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오염된 국어사전

오염된 국어사전

(국민의례, 국위선양, 동장군, 단품, 품절까지 일본어가 한국어로 둔갑한 스캔들의 현장)

이윤옥 (지은이)
인물과사상사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11,700원 -10% 2,500원
0원
14,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6개 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9,100원 -10% 450원 7,740원 >

책 이미지

오염된 국어사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오염된 국어사전 (국민의례, 국위선양, 동장군, 단품, 품절까지 일본어가 한국어로 둔갑한 스캔들의 현장)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88959062379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3-07-22

책 소개

국어사전도 밝히지 못한 일본 말 찌꺼기의 역사와 유래를 추적한 <사쿠라 훈민정음 : 국어사전 속 숨은 일본 말 찾기>에 이어 생활 속에 더욱 뿌리 깊게 자리 잡은 일본 말 오용 사례를 밝히고, 이 문제에 대해 부실하고 안이하게만 대응하는 국립국어원을 비판한다.

목차

목차
들어가며

제1장 민족 자존심을 해치는 말
‘국민의례’란 일본제국주의 시대 궁성요배, 신사참배, 기미가요의 의식
‘국위선양’은 메이지 정부를 세계만방에 자랑하자는 말
일본 천황을 위한 ‘멸사봉공’ 알고나 쓰나
일본 군대에서 유래한 ‘기합’
‘지카다비’를 신고 탄광 노동에 시달리던 조선인
백 년 된 교토의 ‘표구점’ 앞에 천 년의 자존심이 구겨진다
고대에 직물 기술이 한 수 위였던 한국에 ‘기모’ 바지가 판치다
‘동장군’은 일본 사전을 베끼다 말아
‘간벌’로 황폐해진 조선의 산
우리도 옥스퍼드 사전처럼 ‘쓰나미’라고 해요
문학작품에 원앙금침이 수두룩한 나라에 웬 ‘잉꼬부부’
청와대와 어린이를 잇는 ‘가교’ 역할 해주세요
왜 한국인은 아들이 태어나면 ‘장군감’이라 하나
고려청자 최대의 장물아비 이토 히로부미와 ‘호리꾼’
금강초롱에 붙인 초대 조선 통감 이름 ‘화방초’
일본 말 의붓자식밑씻개에서 온 ‘며느리밑씻개’

제2장 일본 말로 잘못 분류한 한국어
‘아연실색’은 일본 말(?)
불쌍한 대한민국 ‘장손’, 장손은 일본 말?
『조선왕조실록』에도 나오던 ‘간간이’
‘양돈’이 일본 말이라고?
‘수수방관’은 『선조실록』에도 있던 말
기름진 ‘옥토’는 정약용의 시에도 나오던 말
‘익월’과 ‘익일’은 『인조실록』에도 있던 말
중국 하얼빈에서 ‘반입’된 안중근 동상 유치
‘대두’는 조선 시대에도 쓰던 말

제3장 『표준국어대사전』의 무원칙을 고발한다1
국어사전에 실린 일본 말
냉면 육수와 ‘다대기’
‘마호병’ 들고 창경원 나들이길
군대 간 아들 ‘무데뽀’ 상면기
‘미싱’사, 오버사, 시다, 실밥 따실 분 급구
우리 밀로 ‘앙꼬 빵’ 만들기
‘야끼만두’ 만드는 법을 알고 싶어요
‘찌라시’
스케치북과 4B 연필 한 ‘다스’
여자들은 어떤 ‘스킨십’을 좋아하나요

제4장 『표준국어대사전』의 무원칙을 고발한다2
국어사전에 실리지 않은 일본 말
해병대 ‘곤조가’
‘도쿠리’ 셔츠에서 목폴라 시대로
블라우스만은 ‘단품’으로 팔고 있지 않습니다
어디 가서 ‘싯뿌’나 했으면 좋겄다
할머니, ‘유도리’는 순수 우리말 인가요
천형(天刑)처럼 쓰는 건축 공사장의 ‘암석 소할’
세숫대야에 김치를 버무려 먹는 한국인
‘다구리’ 당하다
‘자부동’이 경상도 사투리라고?

제5장 그밖에 고쳐 써야 할 일본말 찌꺼기
동네 약국의 무거운 짐 ‘덕용’ 포장
‘구루병’에 걸려 곱사등 된다?
타고르가 노래한 조용한 아침의 나라에서 딴 아침고요 ‘수목원’
옛날 ‘고참’이 나에게 체질 감정해달라고 오다
경기도지사 선거에서 김문수에 ‘석패’
‘분재’ 소나무를 읊다
이월 제품으로 구입한 부츠에 기스가 있는데 ‘수선’되나요
‘품절’되기 전에 주문하세요
영화 ‘엽기적인’ 그녀
‘불심검문’하는 거리
‘원족’ 가는 날
입원 ‘가료’ 중
‘건배’ 유감
‘대미’를 장식하다
‘수상화서’로 피는 여뀌 꽃을 아시나요
식물인간이나 사지마비 환자가 아닌 한 ‘개호비’ 인정 안 돼
이 대통령 정상회담서 ‘모두’발언하다
‘시건장치’ 없는 집만 골라 도둑질
대출은 ‘소득’공제 안 되나요

