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쿠라 훈민정음

사쿠라 훈민정음

(국어사전 속 숨은 일본말 찾기)

이윤옥 (지은이)
인물과사상사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1개 2,2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7,000원 -10% 350원 5,950원 >

책 이미지

사쿠라 훈민정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쿠라 훈민정음 (국어사전 속 숨은 일본말 찾기)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59061655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0-11-15

책 소개

국어사전도 밝히지 못한 일본말 찌꺼기의 역사와 유래를 하나하나 추적한다. 역사와 유래를 알고선 도저히 쓸 수 없는 놀라운 일본말 찌꺼기의 뒷이야기가 소개된 책이다. 기나긴 일제 침략의 역사와 식민지의 아픔을 가지고 있는 이 땅에 말에 얽힌 사연을 알고 나면 도저히 쓸 수 없는 일본말 찌꺼기가 아직도 생생히 살아 있다.

목차

들어가며
“한글이 목숨”이다- 일본말 찌꺼기를 걸러내는 작업을 시작하며

1장 역사와 유래가 있는 일본말 찌꺼기
화투에서 ‘고도리’는 무슨 새인가요?
‘노가다’와 호류지 건축공사장의 대목수들
통영의 ‘다찌집’
오동나무 장 만들어 딸 시집보내던 겨레가 웬 ‘단스' 타령?
20만 원을 500억 원으로 불린 재테크 ‘달인'
방아타령까지 있는 우리가 ‘도정'이란 일본말을 쓰는 까닭
시도 때도 없이 분유 달라고 ‘땡깡' 부리는 아들 때문에 죽겠어요
‘모포' 보내기 캠페인을 마감하며
“한글이 목숨"이라고 쓴 외솔 선생의 '방명록' 《금서집》 52
‘복창'하며 하루를 여는 공무원들
천민집단의 대명사 ‘부락'이 아직도 쓰이는 까닭은?
나 죽어도 ‘빤스' 아닌 꽃무늬 팬티로 들키고 싶다
‘사바사바'는 일본인의 고등어 속여 팔던 행위를 일컫는 말
일제강점기 조선인 길들이기에서 온 말 ‘서정쇄신'
사무라이들이 베어낸 수급의 개수를 평가하는 ‘수우미양가'
내가 니 ‘시다바리'가?
일본의 식양회에서 먼저 쓴 말, ‘신토불이'
‘전지훈련' 위해 캐나다로 가는 김연아
러일전쟁을 일본의 승리로 이끈 약, ‘정로환'
지리산 ‘정상'에 밀린 토박이말 산마루
수수코리의 술 한잔에 취한 일왕과 일본술 ‘정종' 이야기
국립묘지 ‘참배'라는 말은 치욕스런 일제의 잔영
달동네를 ‘하꼬방'으로 부르라 윽박지르던 우리 경찰
‘함바집' 사람들
나도 ‘○○○ 혜존'이라고 사인한 책을 받고 싶다

2장 일상생활 속의 일본말 찌꺼기
평일에 드레스 ‘가봉'을 가기로 예약했어요
우리나라 외화 ‘감식' 분야의 선구자
‘결석계'를 안 내면 내신점수가 깎여요
여기는 밴쿠버, 여자 쇼트트랙 3,000미터 ‘계주' 결승행
1588 ‘고객'센터에 거는 전화는 무료인가요?
자전거를 끌고 ‘고바위'를 올랐다
‘고발'은 고변으로, ‘고소'는 공고로 쓰였다
‘기라성' 같은 여성들이 구혼장에 몰리다
김수환 추기경의 각막 ‘기증' 계기로 장기기증 열풍
‘나와바리'가 있어야 수입 보장을 받을 수 있다
이벤트 응모자 내부 ‘담합' 조작 어떻게 대처합니까?
‘대하' 먹으러 오세요!
서울역 ‘대합실'에서 만나요
‘데코보코' 길을 걸어온 일본 가수왕 미소라 히바리
앙증맞은 빨간 선인장은 1980년대 한 ‘독농가'가 재배 시작
내일은 ‘돌풍'이 불겠다
‘땡땡이' 원피스 볼 때마다 화나네요
‘마사토'란 무슨 흙인가요?
나는 왠지 ‘몸뻬'라는 말이 좋다
공무원의 종교 차별 행위 ‘물의'를 빚다
오늘 천안함 함미 ‘바지선'으로 옮긴다
등소평이 좋아했던 담배 한 ‘보루' 값은?
임신 중에 ‘복지리' 먹어도 되나요?
‘삐라' 뿌리지 않는 사회
여고생을 미치게 하는 ‘사물함'
여의도 윤중제에서 벚꽃 구경을 하고 유람선 ‘선착장'에 가고 싶어요
‘세꼬시' 맛있게 먹는 법
‘수타' 짬뽕 전문점 창업 인기
‘시말서' 쓰는 법을 알려주세요
회사생활이 ‘식상'해졌어요
이 대통령은 폴란드 대통령의 죽음에 ‘심심한' 조의를 표했다
‘쓰끼다시' 많이 주는 집
‘애매모호'한 박수근의 <빨래터> 판결
‘야리꾸리'하고 복잡 미묘한 마음
‘야매'로 점과 잡티를 뺐어요
수표를 내 통장에 입금할 때도 ‘이서'를 해야 하나요?
‘재테크'로 결혼 자금을 모으고 싶어요
‘지병'이 있는 사람은 해외여행 때 조심하세요
황금보검 ‘진면목'을 본다
은행과 대학이 업무 협약 ‘체결'하다
시에다 ‘추신'을 달아도 되나요?
밤새 천둥번개 집중 ‘호우'
앞으로의 꿈은 탈북자의 ‘후견인'입니다
아내에게 권한 ‘히로뽕'… 60대 남편 구속

