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문학은 언어에서 태어났다

인문학은 언어에서 태어났다

(재미있는 영어 인문학 이야기)

강준만 (지은이)
인물과사상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13,500원 -10% 2,500원
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8,3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34개 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문학은 언어에서 태어났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문학은 언어에서 태어났다 (재미있는 영어 인문학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59063116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4-12-08

책 소개

처음 만나는 영어 인문학 수업. 언어의 기원을 살펴보면서 인문학을 공부하는 책이다. 지적 호기심을 채우면서 인문학 공부를 재미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언어가 생기게 된 유래와 그것에 얽힌 사연 등을 찾아가다 보면 그 언어를 둘러싼 개념 등이 얽히고 설켜 있다.

목차

머리말 “엄마, 왜 미더덕이라고 하는 거예요?” · 5

제1장 음식문화
왜 베이컨이 생활비와 성공의 상징이 되었나? · 15
왜 ‘샐러드 시절’이 ‘풋내기 시절’을 뜻하게 되었는가? · 18
왜 ‘크래프트 맥주 열풍’이 부는 걸까? · 22
권투의 ‘그로기’와 럼주는 무슨 관계인가? · 25
커피와 카페테리아는 무슨 관계인가? · 27
생강과 혁신은 무슨 관계인가? · 29
하드보일드 문학과 달걀은 무슨 관계인가? · 31
소시지와 소금은 무슨 관계인가? · 34
바비큐는 원래 무슨 뜻이었나? · 36
왜 미식가를 ‘에피큐어’라고 할까? · 40

제2장 식물·동물·자연
왜 ‘3월의 꽃’ 팬지는 ‘자유사상’의 상징이 되었는가? · 45
왜 동백나무를 ‘카멜리아’라고 하는가? · 48
미국 남부를 상징하는 나무의 이름은 무엇인가? · 51
‘어쌔신’과 대마초는 무슨 관계인가? · 53
왜 cajole은 ‘누구를 구슬려 빼앗다’는 뜻을 갖게 되었는가? · 55
왜 정어리를 ‘사딘’이라고 할까? · 57
왜 두꺼비가 아첨꾼이 되었을까? · 59
‘케이퍼 영화’와 염소는 무슨 관계인가? · 63
양아치와 도요새는 무슨 관계인가? · 65
암모니아와 낙타는 무슨 관계인가? · 67
‘전기’와 ‘호박’은 무슨 관계인가? · 69
왜 자수정을 ‘애미시스트’라고 하는가? · 71

제3장 대중문화와 소비문화
왜 영화나 TV의 연속 모험물을 ‘클리프행어’라고 하나? · 75
왜 노래는 귀벌레가 되어야 대박을 칠 수 있나? · 78
왜 춤을 추거나 노래를 할 때 “그루브를 타라”고 하는가? · 80
왜 잠시 뜨는 걸 ‘15분간의 명성’이라고 하는가? · 82
‘오프라화 현상’이란 무엇인가? · 84
‘불신의 정지’란 무엇인가? · 87
왜 천둥을 훔치는 게 ‘아이디어 도용’이 되었는가? · 89
‘패션’과 ‘패드’는 어떻게 다른가? · 91
‘시그너처 스타일’이란 무엇인가? · 93
‘컬처 재밍’이란 무엇인가? · 95
자동차를 애인처럼 사랑하는 취미를 뭐라고 하나? · 98
왜 부유층을 제트족이라고 할까? · 102

제4장 인간의 정신과 감정
왜 ‘감정’이 유행일까? · 107
왜 확신은 ‘잔인한 사고방식’인가? · 112
화가 났을 땐 어떻게 하는 게 좋은가? · 115
습관과 의복은 무슨 관계인가? · 119
‘dizziness’와 ‘vertigo’는 어떻게 다른가? · 122
‘블랭크 슬레이트’는 어디에서 나온 말인가? · 125
‘에우다이모니아’란 무엇인가? · 127

제5장 인간관계와 소통
왜 사과를 ‘어팔러지’라고 할까? · 133
왜 미국인들은 ‘오섬’이란 말을 입에 달고 다니나? · 135
왜 사기꾼을 ‘콘 맨’이라고 하는가? · 138
왜 일부 지식인들은 ‘카우치 서핑’을 예찬하는가? · 140
왜 미국인들도 ‘커머전’이라는 단어를 헷갈려 하나? · 144
왜 on the level이 ‘정직한’이란 뜻을 갖게 되었을까? · 146
왜 ‘오스트라시즘’이 사회적 배척을 뜻하게 되었는가? · 148
왜 ‘패러사이트’가 기생충이 되었는가? · 150
‘구동존이’를 영어로 뭐라고 할까? · 152
천사의 편에 서겠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 155
냉소주의자를 간단하게 판별할 수 있는 법은 무엇인가? · 159

