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북한 중국관계 60년

북한 중국관계 60년

(‘순치관계’의 구조와 변용)

히라이와 슌지 (지은이), 이종국 (옮긴이)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10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북한 중국관계 60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북한 중국관계 60년 (‘순치관계’의 구조와 변용)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88959336128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3-03-27

책 소개

북한과 중국과의 관계를 포괄적으로 그리고 균형 잡힌 논리를 통하여 잘 설명하고 있고, 북중관계 60년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그리고 중국의 자료들을 사용하면서 중국과 북한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할 수 있다.

목차

서장. 목적과 분석 시각 17

제1장. 중국인민지원군 철수와 타이완 해협위기 -중국에게 있어서 북한-
문제의 소재 31
1. 북한문제와 타이완문제-중국에게 있어서 한국전쟁 32
2. 제1기 인민지원군철수와 제1차 타이완 해협위기 41
3. 인민지원군 철수 중단 및 8월 전원회의 사건의 의미 52
4. 제2기 인민지원군 철수와 제2차 타이완 해협위기 61
결어 70

제2장. 우호협력상호원조조약과 대미인식의 공유과정
-북한에게 있어서 중국-
문제의 소재 73
1. 평화공존노선을 둘러싼 인식의 차이 75
2. 북한의 평화적 통일노선-반제반봉건 민주주의 혁명에 대한 기대 84
3. 북한의 미국인식 수정-한국군사 쿠데타에 대한 평가의 변화 92
4. 두 개의 우호협력상호원조조약 99
5. 결어: 조선노동당 제4차대회에 있어서 ‘남조선혁명’노선 108

제3장. 중소논쟁과 북한의 혁명노선 -중·조관계의 상한-
문제의 소재 115
1. 소조관계의 악화-다원적 사회주의 진영의 단결 118
2. 중조공동성명과 ‘교조주의’ 비판 124
3. 주체의 승인과 중국비판-중조관계의 한계 130
4. 북한의 사회주의 노선 138
결어 152

제4장. 양국 관계 수복의 정치역학 -중·조관계의 하한-
문제의 소재 155
1. 후르시초프 이후 소련의 인식 차이 158
2. ‘주체’의 체계화와 중국·북한관계의 악화 168
3. 문화대혁명의 개시와 ‘자주노선’ 선언 174
4. 관계회복의 정치 역학-최용건, 김일성의 비밀 방문 185
결어 194

제5장. 미중 접근과 북한의 대미 직접교섭 제안
-‘순치(脣齒)의 관계’ ‘전통적 우호’의 이완-
문제의 소재 199
1. 미·중 접근과 저우언라이의 비밀방문 201
2. 북한의 인식 수정 211
3. 중국에게 있어서 ‘한반도문제의 한반도화’ 217
4. 대미 직접 교섭의 역학 226
결어 233

제6장. 개혁개방노선과 체제유지의 상극 -중국과 다른 선택-
문제의 소재 237
1. 중조가 목표로 한 각자의 길 240
2. 개혁개방 노선의 모색 245
3. 김정일의 개혁개방노선 인식 251
4. 톈안먼(天安門) 사건과 북한의 체제유지 262
결어 270
[보론] 중국의 개혁개방노선과 북한의 경제개혁 비교
1. 정치체제 및 의사결정과정 272
2. 국제환경 277
3. 북한의 경제개혁의 가능성과 방향성 280

제7장. 중조관계의 구조적 변질 -한·중 국교정상화-
문제의 소재 285
1. 중국에게 있어서 북한-3자 회담 제안의 의미 287
2. 소련과 한국의 국교정상화와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의 구조적 변화 295
3. 한반도의 현상승인-남·북한 관계의 진전과 유엔동시가맹 303
4. 새로운 균형 속의 중국-중한 국교정상화 316
결어 324

제8장. 전통적 관계의 종언 -김일성 사후의 중국·한반도관계-
문제의 소재 329
1. 제한된 중한관계의 진전 331
2. 김일성 사망과 인민지원군의 완전철수-전통적 관계의 종언 338
3. 김일성 사후 중한관계의 진전-리펑(李鵬), 장쩌민의 방한 347
4. 김정일시대의 중조관계와 대만 354
결어 361

제9장. 2국관계로부터 다국 간 관계로 -한반도와 중국의 새로운 관계-
문제의 소재 365
1. ‘순치의 관계’에서 ‘미묘한 관계’로-‘포용정책’과 중국의 한반도 정책 367
2. 한중 국교정상화 이후 중조관계의 기본구조-중국에게 있어서 한반도 평화와 안정 378
3. 제2차 핵위기를 둘러싼 중국의 동향-기본구조를 넘는 중국의 적극자세 382
4. 6자회담과 중조 정상회담-중국에게 있어서 두 개의 위기에 대한 대처 390
5. 미사일 발사실험, 핵실험과 중국 498
결어 407

[보론] 국교수립 60주년 중조관계
1. 6자회담의 역할 저하와 중국-BDA 문제의 의미 411
2. 미북협의의 선행과 중국의 불만 413
3. 북한의 강경자세-중국의 어려운 입장 414
4. 미사일 발사실험과 핵실험을 둘러싼 중조관계 416
5. 국교60년을 둘러싼 북한과 중국-우호국으로서의 2국 간 관계 417
6. ‘초조함’을 쌓아 온 중조 60년 420

종장. ‘순치의 관계’의 사적 전개와 구조적 변용
1. ‘순치의 관계’의 역사적 전개 423
2. ‘순치의 관계’의 구조적 변용 429
3. 중국의 북한에 대한 영향력을 둘러싼 두 가지 오해 433
4. 북한외교의 묘-유사적 대등관계로서의 중조관계 438


후 기 443
북한-중국관계연표 449
찾아보기 471

저자소개

히라이와 슌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0년 아이치 현 출생. ·1987년 도쿄외국어대학 외국어학부 조선어학과 졸업. ·1995년 게이오대학 대학원 법학연구과(정치학 전공) 박사 과정 단위 취득 퇴학. ·2001년 박사(법학) 학위 취득. ·시즈오카 현립대학 대학원 국
펼치기
이종국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북아역사재단 명예연구위원 『냉전질서와 국제긴장완화 정책사』(도서출판선인, 2021), 『일본정치사회의 ‘우경화’와 포퓰리즘』(도서출판 선인, 2021), 『21세기 개혁국가 일본』(공저,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北朝鮮と人間の安全保障』(공저, 게 이오대학출판회, 2009), 『포퓰리즘이란 무엇인가』(번역, 연암서가, 2019), 『분단종식의 통일외교』(번역, 역 사공간, 2015), 『역사가가 보는 현대세계』(번역, 연암서가, 2015), 『북한·중국관계 60년』(번역, 도서출판선 인, 2013), 『모스크바와 김일성』(번역, 논형출판, 2012), 『20세기의 전쟁과 평화』(공역, 연암서가, 2016) 등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