참고문헌

저자소개

이윤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박사.《문학세계》시 부문 등단. 세계문인협회 정회원. 지은 책으로는 친일문학인 풍자시집《사쿠라 불나방》, 시와 역사로 읽는 여성독립운동가 열전 《서간도에 들꽃 피다》(전10권),《인물로 보는 여성독립운동사》,《여성독립운동가 300인 인물사전》, 《46인의 여성독립운동가를 찾아서》, 《경기의 얼, 여성독립운동가 40인의 삶》, 《여성독립운동가 100분을 위한 헌시》, 한·중·일어 로 된 시화집《나는 여성독립운동가다》, 영문판시집 《41 heroines, flowers of the morning calm》, 《FLOWERING LIBERATION-41 Women Devoted to Korean Independence》등 여성독립운동 관련 저서 외 일본 관련 저서 다수. 한국외대 연수평가원 교수, 일본 와세다대학 객원연구원을 지냈으며 현재는 국립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독립운동사 연구원과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장으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마을의 다른 말이자 씨족마을쯤으로 쓰인 ‘부락’이 일본 천민집단의 대명사?
츠쿠바대학의 하가 노보루芳賀登 교수는 “부락이란 미해방부락을 의미하며 차별받고 소외되어 있던 근세로부터의 천민신분으로 주로 예다穢多(천업에 종사하는 사람), 비인非人(죄인, 악귀 따위)들의 집단주거지를 일컫는 말”로 소개하고 있다. 요컨대 부라쿠민(ぶらくみん, 部落民)이란 전근대 일본의 신분제도 아래에서 최하층에 있었던 천민집단으로, 현재 일본사회에서 부락은 ‘터부’로 여겨지고 있을 만큼 요주의 단어다. 이곳에 사는 부락민들은 거주 이전의 자유가 없는 노예나 다름없었고 인민이나 국민과는 거리가 먼 사람들이었다. 오죽하면 ‘히닌’이었을까? 히닌(ひにん, 非人)이란 ‘사람 아닌 것이 사람의 형상을 하고 있다’라는 뜻이다.
이렇게 일본은 자신의 나라에서 쓰지 않는 말을 조선의 마을 이름에 갖다 붙였다. 일본제국주의의 ‘조선인 천시’ 의식의 반영이다. 그런 의도로 들어온 부락이라는 말을 아무런 비판 없이 해방 이후에도 쓰고 있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일본 천민집단의 대명사 ‘부락’이 아직도 쓰이는 까닭은?>


일제강점기 조선인을 길들이기 위해 미나미 지로 조선총독이 내세운 ‘서정쇄신’
일제강점기 때 일본은 내지인에게 식민지 조선의 상황을 알리려고 잡지《모던 일본》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일본 내에서 대박을 터뜨리자 이듬해인 1940년에 조선판 특집을 만든다. 이 잡지 가운데 <역대 조선총독을 말하다>에는 이노우에 오사무井上收가 미나미 지로 총독의 탁월한 조선 통치를 자랑하는 글이 나온다. 여기에 ‘미나미 지로의 신념’이라는 게 있는데, 그는 조선과 만주를 하나의 축으로 하는 동아 신질서 구축을 위해 불철주야 뛰는 인물로 그려져 있다. 그의 신념이란 바로 ‘①국체명징國體明徵 ②선만일여鮮滿一如 ③농공병진農工竝進 ④교학진작敎學振作 ⑤서정쇄신庶政刷新’이다.
-<일제강점기 조선인 길들이기에서 온 말 ‘서정쇄신’>


일본 식양회가 먼저 쓴 ‘신토불이’가 한국 농협이 처음 만든 말로 둔갑하다
일본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이 말은 1907년 일본의 육군 약제감 이시즈카石塚가 식양회食養?를 만들면서 처음 사용했다. 식양회는 식사를 통해 건강을 지키자는 취지로 만든 단체이며《노산연종보감》에 있는 말, 곧 ‘신토불이’를 ‘자기 고장의 식품을 먹으면 몸에 좋고 남의 고장 것은 나쁘다’라는 의미로 썼다. 그리고 이를 1989년 당시 한호선 농협 회장이 한국에 가져가 퍼뜨렸다는 것이다. 일본 쪽의 이러한 주장에는 일본에서 먼저 쓰던 말을 한국이 가져다 자기네가 처음으로 중국 불전에서 찾아낸 것처럼 알리는 게 못마땅하다는 눈치가 섞여 있는 듯하다.
-<일본의 식양회에서 먼저 쓴 말, 신토불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9064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