제6장 성(性)과 남녀관계
왜 섹스 심벌을 ‘폭탄’이라고 부르게 되었을까? · 163
왜 구애자를 퇴짜 놓는 걸 brush-off라고 할까? · 165
왜 여성 동성애자를 레즈비언이라고 할까? · 167
왜 ‘섹스’와 ‘섹션’은 같은 어원을 가졌을까? · 169
왜 suck은 매우 위험한 단어인가? · 172
‘관음증’이란 무엇인가? · 176
‘주홍글씨’ 소설과 영화에서 A 문자는 무슨 뜻일까? · 178
왜 ‘앞치마 끈으로부터의 해방’을 전쟁의 축복이라고 하나? · 181
남녀 사이엔 어떤 사각지대가 존재하는가? · 183
이성애·동성애·양성애도 아닌 ‘제4의 성적 지향’을 뭐라고 하나? · 186

제7장 정치·행정·언론
왜 초선 의원을 backbencher라고 하는가? · 191
왜 부정 자금을 ‘슬러시 펀드’라고 하는가? · 193
왜 ‘노변담화’라는 말이 나오게 되었는가? · 195
왜 미술용 캔버스가 여론조사란 뜻을 갖게 되었는가? · 198
왜 처음부터 전력을 기울이는 선거 유세를 ‘플랫아웃’이라고 하나? · 201
미국 정치에서 ‘애드밴스 맨’이란 무엇인가? · 203
‘페킹 오더’란 무엇인가? · 205
‘라운드 로빈’이란 무엇인가? · 207
‘인타이틀먼트’는 어떤 식으로 쓰이는가? · 210
‘패뷰러스 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 · 212
왜 ‘폭스화’는 ‘분명한 의견 제시’라는 뜻을 갖게 되었는가? · 215
왜 ‘사운드바이트’의 길이는 갈수록 짧아지는가? · 217
왜 ‘클릭’을 둘러싼 논란이 뜨거운가? · 221
‘트롤’이란 무엇인가? · 224

제8장 기업경영과 자기계발
왜 벤치마킹이 기업 발전을 저해하는가? · 229
왜 기업의 ‘자기 시장 잠식’을 ‘카니벌라이제이션’이라고 하나? · 232
인재 영입을 위한 기업 인수를 뭐라고 하나? · 235
실리콘밸리에서 즐겨 쓰는 ‘스케일’은 무슨 뜻인가? · 238
왜 자기계발서들은 한결같이 ‘컴포트존’에서 벗어나라고 하는가? · 241
왜 ‘트림태브’가 중요하다고 말하는가? · 243
‘경쟁’의 의미는 어떻게 변질되었는가? · 245
큰 걸 얻기 위해 작은 걸 희생하는 전략을 뭐라고 하나? · 247
‘레버리지’는 어떤 식으로 쓰이는가? · 249
‘식스 시그마’란 무엇인가? · 252

제9장 학교와 교육
왜 미국에선 자율형 공립학교를 둘러싼 논란이 뜨거운가? · 257
왜 pupil은 ‘학생’과 ‘눈동자’라는 전혀 다른 두 개의 뜻을 갖고 있나? · 260
‘학교’와 ‘한가한 시간’은 무슨 관계인가? · 262
‘에티켓’과 ‘티켓’은 무슨 관계인가? · 265
글래머와 라틴어 문법은 무슨 관계인가? · 268
‘플레인 잉글리시’ 운동이란 무엇인가? · 270
‘로즈 장학금’이란 무엇인가? · 273

제10장 민족과 인종
왜 야만인을 ‘바베어리언’이라고 했을까? · 277
왜 ‘반(反)유대주의’는 잘못된 단어인가? · 279
프랜차이즈와 프랑크족은 무슨 관계인가? · 282
햄버거와 몽골인은 무슨 관계인가? · 286
왜 흑인이 사는 빈곤층 거주 지역에 붉은 줄을 긋는가? · 288
왜 ‘좀비 열풍’이 부는가? · 290

