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91191587715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24-11-01
책 소개
목차
추천사_정재승(KAIST 뇌인지과학과 교수) 4
서문 10
PART 1 새김눈에서 서판으로
매듭 글자 22
새김눈 24
그림문자 26
눈금 막대기 30
그 밖의 기억 연상 장치와 신호 메시지 31
시각적 상징 33
징표 36
표음문자화와 최초의 서판 41
PART 2 말하는 그림
이집트 문자 54
설형문자 69
원형 엘람어 문자 81
인더스 문자 84
PART 3 말하는 문자 체계
비블로스 음절문자 99
아나톨리아 음절문자 103
에게해와 키프로스 음절문자 107
이집트와 가나안의 원형 알파벳 116
페니키아 알파벳 126
아람 문자 계통 130
인도와 동남아시아의 인도계 문자 145
PART 4 알파에서 오메가까지
그리스 알파벳 168
메로에 문자와 콥트 문자 183
에트루리아 문자 188
라틴 문자 194
이베리아 문자 203
고트 문자 207
룬 문자 208
오감 문자 215
슬라브 문자 219
PART 5 동아시아 문자의 ‘재탄생’
중국 문자 231
베트남 문자 254
한국 문자 256
일본 문자 266
PART 6 메소아메리카와 안데스
기원 293
사포테카 문자 299
에피・올메카 문자 301
마야 문자 303
다른 문자들 313
미스테카 문자 314
아스테카 문자 315
안데스 문자들 318
PART 7 양피지 키보드
그리스 328
중세 시대의 라틴어 333
인슐라체 346
문장 부호 355
종이 360
인쇄 362
라틴 알파벳에서 영감을 받아 창제된 문자들 388
PART 8 문자의 미래
양층 언어 408
철자법과 철자 개혁 412
속기와 상징 및 ‘시각 언어’ 424
문자의 미래 428
옮긴이의 글 438
주석 440 | 참고 문헌 458 | 찾아보기 467
리뷰
책속에서
완전한 문자가 형성되기 전에도 우리 인류는 다채로운 시각적 상징과 기억을 돕는 연상 기호를 사용해 정보를 저장했다. 암면 미술(rock art)은 보편적 상징들, 예컨대 인간을 형상화한 듯한 그림, 식물군과 동물군, 태양, 별과 혜성 및 말로 설명되지 않는 기하학적 무늬 등의 저장고다. 대부분 이 시각적 상징들은 물리적 세계에서 흔하디흔한 현상을 시각적으로 재현한 것이다. 그와 동시에 기억을 돕는 연상 기호는 언어적 맥락에서도 사용되었다. 예컨대 매듭을 이용한 기록, 그림문자, 눈금이 새겨진 뼈와 막대기, 메시지를 그림으로 표현한 막대기, 실을 조작해 음을 만들어내는 장치, 채색된 조약돌 등 다양한 물체가 말을 기억하는 도구로 사용되었다. 수천 년 동안, 시각적 상징과 이런 연상 기호는 특정한 사회적 환경에서 더욱더 가까워졌다. 마침내 그 둘이 합쳐져서 하나의 ‘시각적 연상 기호’(graphic mnemonics)가 되었다.
-1장 ‘새김눈에서 서판으로’
이집트 상형문자가 지닌 또 하나의 매력적인 특징은 한정사, 곧 기호 식별자가 쓰였다는 데 있다. (오랜 시간이 지난 뒤에야 한정사라는 기호 식별자는 다른 문자 체계에서도 나타난다.) 한정사는 의미가 아니라 소리를 식별한다는 점에서 표음적 보완재와 확연히 달랐다. 한정사는 표음문자, 곧 소리 기호의 뒤에 달라붙는 표어문자인 단어 기호였다. 영어에서 동음이의어 Bill과 bill처럼, 특히 단어의 소리가 모호성을 띨 때 원하는 단어의 정확한 의미를 알아보게 할 목적에서 한정사가 더해졌다. 한정사는 가급적 명확해야 하기 때문에 대다수의 한정사는 표어문자보다 그림문자였다.
-2장 ‘말하는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