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88959062423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3-10-14
책 소개
목차
서문 . 4
1장 과학적인 집 : 햇빛과 바람의 과학
해가 잘 드는 집
기후 요소와 한옥의 과학 . 33
햇빛의 과학 (1) 지붕 처마의 돌출 . 40
햇빛의 과학 (2) 창과 방의 크기 . 49
의외로 따뜻한 한옥 흙벽, 창호지, 이중창 . 57
온돌과 우수한 난방 과학 . 62
바람이 잘 통하는 집
‘통’의 원리 (1) 거시 기후에 맞춰 바람길을 내다 . 66
‘통’의 원리 (2) 마당을 비워 찬 공기 주머니를 만들다 . 73
‘통’의 원리 (3) 사선 축을 더하다 . 81
선비들의 집 이상과 자연의 이치 . 91
2장 신기한 집 : 공간의 미학
가변성과 놀이 기능
한민족과 놀이 본능 . 97
신기한 집 - 놀이 기능과 숨바꼭질 . 104
도시의 도로망 같은 한옥의 동선 . 112
‘호모 루덴스’와 한옥의 놀이 기능 . 122
무상, 원통, 불이
무상과 한옥 공간의 다양성 . 126
둥글어 통해 ‘원통’한 한옥 공간 . 137
소통, 돌아가기, 질러 가기 . 145
불이 - 공간의 안팎을 딱 자르지 않은 한옥 . 148
대청 - 자연과 하나 되는 신기한 공간 . 152
3장 감각적인 집 : 촉각과 시각의 미학
좌식 문화와 온돌방v
살갗, 촉각, 접촉 문화 . 163
좌식 문화와 체성감각 . 167
체성감각을 살리는 한옥 . 171
좌식 문화와 가변 공간 방바닥에 철퍽 앉다 . 177
온돌과 접촉 문화 방바닥과 등바닥 . 185
온돌 - 한국만의 완전한 좌식 문화 . 190
햇빛, 창호지, 관음
햇빛과 감성의 미학 . 195
겨울 대청과 햇빛의 미학 . 200
창호지와 리얼리즘 . 205
광목이 펄럭이는 것 같은 창호지 . 210
관음 - 감성작용과 스토리 창출 . 216
꺾임이 많은 한옥 구조와 관음 작용 . 222
빛, 그림자, 문양
빛과 그림자 . 232
그림자의 미학 문양과 절제의 미덕 . 237
그림자와 여운의 미학 . 244
4장 포근한 집 : 창호지와 휴먼 스케일
창호지의 미학
창호지와 방의 분위기 . 259
한국 문학 속 창호지 (1) 낙화와 어릴 때 기억 정서 . 268
한국 문학 속 창호지 (2) 포근한 어머니 품 . 271
방의 농담을 조절하는 창호지 . 275
창호지와 창살 문양 (1) 모태의 바탕과 ‘세살’ . 281
창호지와 창살 문양 (2) 기하주의 . 288
휴먼 스케일 - 내 몸에 맞춰 짜다
휴먼 스케일의 중요성 . 300
휴먼 스케일과 포근함의 미학 . 305
휴먼 스케일이 넘쳐나는 한옥 . 309
스케일의 미학 대청 천장은 높고 방 천장은 낮다 . 314
선비의 덕목과 휴먼 스케일 (1) 포근한 마당 . 319
선비의 덕목과 휴먼 스케일 (2) 아담한 문 . 324
5장 화목한 집 : 어울림의 미학
화목한 가족을 표현하는 한옥의 창
창과 어울림의 미학 . 333
어울림의 미학 가족 사이의 관계를 표현하다 . 338
리얼리즘의 미학 살림살이 이야기를 전해주는 한옥의 창 . 350
엄격하지만 친근한 한옥의 입면 구상적 추상 . 356
유교 형식미 인과 예 . 360
채의 어울림과 화목함의 미학
예별이 채 구성을 통해 계급 질서를 표현하다 . 364
부부의 화목 사랑채와 안채의 관계 . 375
예보다 인이 우선 행랑채의 조형 구성 . 384
한옥의 전경 행랑채가 집의 주인 . 388
나눈 뒤 재조합하는 한국인의 조형 의식 . 394
유교의 인과 한국의 정 . 399