주 · 296

저자소개

강준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강준만은 탁월한 인물 비평과 정교한 한국학 연구로 우리 사회에 의미 있는 반향을 일으켜온 대한민국 대표 지식인이다. 전공인 커뮤니케이션학을 토대로 정치, 사회, 언론, 역사, 문화 등 분야와 경계를 뛰어넘는 전방위적인 저술 활동을 해왔으며, 사회를 꿰뚫어보는 안목과 통찰을 바탕으로 숱한 의제를 공론화해왔다. 2005년에 제4회 송건호언론상을 수상하고, 2011년에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한국의 저자 300인’, 2014년에 『경향신문』 ‘올해의 저자’에 선정되었다. 저널룩 『인물과사상』(전33권)이 2007년 『한국일보』 ‘우리 시대의 명저 50권’에 선정되었고, 『미국사 산책』(전17권)이 2012년 한국출판인회의 ‘백책백강(百冊百講)’ 도서에 선정되었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법조공화국』, 『MBC의 흑역사』, 『공감의 비극』, 『정치 무당 김어준』, 『퇴마 정치』, 『정치적 올바름』, 『좀비 정치』, 『발칙한 이준석』, 『단독자 김종인의 명암』, 『부족국가 대한민국』, 『싸가지 없는 정치』, 『권력은 사람의 뇌를 바꾼다』, 『부동산 약탈 국가』, 『쇼핑은 투표보다 중요하다』, 『강남 좌파 2』, 『바벨탑 공화국』, 『오빠가 허락한 페미니즘』, 『손석희 현상』, 『박근혜의 권력 중독』, 『전쟁이 만든 나라, 미국』, 『정치를 종교로 만든 사람들』, 『지방 식민지 독립선언』, 『개천에서 용 나면 안 된다』, 『싸가지 없는 진보』, 『감정 독재』, 『미국은 세계를 어떻게 훔쳤는가』, 『갑과 을의 나라』, 『증오 상업주의』, 『강남 좌파』, 『한국 현대사 산책』(전28권), 『한국 근대사 산책』(전10권), 『미국사 산책』(전17권) 등 300권이 넘는다.
펼치기

책속에서

그렇다면 salad days는 무슨 뜻일까? 이는 “청년(풋내기) 시절”로, 젊음과 샐러드의 공통점이 green이라고 해서 나온 말이다.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 1564~1616)의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Antony and Cleopatra)』에 나오는 말이다. 클레오파트라는 “판단이 미숙했던 나의 젊은 시절(my salad days, when I was green in judgment)”이라고 말한다. 이제 나이 40이 다 돼 안토니우스와 연애를 하면서 21세의 나이에 줄리어스 시저(Julius Caesar)와 연애를 하던 시절을 회상하면서 한 말이다. 젊음은 미숙함을 동반하기 마련인데, 이와 관련해 green이 사용된 표현이 많다. 「왜 ‘샐러드 시절’이 ‘풋내기 시절’을 뜻하게 되었는가?」


cajole은 무엇에서 유래된 말일까? 유럽에서 가장 흔한 새 중에 jay(어치)가 있다. 미국의 blue jay(북미산 어치)처럼 색깔이 화려하진 않지만 사람의 목소리를 제법 흉내내는 재주가 있어 사람들이 새장에 가둬 키웠다. 이 새는 배가 고프면 주인이 먹이를 줄 때까지 계속 울어댔다. 우는 소리가 그리 좋진 않아 짖어댔다고 하는 게 더 정확한 표현일지도 모르겠다. 그 소리를 표현한 의성어인 cajole이 탄생했는데, 이 단어가 비유적으로 이와 같은 뜻을 갖게 된 것이다. 「왜 cajole은 ‘누구를 구슬려 빼앗다’는 뜻을 갖게 되었는가?」


jet set(제트족)은 1950년대 말 제트 비행기가 출현했을 때, 이걸 타고서 세계 각국을 유람 다니던 부유층을 가리키는 말이다. 『뉴욕저널 아메리칸(New York Journal-American)』의 기자인 이고르 카시니(Igor Cassini, 1915~2002)가 처음 만든 말이다. 웬만하면 누구나 다 제트 비행기를 탈 수 있는 오늘날엔 어울리지 않는 말일 수도 있지만, 여전히 부유층을 가리켜 jet set이라고 한다. 두 단어 모두 ‘et’로 끝나는 각운(脚韻, rhyme) 효과 덕을 본 것 같다. jet setter는 제트족의 한 사람을 가리킨다. 「왜 부유층을 제트족이라고 할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