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어둠 속 촛불이면 좋으련만

어둠 속 촛불이면 좋으련만

(내 인생의 문장들)

장석주 (지은이)
인물과사상사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3,300원 -10% 660원 11,310원 >

책 이미지

어둠 속 촛불이면 좋으련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어둠 속 촛불이면 좋으련만 (내 인생의 문장들)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59067411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24-03-08

책 소개

66편의 문장을 소개한다. 이 책은 시인의 망각에서 꺼낸 문장들, 권태와 느른함에 빠져 있던 심장에 화살처럼 박힌 문장들, 두개골을 빠갤 듯 울림이 컸던 문장들을 모았다. 이 문장들은 생의 경이와 기쁨을 맛보게 해준 문장들이다. 이 문장들이 내면 형질을 바꾸고, 비루함의 바닥에서 시인을 끄집어냈다.

목차

책머리에 ․ 5

가장 단순한 것을 배우라 ․ 12
당신은 눈물 젖은 빵을 먹어보았는가? ․ 16
이토록 미친, 슬픈, 가엾은 사랑 ․ 22
사랑하는 사람만이 기다린다 ․ 26
편도나무여, 내게 신에 대해 이야기해다오 ․ 34
짐승은 침묵과 도약으로 채워져 있다 ․ 42
은유는 시의 숨결이다 ․ 48
매일 새로운 것을 발견할 수 있는 산책 ․ 52
우리는 자기 안에 국경을 갖고 산다 ․ 56
일요일에는 게으름을 피우며 느리게 살자 ․ 60

네가 누구냐를 아느냐보다 누가 너를 아느냐가 더 중요하다 ․ 64
나는 전적으로 신체일 뿐이다 ․ 68
바다는 처음의 자유다 ․ 74
나는 왜 당신의 하얀 팔을 사랑했던가? ․ 80
고양이가 우리에게 온다는 것은 ․ 84
진짜 위험한 것은 산다는 것 ․ 88
아버지가 마시는 술의 반은 눈물이다 ․ 94
바다는 영원히 출렁인다 ․ 100
얼굴은 간신히 도피한 사람이다 ․ 106
사랑의 목적은 사랑하는 것이다 ․ 110

내가 산골로 가는 것은 ․ 116
사랑은 여름 내내 잡초처럼 웃자란다 ․ 122
예술에 대한 탐색의 열정 ․ 128
시간은 장소마다 다르게 흐른다 ․ 132
밥벌이를 직업으로 삼지 마라 ․ 138
맥주 첫 모금을 목구멍으로 넘길 때 ․ 142
피아노를 치는 것은 우주를 아는 것 ․ 148
우리가 키스를 한다는 것은 ․ 152
기후 위기는 만인의 위기다 ․ 156
우연이라는 날개를 달고 붕붕거리는 인생아! ․ 162

혁명을 하려거든 웃고 즐기며 하라 ․ 166
댄디는 꺼져가는 별처럼 사라졌다 ․ 170
우리 모두는 탐욕스런 사냥꾼 ․ 174
사랑만이 우리를 구원한다 ․ 178
전쟁은 인류가 흩뿌린 피를 먹고 자란다 ․ 182
우리는 어디에서 왔으며 누구이고 어디로 가는가? ․ 186
피로는 존재의 과다함에서 나타난다 ․ 192
사유의 유격전을 위한 몽타주적 글쓰기 ․ 198
우리는 출퇴근하는 인류다 ․ 204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다오 ․ 210

돌은 왜 책상 위에서 흐느끼는가? ․ 216
우리는 강가에서 뭔가를 찾고 있다 ․ 222
고향은 우리에게 빵과 포도주를 준다 ․ 226
독서는 탐식이자 무용한 기쁨의 도취다 ․ 232
꽃밭에 앉아서 꽃잎을 보네 ․ 238
내 영혼은 검은 페이지가 전부다 ․ 244
비명 지르게 하라, 불타오르게 하라 ․ 250
지금 어디선가 누군가 울고 있다면 ․ 256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 260
날마다 새롭게 태어나는 사람 ․ 266

그 많던 문학소녀는 어디에도 남아 있지 않다 ․ 272
실패란 성공의 유예일 뿐이다 ․ 278
사물은 자아의 윤곽을 바꾼다 ․ 284
다방의 오후 2시, 혹은 카페에서 보낸 시간들 ․ 288
세계는 분해와 분해에 저항하는 세계로 나뉘어 있다 ․ 294
사람은 두 번 죽는다 ․ 298
움직이는 것은 바람도 깃발도 아니다 ․ 302
자연은 숨은 조화 속에 있다 ․ 306
인간은 슬퍼하고 기침하는 존재 ․ 310
예술가란 아름다움에 갇힌 종신수 ․ 316

휴식은 행복의 중심이다 ․ 322
여성에게 자기만의 방을 허하라 ․ 328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 332
군중은 강력한 전염성을 갖는다 ․ 336
인류 역사는 폭력의 역사다 ․ 340
책은 부적이자 죽음을 상기시키는 상징물이다 ․ 344

