백두산정계비|믿지 못할 중국 기록|합자와 파자|접부채의 유래|윷놀이의 원리|천하제일 명품|산누에의 종류|부당한 세금 징수제도|우리나라 노비제도|원나라 노비제도|노비제도 혁파|금나라 노비제도의 유래|요나라와 금나라의 재생례|귀보리|백합과 신이|염소|퉁소와 대금에 쓰는 대나무|삼|상어 가죽과 자작나무 껍질|두더지와 비리|아길아합몽합과 향장목|해당화와 해홍|노송과 원백|꽃과 과일 속성재배

부록 《주영편》에 대해 말하다
원문
찾아보기

저자소개

정동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조 시대의 실학자로,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유여(愉如), 호는 현동(玄同)이다. 1777년에 34세로 생원시에 합격한 뒤 다시는 과거에 응시하지 않았고, 집안의 명망에 기대어 음관이 되었으며 동몽교관을 거쳐 의금부도사·사옹원주부·공조정랑·익위사위솔·익산군수·담양부사·홍주목사 등을 지냈고, 장악원정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정광필 이래 정유길, 정창연, 정태화로 이어지며 4대 정승을 배출한 회동 정(鄭)씨 출신이며, 소론계 명문가 출신으로서 이광려에게 가르침을 받았고 조지명의 사위가 되어 학문을 전수받았다. 이러한 배경 덕분에 정계와 학계에서 담론의 흐름을 빠르게 간파할 수 있었던 그는, 자신이 축적한 국제정세와 외교, 제도와 사회 등 다방면에 걸친 정보와 지식 등을 《주영편》에 쏟아부었다. 그는 기존의 학문적 질서에 구애받지 않고 합리적인 판단과 실질적 사례 그리고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모든 의문에 대한 답을 내리는 근대적 지식인상을 지닌 학자였다. 풍부한 지식에도 불구하고 평생 《주영편》과 2책의 작은 문집 《현동실유고(玄同室遺稿)》 두 종의 저술밖에 남기지 않았다. 이충익, 이영익, 신작 등과 교유했으며, 《문통》이란 방대한 저술을 남긴 유희(柳僖)는 현동의 제자이다. 이처럼 현동이 배우고 가르치고 교유한 사람들 모두 소론 명문가의 학자로서 지성사에 큰 자취를 남겼다.
펼치기
안대회 (해설)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문과대학 학장을 맡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장과 한국한문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2015년에 제34회 두계학술상을 받았고, 2016년에 제16회 지훈상 국학 부문을 수상했으며, 2023년에는 SKKU-Fellowship 교수로 선정되었다. 2024년에는 제38회 인촌상 인문·사회 부문을 수상하였다. 정밀하면서도 깊이 있는 사유를 바탕으로 옛글을 고증하고 해석해 왔으며, 담백하고 정갈한 문체로 선인들의 글과 삶을 풀어내 왔다. 지은 책으로 『한국시화사』, 『조선의 명문장가들』, 『담바고 문화사』, 『궁극의 시학』, 『천년 벗과의 대화』, 『벽광나치오』, 『조선을 사로잡은 꾼들』, 『정조의 비밀편지』, 『선비답게 산다는 것』, 『18세기 한국한시사 연구』 등 다수가 있고, 옮긴 책으로 『채근담』, 『만오만필』(공역), 『해동화식전』, 『한국 산문선』(공역), 『완역 정본 택리지』(공역), 『소화시평』, 『내 생애 첫 번째 시』, 『추재기이』, 『북학의』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서한석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한국고전번역원 전문위원을 거쳐 현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 재직하고 있다. 번역서로 《갑인연행록》, 《기사진표리진찬의궤》, 《이계집1》, 《이계집5》가 있고 공역서로 《이계집2》, 《지정연기》, 《주영편》, 《신편 백호전집》 등이 있다.
펼치기
이승용 (옮긴이)    정보 더보기
嶺南大學校 漢文敎育科 卒業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漢文學科 碩士, 博士 韓國古典飜譯院 專門課程 修了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院 古典飜譯硏究室 先任硏究員(現) 論文및 譯書 <조선후기 江華學派漢詩硏究- 全州李氏德泉君派八匡을 중심으로> 共譯 ≪譯註 貞觀政要集論≫ ≪國譯通鑑節要增損校註Ⅰ≫ ≪自著實紀≫ ≪樂全 堂集≫ ≪寒溪日記≫ ≪晝永編≫ 등
펼치기
김경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 한문학과 박사 수료
펼치기
김보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선문대 교양학부 강사
펼치기
임영걸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3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하고 한문학과 박사를 수료하였으며, 한국고전번역원 전문과정을 졸업하고 번역위원을 역임하였다. 논문으로 〈연세대학교 소장 만오만필의 작자에 대한 고찰〉, 〈지봉 이수광의 산문 비평에 대한 일고-당송고문의 우열비평을 중심으로〉 등이 있고, 공역서로 《만오만필(晩悟漫筆)-야담문학의 새로운 풍경》, 《완역 정본 택리지(擇里志)》, 《일성록(日省錄) 정조174․180, 순조3․6․13․20》 등이 있다.
펼치기
임영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동아시아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한국고전번역원 고전번역교육원 연수과정을 졸업하였다.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연구원 및 한문학과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번역서로 《자저실기》, 《주영편》, 《완역 정본 택리지》(이상 공역) 등이 있으며, 〈청(淸) 문인 황작자(黃爵滋)와 조선 문인의 교유〉, 〈조선후기 연행록에서 북경 ‘서산(西山)’의 의미〉 등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