도판 목록 . 405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옥은 높은 천장을 잘라서 상당 부분을 지붕 속으로 편입시켜 흙을 채우거나 공기층으로 활용해서 단열 효과를 높였다. 이는 ‘위풍’을 막아주는 데 단연 최고다. 열원이 아래쪽에 있기 때문에 발 주위에는 항상 더운 공기가 머물고 머리 쪽은 시원하니 건강에도 좋다. 공기를 직접 데우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건조해지지 않아서 기관지에도 해롭지 않다. 아파트의 난방 방식이 1980년대까지만 해도 서양의 라디에이터 방식을 주로 사용하다가 1990년대부터 온돌 방식으로 바뀐 이유이기도 하다. 이상의 난방 과학은 더 말할 필요도 없이 이 자체만으로도 우수한 것이다. 이상은 주로 건물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기술적 우수함이라 할 수 있다. 요즘 같은 기계 방식이 아닌 전통 기술인데도 이렇게 우수한 것이다. 하지만 아직도 끝이 아니다. 한옥이 우수한 진짜 이유는 이런 기술적 우수함이 앞에서 설명한 햇빛을 활용하는 지혜와 하나로 합해져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데에 있다. 지붕의 돌출 길이, 창의 크기와 위치, 방의 깊이와 천장 높이, 지붕의 높이 등과 하나로 작동한다는 뜻이다. 「해가 잘 드는 집」
비밀은 창과 마당과 방에 있는데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창과 문의 구별이 없다. 대부분의 창을 바닥에 가깝게 냈기 때문에 여차하면 사람이 드나들 수 있어서 문이나 다름이 없다. 서양에는 없는 ‘창문’이라는 단어가 우리에게만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둘째, 방의 두 면 이상을 마당이 에워싼다. 건물 구성이 홑겹이며 각 채의 앞뒤로 마당이 있기 때문이다. 셋째, 이런 방의 여러 면에 창문을 냈다. 마당을 접하는 면에는 반드시 창문을 냈으며 방과 방 사이에도 창문을 내는 경우가 많다. 이런 세 가지 구성이 합해지면서 동선은 자유롭다 못해 사람이 다닐 만한 곳에는 모두 길이 났다. 방과 대청이 통하며 방과 방도 통한다. 급하면 방에서 직접 대청으로 나갈 수 있고 옆방에 볼일이 있으면 다른 방을 거쳐 나갈 수도 있다. 방에서 마당으로 나가는 구멍도 여러 곳이다. 나가는 구멍과 들어오는 구멍이 일치하지 않는다. 이 구멍으로 나가서 저 구멍으로 들어올 수도 있다. 뒷마당으로 통하는 구멍으로 나가서 한 바퀴 돈 뒤 앞마당으로 돌아와서 대청으로 올라 들어올 수도 있다. 「가변성과 놀이 기능」
관음 작용은 반드시 중간에 사람이나 사물이 있어야만 되는 것은 아니다. 사람이나 사물을 보여주었다 가렸다를 적당히 조절하는 것은 시각적 자극을 통한 관음 작용으로 직접적이고 노골적이다. 이보다 은근하며 은유적인 방법도 있다. 바로 공간을 기묘하게 짜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이다. 향단 안채가 대표적이다. 향단은 은밀하고 에로틱한 공간의 대명사다. 나는 이 집에만 오면 기분이 묘해지고 없던 정념도 샘솟는다. 관음 작용의 결정판인데, 그 중간에 공간이 있다. 방향과 스케일, 중첩과 불이, 트임과 조임 등 공간을 구사하는 기법이 절묘하기 그지없다. 스케일은 매우 은밀하며 그 속에서 다시 벽과 창문을 나누는 비율이 절묘하다. 이런 공간은 중간에 사람이나 사물이 없더라도 관음에 대해 끊임없이 연상 작용을 일으킨다. 집 전체가 거대한 관음 덩어리라 할 만하다. 「햇빛, 창호지, 관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