저자소개

장석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인, 문학비평가. 1955년 1월 8일(음력), 충남 논산에서 출생했다. 시인, 비평가, 출판편집자, 대학강사로 살아왔다. 산책, 음악, 햇빛, 바다, 대숲, 제주도를 사랑한다. 1975년 《월간문학》 신인상에 시 「심야」가 당선하고, 197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시 「날아라, 시간의 포충망에 붙잡힌 우울한 몽상이여」,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문학평론 「존재와 초월―정현종론」이 당선하며 시와 평론을 겸업한다. 고려원의 편집장을 거쳐 청하 출판사를 설립해 대표 겸 편집자로 일했다. 1980년대 계간지 《현대시세계》와 《현대예술비평》 등을 펴냈다. 2002년부터 동덕여대, 명지전문대, 경희사이버대학교에서 강의하고, EBS라디오와 국악방송 등에서 ‘문화사랑방’, ‘행복한 문학’ 등의 프로그램 진행자로 활동한다. 동서고금의 고전들에 대한 폭넓은 독서력을 바탕으로 여러 매체에 글을 연재했거나 하고 있으며, 『풍경의 탄생』(2005), 『들뢰즈 카프카 김훈』(2006), 『이상과 모던뽀이들』(2010), 『마흔의 서재』(2012), 『철학자의 사물들』(2013), 『일요일의 인문학』(2015), 『에밀 시오랑을 읽는 오후』(2023) 등 감성과 인문학적 통찰이 돋보이는 책을 잇달아 내면서 주목을 받는다. 시집 『햇빛사냥』, 『완전주의자의 꿈』, 『그리운 나라』, 『새들은 황혼 속에 집을 짓는다』, 『붕붕거리는 추억의 한때』, 『헤어진 사람의 품에 얼굴을 묻고 울었다』, 『꿈속에서 우는 사람』 등 저서 100여 종을 출간했다. 애지문학상(2003), 질마재문학상(2010), 영랑시문학상(2013), 편운문학상(2018) 등을 수상했다. 지금은 경기도 파주에서 아내와 반려묘 두 마리와 함께 살며 글을 쓰고 산책을 하며 인문학 강연을 한다.
펼치기

책속에서

사랑의 일 중 태반은 기다리는 일이다. 기다림에 대한 무한 투자. 기다림은 우리를 먼 곳으로 데려가지 않고 한자리에 묶어놓는다. 어린 시절, 시장에 따라간 내게 어머니는 이렇게 명령한다. 어디 가지 마! 여기서 꼼짝 말고 기다려! 그때 기다림이 내 존재를 삼켜버리는 것을 깨달았다. 나는 일찍이 기다림이 현전에 대한 무자비한 구속이라는 사실을, 기다림이 만드는 욕망함의 패임으로 내 현전이 일그러질 것임을 벼락 같이 깨달았던 것이다. 이 하염없는 존재 퍼주기는 결국 자기 고갈에 이른다. 더는 기다릴 힘이 없을 때 그들은 망부석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그에게는 더이상 기다릴 힘이 없다. 만약 그 힘이 있다면 그는 기다리지 않으리라. 그는 이전보다 기다릴 힘을 덜 갖고 있다. 기다림이 기다릴 힘을 마모시키는 것이다. 기다림은 마모되지 않는 것이다. 기다림은 마모되지 않는 마모이다.”(모리스 블랑쇼, 『기다림 망각』) 「사랑하는 사람만이 기다린다」


피로는 외과적 증상이 아니라 정신신경과적 증상이고, 그것의 가능태는 더 작게 존재-하기, 웅크리기, 소금기둥-되기다. 그런 탓에 피로한 자는 사회와 담을 쌓고 소통하기를 그친다. 그들은 자꾸 제 존재를 세계의 저 바깥쪽으로 밀고 나간다. 장 폴 사르트르의 유명한 단편소설 「구토」에서 주인공 로캉탱이 그런 존재다. 로캉탱은 항구 도시에서 한 귀족의 전기를 쓰는 일에 몰두한다. 그의 일상은 단조롭기 짝이 없다. 일기 쓰기, 사념,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사람들과의 관계 맺기, 카페·도서관·박물관 따위에서 어슬렁대기가 일상의 전부다. ‘구토’는 이 세계에 가득 차 있는 속물들의 진부함에 대한 생리적 거부다. 속물의 진부함을 견디는 데서 생겨난 피로의 징후다. 마침내 로캉탱은 그 속물들의 세계와 결별한다. “나는 돌아다봤다. 작은 그림의 성당 속의 한없이 고운 백합이여, 안녕, 우리의 자존심이여, 우리의 존재 이유여, 안녕, ‘더러운 새끼들’이여 안녕.”(장 폴 사르트르, 「구토」) 「바다는 영원히 출렁인다」


들레름은 아주 사소한 이야기, 일상의 조각들, 작은 행복의 편린들, 정말 작아서 금세 잊히는 찰나를 포착한다. 그는 목구멍으로 넘기는 맥주 첫 모금의 “무한을 향해서 열리는, 믿을 수 없는 기쁨의 느낌”을 전달하려고 최선을 다한다. 맥주 한 모금을 목구멍으로 넘기는 찰나 최고의 기쁨에 도달하고 그 뒤로는 쾌감이 반감된다. 두 번째 잔부터 맥주는 이미 그 비범함을 잃어버린다. 맥주를 마시는 사람들은 미지근한 행복감 속에서 금세 우울해진다. 하지만 작가는 추억의 창고에 들어 있는 멜랑콜리를, 우리가 겪은 기쁨과 슬픔을 끄집어내 반추하도록 부추긴다. 지하실에서 달콤한 향내를 뿜어내며 덧없이 시드는 사과들, 새벽 거리에서 먹는 크루아상, 무심코 지나쳐버린 어린 시절의 가을, 황금빛 맥주 한 모금의 행복, 느긋하게 보낸 일요일 저녁에 마음을 파고드는 불안을 일깨운다. 「맥주 첫 모금을 목구멍으로 넘길 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90675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