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 ISBN : 9788958720300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06-07-20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1장 대학에서 글쓰기
이 책이 필요한 이유 / 글쓰기 동료를 만들어라 / 당신의 언어생활을 돌이켜보라 / 쓰기 전에 대화하라 / 첫 문장이 제일 어렵다 / 도움을 구하라 / 이 책의 구성
2장 대학 글쓰기, 첫 발 떼기
낯선 학문의 세계 속으로 / ‘쓰기 연습’ 단계 / 브레인스토밍 / 질문을 던져라
3장 강의마다 다른 글쓰기
다양한 글쓰기 방식 / 관점은 다 다르다 / 강의 따라 과제도 따로 / 대학 글쓰기의 핵심 요소 / 새 과제가 주어지면 / 구성와 논증 / 논술의 전형 / 블록 쌓기
4장 과제를 분석하라
키워드 접근법 / 키워드 접근법의 한계 / 제목부터 시작하자
5장 읽기도 글쓰기의 일부
책 읽기 좋은 환경 / 무슨 책을 고를까? / 차이를 변별하라 / 책 읽기와 기록하기 / 마인드맵으로 책 읽기 / 꼭 출처를 밝혀라 / 참고문헌 작성법 / 참고도서 기록하기 / 의미를 이해하라 / 친구들과 비교하라
6장 글의 구성
글의 틀을 어떻게 잡을까? / 대학에서 즐겨 쓰는 글쓰기의 구성 / 논증을 전개하라
7장 ‘나’를 주어로 써도 좋은가?
딜레마 / 앵무새식 글쓰기 / 대학 과제물이 ‘독창적’일 수 있을까? / ‘나’를 사용하기 / 개인적 관점 vs 학문적 관점
8장 정리하고 편집하라
서론, 어떻게 쓸까? / 결론, 어떻게 쓸까? / 퇴고와 편집 / 글의 재구성
9장 다음 과제를 위한 준비
결속성 / 문장부호 / 지시 관계 / 일관성 / 과제물의 제출 / 피드백에서 교훈을 얻어라
10장 다양한 글쓰기 과제들
어느 대학생이 작성한 과제물 / 보고서 작성법 / 졸업논문과 연구 과제 / 웹사이트를 참고자료로 활용하라 / 웹사이트의 평가 / 웹사이트의 표시 방법 / 시각 자료를 활용하라
11장 학습일지 쓰기
빨리 쓰기 / 학습일지 / 학습일지란 무엇인가? / 학습일지가 공부에 도움을 줄까? / 다양한 강의와 학습일지 / 학습일지의 평가 / 마지막 점검
옮긴이의 글
작문신공 프로젝트
책속에서
결국 글에 당신을 어떻게 위치시킬 것인지가 문제다. 당신이 '나'를 사용하여 개인적 의견을 과제물에 포함하려면 객관적인 시각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조건이다. 즉 자신의 의견을 근거 없이 내세우거나 무조건 틀렸을 거라며 편견을 갖지 말고 냉정하게 생각해야 한다.
이렇게 주제와 거리를 두는 점이 학문적 글쓰기의 특징이다. 저자가 그 주제에 대해 확실한 철학을 갖고 있는 점도 그렇다. 당신이 관련 내용을 자신 있게 다룬다면 글에 대한 주인 의식과 함게 자부심까지 가질 수 있다. 물론 처음 접하는 주제를 다루면서 자신의 글이 적절하다고 자신 있게 생각하기는 쉽지 않다. 당신이 그 주제에 대해 글쓴이로서의 정체감을 갖지 못하면 '나'를 주어로 내세우겠다는 '권리'를 주장하기도 어렵다.
'나'를 주체로 글을 쓴다는 것은 어떤 것일가? 우리가 '나'를 주체로 쓸 때, 어떤 의미에서, '나'는 그 글에서 무엇인가를 말하기 위해 만들어진 가공의 인물이다. 우리가 각각 다른 상황에서 상대에게 완전히 다르게 말하듯이, 글에서 '나'의 의미는 누구에게 어떤 이유로 말하느냐, 또 어떻게 글을 쓰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다시 말해 학문적 글에서의 '나'는 글의 성격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우리는 이렇게 조언하고 싶다. '나'를 사용하는 것이 당신의 목적에 걸맞으면 그렇게 하라! 당신의 존재를 억지로 지울 필요는 없다. - 본문 161~162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