부록
『표준국어대사전』을 질타한다
추악한 일본인과 이에 손뼉 치는 언론

참고문헌

저자소개

이윤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박사.《문학세계》시 부문 등단. 세계문인협회 정회원. 지은 책으로는 친일문학인 풍자시집《사쿠라 불나방》, 시와 역사로 읽는 여성독립운동가 열전 《서간도에 들꽃 피다》(전10권),《인물로 보는 여성독립운동사》,《여성독립운동가 300인 인물사전》, 《46인의 여성독립운동가를 찾아서》, 《경기의 얼, 여성독립운동가 40인의 삶》, 《여성독립운동가 100분을 위한 헌시》, 한·중·일어 로 된 시화집《나는 여성독립운동가다》, 영문판시집 《41 heroines, flowers of the morning calm》, 《FLOWERING LIBERATION-41 Women Devoted to Korean Independence》등 여성독립운동 관련 저서 외 일본 관련 저서 다수. 한국외대 연수평가원 교수, 일본 와세다대학 객원연구원을 지냈으며 현재는 국립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독립운동사 연구원과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장으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 메이지 시대의 신민임을 자처하는 말 ‘국위선양’.
정말 그럴까? 한번 살펴보자. 일본 위키피디어에 국위선양은 어떻게 나와 있을까. “億兆安撫國威宣揚の御宸翰とは, 明治元年3月14日(1868年 4月6日), 五箇條の御誓文の宣言に際して明治天皇が臣下に賜ったことば”라고 풀어놓았다. 번역하면 “억조안무국위선양어신한이란, 메이지 원년 3월 14일(1868년 4월 6일) 5개조 선언 발표 때 메이지 왕이 신하에게 내린 말”이라는 뜻이다. 좀 더 설명을 보충하면 “신하들은 천황을 도와 국가를 지키고 황국신민을 있게 한 시조신(皇祖神靈)을 위로하여 일본을 만세일계에 알려야 한다”는 것이 이른바 ‘국위선양’의 골자다. 곧, 국위선양이란 일본을 세계만방에 알리자는 뜻이며 이 말을 계속 쓴다면 우리들이 메이지 시대의 신민임을 자처하는 꼴이다.
-<‘국위선양’은 메이지 정부를 세계만방에 자랑하자는 말>


● 앵무(잉꼬)는 그냥 앵무새일 뿐 부부 금실과는 무관한데 사이좋은 부부의 대명사처럼 쓰고 있다.
이렇게 다정하고 사이좋은 부부를 가리켜 흔히 잉꼬부부라고 한다. 하지만 ‘잉꼬(いんこ, 鸚哥)’는 앵무새의 일본 말이다. 말하자면 차인표, 신애라 씨는 ‘앵무새 부부’인 셈이다. 잉꼬를 앵무새로 바꿔 놓으면 이미지가 싹바뀐다. 참으로 희한한 일이다. 우리의 머릿속에서 앵무새는 남의 말만 흉내 내는 새라는 별로 좋지 않은 이미지가 있지만 잉꼬라고 부를 때는 왠지 ‘잉꼬부부’ 같은 말을 떠올려 좋은 이미지로 둔갑한다. 알고 보면 잉꼬가 바로 앵무새인데 말이다. (…) 신혼부부의 베개에 수놓을 만큼 예로부터 쓰이던 부부 금실의 대명사인 ‘원앙새’를 국립국어원에서는 몰랐던 것일까? 일본어 사전의 원앙새(오시도리) 설명에는 부부 금실 이야기가 나오는데 한국어 사전에는 없었다.
-<문학작품에 원앙금침이 수두룩한 나라에 웬 ‘잉꼬부부’>


● 앵무(잉꼬)는 그냥 앵무새일 뿐 부부 금실과는 무관한데 사이좋은 부부의 대명사처럼 쓰고 있다.
이렇게 다정하고 사이좋은 부부를 가리켜 흔히 잉꼬부부라고 한다. 하지만 ‘잉꼬(いんこ, 鸚哥)’는 앵무새의 일본 말이다. 말하자면 차인표, 신애라 씨는 ‘앵무새 부부’인 셈이다. 잉꼬를 앵무새로 바꿔 놓으면 이미지가 싹바뀐다. 참으로 희한한 일이다. 우리의 머릿속에서 앵무새는 남의 말만 흉내 내는 새라는 별로 좋지 않은 이미지가 있지만 잉꼬라고 부를 때는 왠지 ‘잉꼬부부’ 같은 말을 떠올려 좋은 이미지로 둔갑한다. 알고 보면 잉꼬가 바로 앵무새인데 말이다. (…) 신혼부부의 베개에 수놓을 만큼 예로부터 쓰이던 부부 금실의 대명사인 ‘원앙새’를 국립국어원에서는 몰랐던 것일까? 일본어 사전의 원앙새(오시도리) 설명에는 부부 금실 이야기가 나오는데 한국어 사전에는 없었다.
-<문학작품에 원앙금침이 수두룩한 나라에 웬 ‘잉꼬부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9064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