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59402779
· 쪽수 : 568쪽
· 출판일 : 2013-11-01
책 소개
목차
일러두기 / 책 머리에
제1장 ‘작은 거인.태풍의 눈이 되다
세계열강, 조선으로 밀려와/실정과 탐학으로 민란 속출/왜란.호란 겪고도 정신 못 차린 지도층/동학농민혁명과 정명사상
제2장 한국 민중저항사상의 뿌리
민은 누구인가/민중의 실체/고려시대의 민중운동/조선시대 사민신분과 민중세력/의적 임꺽정의 도전/
임지왜란에 일어선 농민 의병/홍경래의 서토 민중 저항/삼남을 휩쓴 민중의 난/동학농민혁명의 민중의지
제3장 출생과 성장
‘영웅’ 예비한 내외의 격랑/엇갈리는 출생지/불우한 가계, 아버지와 처의 죽음/형형한 안광, 예리한 관찰력
제4장 불우한 청년 시절
아버지는 지방의 유지 출신/아버지, 매 맞아 죽어/부자가 함께 약업에 종사/송씨와 결혼 그리고 사별, 재혼
제5장 역사상 걸출한 농민봉기 지도자들
혁명이론과 농민봉기/중국의 농민반란/유럽의 농민반란/한국의 농민반란/중국 첫 농민붕기 일으킨 진승과 오광/
아담이 밭 갈고 이브가 베 짤 때 귀족은 어디 있었던가/성서에 노예라는 구절이 있으면 증명하라/
왕후장상의 씨가 어찌 따로 있겠는가
제6장 최제우, 동학 기치 들고 홀연히 나타나
동학사상의 본질/시천주/인내천/동학 교조 최제우의 탄생설화/구도 과정의 신비체험/
자아의식 넘어서는 초월적 존재체험/신흥 민족종교의 후천개벽사상/개벽의 철학.사상적 의미/
해월 최시형, 동학 2대 교주 승계
제7장 동학혁명사상에 접하다
이데올로기는 구름인가/동학에 접하게 된 과정/그는 동학교도이고 접주였다/정약용의 영향 받은 듯/
‘학구로 업’을 삼은 선비
제8장 동학농민혁명기의 청.일관계
조선을 둘러싼 청.일의 대립/청국 차병론/청국군이 파병되기까지/일본의 대한침략 여론과 파병/
일본 신문들 조선 침략 부채질
제9장 고부관아를 점거하다
민중의 두터운 신망으로 혁명의 중심에/탐학에 시달린 농민들 혁명군으로/동학.도참.비결이 농민 마음 사로잡아/
초시형, 호남 순회로 교세 확장/탐학한 조병갑의 죄상을 밝히고/사발통문 통해 비밀조직.선전활동 주력/
안핵사 이용태의 탐학, 농민봉기 부채질
제10장 제폭구민의 횃불을 들다
횐 옷 입은 농민군 2차 봉기/무장에서 타오른 혁명의 불길/혁명군 5색기 들고 대오 갖춰/사발통문으로 거사 통고/
동학농민혁명군 지도자로 부상하다/홍계훈을 양호초토사로 임명
제11장 피로 물든 황토현 전투
혈전의 대명사가 된 황토현 싸움/누가 먼저 공격했는가/동학혁명전쟁 중 가장 혁혁한 전과
제12장 호남의 심장부 전주성을 접수하다
정읍공격은 전주점령 전단계/황룡촌 전투에서도 승리/마침내 전주성에 입성하다/죄수 풀어주고 빈민구휼/
봉기 한 달 만에 전주성 점령
제13장 전주화약, 청군.왜군 밀려오고
청국에 파병청원서 보내/고심 끝에 철군 결정/청군에 이어 불청객 일군도 파병
제14장 농민자치, 53개 군현에 집강소 설치
‘전주화약’ 뒤 집강소 설치에 진력/관민 합작의 폐정개혁 기관으로/농민군의 행패도 심해져/
남원에서 집강소 설치 단합대회/비무장으로 나주성에 들어가 담판/호남의 통치자로 나서 활동/
농민군 통치에 지도력 발휘
제15장 제2차 봉기, 일본군을 박멸하라
삼례에서 남북접 재봉기 합의/폐정개혁에서 반외세투쟁으로/10만 대군, 출전의 깃발 들고/
일본군, 도처에서 동학농민군 학살/일본군의 거미줄 같은 정보망
제16장 일본군, 동학군 30만을 학살하다
신식무기로 무장한 일본군 만행/스나이더 소총과 무라타 소총으로 무장/일본군의 동학군 학살 과정/
동족상잔 벌인 친일관군의 만행
제17장 농민군의 시산혈해.우금치 전투
세계사의 흐름을 바꾼 전투/2만 군사가 500명으로 줄어/목천 세성산 전투/동학농민군, 전투에서 밀려
제18장 길이 끝나는 곳에서도 길이 되는 사람
개혁가들의 좌절과 그 밀고자들/동지의 밀고로 순창에서 붙잡혀/거액의 현상금에 눈이 먼 농민들/
사형선고에도 의연한 모습/종로 네거리에서 내 목을 베라
제19장 대원군과 밀약관계 있었던가
대원군과 밀약 또는 협력 여부/대원군 측에서 손 내밀었을 수도/대원군을 이용하려 했을 수도/유림세력의 동학반대운동
제20장 동학혁명기의 민요와 참요
전봉준에 대한 기대와 좌절 담아/‘가보세’에 담긴 뜻은/'새타령'과 '농부가'에 담긴 의미
부록/찾아보기